동양사상에서 본 생명의 가치 (유가, 인 사상, 경 철학, 유교, 불교 생명존중사상, 도가사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사상에서 본 생명의 가치 (유가, 인 사상, 경 철학, 유교, 불교 생명존중사상, 도가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동양사상에서 본 생명의 가치


1. 서론

2. 본론

 <유가에서 바라본 생명의 가치>
  서론 - 서양철학과 유교
  1. 인(仁)사상에 의한 생명의 가치와 인간의 권리 존중
  2. 경(敬) 철학을 통해서 본 생명 존중 사상
  3. 유교의 관점에서 본 생명의 의미
  결론 - 철학의 의미

 <불가에서 바라본 생명의 가치>
  불교와 현대사회
  결론

 <도가에서 바라본 생명의 가치>
  1. 서론
  2. 본론
  3. 결론
  ※ 출처

 <기타 사상에서 바라본 생명의 가치>
  기타 사상들의 자연관
  1. 실학에서의 자연관 - 동양 스스로의 한계 반성 -
  2. 동학에서의 자연관 -동양 자연관의 집합점
  3. 묵가의 자연관
  4. 음양오행가의 자연관 -자연에서 태어난 사상
  5. 생활 속에 스며든 자연관

3. 결론

본문내용

에 이르러서는 자연과 생명에 대한 경외심과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포괄적 자연관의 구체적 실천을 살펴볼 수 있다.
지기란 지극한 기운으로 우주의 본체를 말한다. 동학은 우주만유를 하나의 생명체로 보고 생명의 존엄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나무는 뿌리, 열매 등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근본생명은 하나이듯이 우주 만물이 다 마찬가지 원리로 하나의 생명체이라는 의미이다.
동학에는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공경하며, 사물을 공경하라"는 3경 사상(敬天, 敬人, 敬物)이 있다. 이 중 경물사상은 자원절약과 자연보호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개념이다. 동학에서는 하늘을 섬기고 인간관계를 조화롭게 하며 물건을 소중히 다룸으로서 인간 스스로의 노력으로 더 나은 세계를 건설하자고 주장한다.
3. 묵가의 자연관
전국시대 주요한 사상가들 중 하나였던 墨家의 창시자 묵자와 그 추종자들은 利를 그들의 중심 개념으로 여겼다. 모든 가치 있는 것들은 인간에게 유리하기 때문에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 바로 그들의 중심사상이다. 그래서 자연관 역시 서양의 관점과 비슷한 점이 있다. 기하학, 수사학 등에도 관심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연을 탐구의 대상, 이로움을 얻는 대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그 것은 그들이 땅에서 나는 것을 직접 수확하여 먹고살아야 하는 피지배층이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자연에게서 필요한 만큼 얻는 것이 더 큰 이익이기 때문에 자연을 파괴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4. 음양오행가의 자연관 -자연에서 태어난 사상
陰陽思想은 거의 중국문명의 시작과 함께 비롯했고, 五行 또한 춘추시대부터 이미 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른 어느 사상들보다도 자연에 관한 사상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 陰陽五行思想은 그 후 중국 사상사의 기본 틀을 구축한 儒家와 결합하여 깊은 영향을 미쳤고, 또 이와 함께 그 응용의 범위를 무한히 넓혀갔다.
원래 陰陽은 양지와 응달에서 나온 생각이었던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二元論은 곧바로 天地, 明暗, 男女 등 상대적인 것이면 어디에나 응용·적용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周易』은 이것의 개념들을 통합하여 정리한 것이다. 易이 계시하는 陽爻와 陰爻는 3개씩 또는 6개씩이 결합하여 8卦 또는 64卦가 된다. 8괘와 64괘란 다름 아닌 2³과 2을 가리키는데, 이는 원시적인 2진법의 연상관계를 전개해 놓은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원리는 17세기 서양에 영향을 주어, 특히 라이프니츠 등이 이 2진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그로부터 다시 오늘날 컴퓨터로 이어지는 2진법적 논리전개가 가능해졌다고 알려져 있다.
음과 양은 꼭 어느 쪽을 우선적으로 두거나 한 쪽을 다른 쪽보다 절대우월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항상 순환적인 상호관계를 가질 뿐이다. 마찬가지로 5行 역시 위계적이 아니라 순환적이다. 五行이 처음 나오는 곳은 『書經』'洪範篇'인데, 여기에는 水·火·木·金·土의 차례로 나오는데, 가장 오묘한 것으로부터 평범한 것으로 내려오는 순서를 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알려져 있던 다섯 행성 때문에 이러한 순서가 생겼다는 說도 있지만, 옛날 사용되던 주변의 재료들에서 이런 관념이 정착했을 거라는 說이 더 설득적이다.
서양의 4원소설처럼 원소 개념 비슷한 방향에서 이용되었지만, 동양의 5행은 오히려 그 상호 순환적인 변화과정으로 더 널리 활용되었다. 계절·방향·색깔·냄새·곡식·가축 등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다섯으로 나누고, 그것을 5행에 연계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것들은 일정한 순환적 관련이 있다고 믿었다. 또 5행의 각 원소는 무엇은 무엇을 낳는다는 相生說과 무엇은 무엇을 이긴다는 相勝說(相克說)로 전개되어, 훗날 한의학으로부터 역사해석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서 중국을 비롯한 동양사상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5. 생활 속에 스며든 자연관
☞ 충제와 생태계 보호
전라남도 진도에서는 산신에 올리는 제사의식인 충제(蟲祭)를 지낸다. 충제는 음력 6
∼7월 벼가 한참 자랄 무렵 농작물의 충해를 막기 위해 올리는 제사이다. 이 의식의
제문에는 "曦絶滅後有種(초절멸후유종)벌레를 죽이더라도 종자는 남겨 두십시오"라는
내용이 있다. 이는 벌레가 비록 인간의 입장에서는 해로운 존재이지만 생태계의 구성
원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생활관습에서의 자연보호
우리 조상의 생활관습 속에는 공동체 의식으로 자원의 남벌과 과도한 사용을 자제하고
생태계 유지에 힘쓴 흔적이 많이 있다. 이러한 의식은 동식물과 함께 사는 공동체 의
식의 표현이며,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려는 환경보전의 정신이다.
☞가을에 감나무 가지 꼭대기에 감을 따내지 않고 '까치밥'으로 남겨 놓거나, 들에 나
가 음식을 먹을 때는 먼저 고수레로 음식을 던졌다. 뜨거운 물은 반드시 식혀서 땅에
버림으로써 작은 벌레들을 보호했다.
☞조상들은 음식물 찌꺼기 중 큰 것은 돼지나 개에게, 잔찌꺼기는 닭에게 먹이고, 나
머지는 퇴비로 만들어 텃밭에 사용하면서 생활 속에서 자원절약을 실천했다.
☞전라남도의 충도라는 섬에서는 마을 공동소유의 산림을 3개 구역으로 나누고, 초가
을에 작업 일자를 정해 공동으로 땔감을 채취하고 삼림을 관리함으로써 남벌을 막았
다.
3. 결론
지금까지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본 생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서양의 경우는 자연과 인간을 분리해서 보았고 동양은 자연 속에 포함된 하나의 구성체로서 인간을 바라보았습니다.
서양의 철학은 근대에 많은 물질적 발전을 이루어냈지만 그만큼 환경의 오염이라는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있습니다. 서양의 철학에 대한 번성과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부각된 것이 동양철학입니다.
굳이 자연이 아니더라도 일상생활에서도 조화는 아주 중요하며 덕목으로 꼽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인간은 자신의 필요에 의해 자연과 생명을 개발하였습니다.
동양철학도 어쩌면 불완전한 사상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한 사실은 동양사상은 우리에게 조화를 가르쳐 주었고 인간은 자연 없이는 살아가기 힘든 존재며 자연을 보전해야만 인류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 보전을 위해 조화는 필수적인 방법인 것입니다.

키워드

동양사상,   생명 가치,   도가,   불가,   유가,   자연관,   생명,   묵가,   음양오행,   동양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12.30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7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