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지도를 활용한 교재개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역사지도의 개념과 교육적 기능
 1.역사지도의 개념
 2.역사지도의 종류
 3.역사지도의 교육적 기능
Ⅱ.역사지도의 내용 선정
 1. 초중고등학교 사회 및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역사지도 내용
 2.연구자가 선정한 역사지도 내용
Ⅲ.역사지도 학습을 위한 교재개발
 1. 조선시대의 주요 통신수단
 2. 고구려의 전성시대

본문내용

가서 전했을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을 사용했던 걸까요?
다음 역사지도를 통해 조선시대의 통신 수단에 대해 알아봅시다.
왼쪽 지도에 나타난 주요 역로 와 봉수로는 각각 몇 개인가요?
주요 역로와 봉수로(주봉)가 지나가는 곳을 써 보세요.
<역로>
<봉수로>
만약 동래 다대포(부산) 앞바다에 왜적이 쳐들어와 우리 수군과 접전이 벌어졌다면, 이 소식은 어떤 경로를 따라 한성에 전해지는지 찾아 써 봅시다.
위의 경우, 몇 개의 봉수로 나타내어야 하나요?
그리고 만약 걸어서 한성까지 소식을 전한다면 몇 일이 걸릴까요?
만약 전주지방과 같이 봉수가 지나가지 않은 지방에 왜적이 침입하였다면,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소식을 전했을지 써 봅시다.
봉수가 설치된 지역을 찾아보고, 그 특징을 써 봅시다.
위에서 찾은 특징으로 미루어 볼 때 봉수는 역로와 달리 어떤 역할을 했나요?
조선시대 역로와 봉수로가 중요한 이유를 써 보자.
<참고 자료>
조선 시대에는 기본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원활한 연락을 위하여 중요한 도로 에 약 30리(12㎞)마다 역을 두었다. 이 역이 있는 길인 역로를 따라 중요한 공문서나 나라에 바치는 귀중한 물건들이 전달되었다. 역마다 군사들을 두어 이런 일을 담당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나랏일을 보는 사람에겐 말(역마)과 숙소(원)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역에 있는 말을 이용할 때는 마패가 사용되었다. 마패에 그려져 있는 말의 숫자 만큼 말을 사용할 수 있었는데, 대개 사용하는 사람의 관직이나 품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관직이나 품계가 높은 사람이나 또는 긴급한 일을 하는 사람은 말의 숫자가 많이 새겨진 마패를 이용하였다.
또한 역과 함께 나라에 위급한 일이 생겼을 때 보다 빨리 소식을 전하기 위해 봉수를 사용하였다. 봉수는 높은 산 위에 대를 설치하고 밤에는 횃불, 낮에는 연기를 피워서, 나라의 위급한 일을 알리는 방법이다. 고려 의종 때에 시작하여 점차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체계적으로 정비되고, 전국에 걸쳐 약 673개의 봉수대가 만들어졌다.
봉수대는 짧게는 약 10리(4㎞)마다, 멀게는 약 40리(10㎞)마다 설치되었는데, 크게 5개의 길인 봉수로를 따라 소식을 전하였다. 전국 각지에서 올라오는 소식은 병조(兵曹)를 통해 매일 임금에게 알려졌다.
봉수에는 전국의 주요 선로에 위치한 직봉(주봉)과 그리고 간봉으로 나누어진다. 간봉은 직봉(주봉) 사이의 중간지역을 연결하거나 또는 관할 지역인 읍이나 군사들이 주둔하는 진에 보고하는 역할을 하였다. 만약 직봉(주봉)이 없는 지역에 왜적이 쳐들어 왔을 때는 간봉을 통해 읍이나 진에 보고하고 한편, 간봉을 따라 봉수의 주요 선로인 직봉에 전달되었던 것이다.
봉수대에서 일하는 사람을 봉수군이라 하였는데, 출퇴근과 교대로 근무하였기 때문에 반드시 부근의 주민 중에서 뽑았다. 그러나 이 일은 너무 힘들고 고달프다는 이유로 대부분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맡아서 하였다.
봉수는 어느 곳에서든지 12시간 내에 알리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봉수군들이 제대로 일을 하지 않거나 봉수대의 관리가 잘 안 되는 등의 이유로 전달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아니면 잘못 전달되기도 하였다. 만약 적과 접전했는데 거화하지 않거나 적이 침입하였는데 보고하지 않을 때는 봉수군이나 그 곳을 관장하는 수령은 모두 사형에 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봉수제도는 임진왜란과 같이 나라의 흥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이 발생했을 때에는 정작 제 구실을 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전신, 전화 등의 19세기 근대적인 통신 수단이 들어오면서 역과 봉수는 서서히 사라지게 되었다.
원이 있던 곳이나 역로를 따라서는 촌락이 형성되기도 하였는데 이태원, 퇴계원, 장호원, 조치원, 사리원, 역촌동, 역삼동, 말죽거리, 구파발 등은 이렇게 해서 남은 지명들이다.
Ⅲ. 역사지도 학습을 위한 교재 개발② -고구려의 전성시대
5세기 동북아의 강대국 - 고구려
고구려는 4세기 말, 광개토 대왕이 즉위하면서 강화된 국력으로 신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영토를 크게 넓혔다. 광개토 대왕은 먼저 4만의 군사로 백제를 공격하여 임진강 일대를 차지하였다. 이어 북쪽의 거란을 원정하여 많은 촌락을 파괴하고 가축을 빼앗았다. 그것은 후연을 공략하기에 앞서 그 배후의 거란을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백제를 다시 공격하여 여러 성을 함락한 후, 한강을 건너 백제의 수도에 육박하였다. 이에 백제가 굴복하고 일시적이나마 고구려에 복속하기를 맹세하여 고구려는 한강 이북의 땅을 모두 점령하였다. 남쪽의 후환을 없앤 고구려는 서북쪽의 후연을 격파하여 오래 숙원이던 요동 지방을 포함한 만주 대부분의 땅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그 여세를 몰아 동북쪽의 부여와 동쪽의 말갈을 굴복시켰다.
광개토 대왕의 위업을 계승한 장수왕은 영토가 넓어지자 다시 안으로 체제를 정비할 필요를 느껴 수도를 국내성에서 대동강 유역의 평양성으로 옮기고(427), 남진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백제와 신라를 압박하였다.
이에 백제와 신라가 동맹을 맺어 고구려의 남진 정책에 대항하였다.(433)
그러나 고구려는 3만의 군대를 보내 백제를 치고 한강 유역을 차지하였다.
한편, 백제는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수도인 한성을 비롯한 한강유역을 빼앗기고, 개로왕이 사로잡혀 죽음을 당하자 수도를 웅진성(공주)으로 옮겼다.(475)
이 때의 고구려 영토는 아산만에서 소백산맥을 넘어 영일만을 연결하는 지역에까지 미쳤다. 이러한 사실은 중원 고구려비를 통해 알 수 있다. 5세기 말에 고구려는 한반도의 중부 지방과 요동을 포함한 만주 땅을 차지하여 동북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위세를 떨쳤다.
역사 학습지 주제: 고구려의 전성시대
5세기 동북아의 강대국 - 고구려
고구려 전성기 때의 다음과 관련된 주요 사실과 상황을 지도에 표시해 봅시다.
① 5세기 경 삼국의 영토
② 삼국의 수도
③ 가야의 위치
④ 중원 고구려비
⑤ 주변의 여러 나라나 민족
앞에서 읽은 자료를 바탕으로 고구려 전성기-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 때-의 주요 사건을 연표로 만들어 봅시다.

주요 사건
광개토 대왕
장수왕
위에서 정리한 내용을 순서대로 위 지도 위에 나타내어 봅시다.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1.24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9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