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사상의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사상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외국의 영유아 보육사상과 역사
1. 고대~16세기의 보육
2. 17~18세기의 보육
1) 코메니우스의 아동관
2) 로크의 아동관
3)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
4) 18세기의 보육
3. 19~20세기의 보육
1) 페스탈로치의 교육
2) 프뢰벨의 킨더가르텐
3) 진보주의 교육사상
4) 몬테소리 어린이집
5) 빈곤아동을 위한 보상교육
6) 구성주의 이론과 영유아 보육

Ⅱ. 우리나라의 영유아 보육사상과 역사
1. 우리나라의 전통 아동관과 보육
1) 유학적 접근
2) 실학적 접근
3) 동학적 접근과 소파의 아동관
2. 우리나라의 보육기관
1) 해방 전 보육기관
2) 해방 후 보육기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라고 했다. 『격몽요결』은 조선시대 최고의 학자, 정치가였던 율곡 이이가 교육서로지은 책이다. 학도들에게 초보자가 공부해야 할 내용으로 자기 마음을 세우는 것, 몸소 실천할 일, 부모 섬기는 법, 남을 대하는 법, 삼각오륜(三綱五倫)을 실천하는 것으로 일상 행동에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성리학에 아동기를 정리해 보면 아동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인보다 미숙하다고 여기고 아동의 성장발달은 후천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아동의 삶은 성인이 된 후에 성현이 되는 것이 목표이었으므로 성실하고 근면한 생활자세와 학문 탐구를 강조했다.
2) 실학적 접근
실학에서도 아동의 본성은 선한 것으로 나타난다. 『사소절』을 보면 “지극히 중요한 일은 지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더한 것이 없다.”라고 하여 아동교육을 중요시함을 알 수 있다. 교육은 집안의 흥망성쇠와 관련되어 있고 부모가 교육을 위해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자교과서로『훈몽자회』를 만들었다. 당시의 수직적, 종속적 위계질서로 인해 아동은 관심의 대상은 되었으나 존중의 대상은 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3) 동학적 접근과 소파의 아동관
동학에서는 인간은 누구나 한울님(天)을 모신 평등한 존재로 인식하는 긍적적인 인간관에 기초하고 있다. 교육을 통하여 인간이 돌아가야 할 가장 이상적인 상태를 아동의 마음으로 보고 있다. 아동은 태어날 때부터 성인과 대등한 실력을 지닌 존재로 인식되었기에 존엄하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동학의 인식은 근대적인 아동관을 의미한다.
아동의 성장발달을 후천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아동교육은 개인뿐만 아니라 한 가정을 지키기 위해서도 중요하며 또한 아동의 존재가치는 국가와 민족을 구할 수 있는 귀중한 인재로 인식되었다. 조선시대 성리학, 실학, 동학에 나타난 아동관에서 본 것처럼 점차 아동을 독립된 인격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잇다.
소파 방정환은 1917년 청년운동단체인 ‘청년구락부’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천도교 소년회’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교육사업을 위한 신문화운동을 전개해 나가면서, 소파는 ‘어린이'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제1회’어린이날(1922년 5월 1일)을 제정하고 1931년 순수아동잡지인 『어린이』를 창간하고 아동문제연구회인 ‘색동회’를 창립했다.
소파의 아동관은 첫째 아동의 본성이 본래 선하다는 입장인 성선적(性善的)아동관, 아동을 천사로 보는 천사주의(天使主義)아동관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아동을 그 나름대로 개성과 인격을 지닌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있다. (어린이에게 존댓말 쓰기 운동) 세 번째로 아동이 환경과 관계 측면에서 유교적 전통이 팽배한 그 시대에 소파는 아동이 환격과 수동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좋은 환경을 향해 능동적으로 개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아동만이 갖는 환경과의 고유한 경험을 통해 독특하게 성장할 수 있는 존재로 보았다.
소파는 아이들의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 아동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것들을 교육내용으로 삼고 신체, 언어, 인지, 사회성 모두를 중요시했다. 소파가 주장한 영유아 보육원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차호일, 1988).
① 자발성과 흥미를 통한 교육
② 견학을 통한 교육
③ 놀이를 통한 교육
④ 칭찬과 대화를 통한 교육
⑤ 발달수준에 알맞은 교육
2. 우리나라의 보육기관
1) 해방 전 보육기관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볼 때 삼국시대는 가정보육 중심, 고려시대는 7~8세 아동을 위해 향교와 서당, 조선시대는 마찬가지로 가정보육과 서당중심 교육이었다. 일제 식민 시대에 우리나라 최초의 보육서비스는 1921년 서울의 태화기독교사회관에서 보육 프로그램을 개설함으로써 시작되었다. 1926년에 설치, 운영된 부산의 공생탁아소와 대구탁아소를 들 수 있다. 이 시기의 탁아소는 사회사업시설로서 일본 구호령에 근거를 두었고 극빈 자녀를 위한 구빈적 성격을 띤 보육서비스로 성격을 갖고 있었다.
2) 해방 후 보육기관
1949년 대한민국 교육법이 공포되어 유치원에 관한 조항 포함.
1961년 비로서 제정된 아동복리법에 의해 정부의 법정시설로서 보육서비스가 시행.
1962년 아동복리시설기준령 제정.
1968년 3월 ‘미인가 탁아시설임시조치요령’을 공포하여 민간 설립의 탁아시설 증설 권장.(탁아소를 어린이집으로 명명하여 줄 것을 권장)
1982년 12월에 새로 제정된[유아교육진흥법]에의해 민간유아원등 1,374개소의 어린이 시설이 새마을 유아원으로 통합되어 정부공인된 탁아시설은 없어지게 되고 유치원과 새마을 유아원만이 유아교육기관으로 존재하였다.
1987년 남녀고용평등법제정 공포 1989년까지 3개소의 시범 탁아소와 12개소의 직장탁아소설치.
1988년 서울시에서는 88탁아소 140개소를 새마을 유아원에 병설 또는 신설 운영. 이외에 영세민지역에 200개소의 지역탁아소가 자생적으로 생겨남.
1990년[영유아보호법]통과로 써보다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영유아보육사업의 법적근거마련.
1991년 영유아보육법과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이 제정, 공포.
1993년까지 교육법에 의해 새마을 유아원을 유치원이나 영유아 보육법에 의한 보육시설로 전환.
1997년 말 영유아보육법 일부개정.
2004년 영유아보육법 전문개정.
2004년 보건복지부에서 여성가족부로 보육업무가 이관.
2005년도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 수는 전체 보육아동 360만 명중 25%. 전국보육시설 총 25,319개소로 그중 국공립보육시설이 1,344개소(5.3%), 민간보육시설이 23,741개소(93.8%), 직장보육시설은 234개소(0.9%)인 것으로 나타났다(자료: http//mogef.go.kr)
<참고문헌>
공인숙 외(2002) 영유아보육론, 교육과학사
유가효 외(2000) 보육학개론, 창지사
서영숙, 김경혜(2006), 보육학 개론, 양서원
김경회 외 11명(2006), 보육학 개론, 창지사
양옥승 외 9명(1998), 세계의 보육제도, 양서원
박정란 서홍란(2005), 아동복지론, 양서원
이영 외(1995), 세계의 영유아보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세희, 보육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2.2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