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사] 조선시대의 여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사] 조선시대의 여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1

Ⅱ. 본론
 1. 조선 여성의 외양(外樣) ---------------------------------------------------- 1
 2. 조선시대의 여성관 --------------------------------------------------------- 2
 3. 가부장 사회 속의 여성 ----------------------------------------------------- 2
  (1) 무희와 첩
  (2) 혼인 제도로 본 여성의 지위
  (3) 결혼 생활과 여성의 지위
  (4) 조선 여인의 칩거
  (5) 호칭으로 본 여성의 지위
  (6) 남아 선호 사상
 4. 여성 - 일의 노예 ---------------------------------------------------------- 6
 5. 이혼과 그 뒤의 삶 --------------------------------------------------------- 8
 6. 변화하는 여성 ------------------------------------------------------------- 9
 7. 여성의 지위 변화 --------------------------------------------------------- 10

Ⅲ. 결론----------------------------------------------------------------------- 13

본문내용

임진왜란 때 명재상(名宰相)으로 이름을 떨친 유성룡이 죽은 후 재산을 나눈 기록인 분재기(分財記)를 보아도 재산 상속에 아들과 딸의 구분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 사회는 철저한 유교 중심 사회(儒敎中心社會)이면서 가부장 중심 사회(家父長中心社會)라고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반부까지도 모계 사회의 전통이 남아 있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이것은 칠거지악(七去之惡)이나 삼종지도(三從之道)와 같은 사회적인 제도가 아직 민중에까지 관철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흔히 과부(寡婦)된 여성의 재혼 금지 조항은 악법 중의 악법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나 여성의 차별에 중점을 둔 것이 아니고 양반의 수효를 줄임으로써 한정된 관직을 두고 경쟁자를 줄이려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첩의 자식[庶子]을 관리로 임명하지 않았음은 마찬가지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임진왜란이 끝나고 사회가 서서히 안정되어 가면서 위와 같은 상황이 달라진다. 즉, 전란 후에 양반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더욱더 철저히 경직된 주자학을 고집한다. 그리고 조선 전반기에 사회 일반에 교화했던 성리학적인 규범들이 사회에 관철되었다. 즉 조선시대가 철저한 유교 중심 사회(儒敎中心社會)이면서 가부장 중심 사회(家父長中心社會)라는 말은 이 시기에 와서야 적용이 가능하다. 즉 상속권에서 장자의 권리가 커짐으로서 여성의 상속권은 점차 줄어들었고, 출가외인(出嫁外人)이라는 말도 이 시기에 하나의 사회적인 관념으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에 자리잡은 관념들은 일제 강점기를 거쳐 현대 사회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여성의 지위 변화를 시대별로 구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고대 및 삼국시대
모계 사회가 존재. 신라의 경우 여왕이 존재. 국가의 수호신이나 농업신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함. 남성의 사회적 지위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거의 동등. 여성이 재산 소유 가능했을 것임.
고려시대
남녀 이혼이 빈번하게 일어남. 여성의 재산이 보호됨. 재혼녀의 경우 전남편의 자식에게 음서혜택이 주어짐. 재산 상속에 있어 균분상속이 이루어짐. 부모 봉양의 책임은 남녀구별 없이 같이 지고 있었음. 여성이 호주가 될 수 있었음.
조선시대
전기
고려 시대와 비슷. 하지만 여성의 재혼이나 이혼에 대해서 제한이 생김. 재산 상속에 있어서 남녀 구별이 없음.
조선초기에 강조되었던 유교적 규범들이 사회에 적용되기 시작함. 장자의 권한이 강해져 재산상속에 장자의 권리가 커짐, 부모봉양도 장자가 하기 시작. 여성은 상속에서 배제. 출가외인이라는 말이 등장.
후기
Ⅲ. 결론
이처럼 조선시대의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현격히 사회에서나 집안에서도 행동의 제약을많이 받았다. 여러 가지의 의견 중에 ‘여자의 무식함은 오히려 덕이 된다’는 말이 기억에남았다. <무학(無學)과 유순의 미덕> 이란 사회제도 하에서 똑똑한 여자는 그 제도의 파괴자로 배척 당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여자의 무식함은 오히려 덕이 되었다. 여자는 글을 알아도 함부로 쓰지 아니함을 미덕으로 여겼고, 아들에게는 글을 가르치되 딸에게는 되도록 가르치지 않았다. 가르친다 해도 기초적인 교양 정도였다. 여자의 글은 문밖에 내어가지 않고 모두 불태워버렸다. 허균의 누이이자 여류시인이었던 허난설헌도 죽기 전 방안에 가득했던 자신의 작품들을 모두 소각시켰다고 한다. 그러면 오늘날 전해지는 허난설헌의 작품은 허균이 누이의 유작을 중국사신에게 자랑삼아 보였고, 그것을 가져간 중국 사신에 손에 의하여 출판되어 우리 나라로 들어온 것이었다. 이 내용을 보아도 조선시대 여성들은 자기이름으로 떳떳하게 책을 출판하지도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여자는 유순함을 제일의 덕목으로 삼았다. "아들은 이리 같아도 오히려 약할까 걱정하며 딸은 쥐 같아도 오히려 범 같을까 걱정한다"는 말처럼 여자에게는 ‘유순'과 ‘공경'만이 으뜸의 덕이 되었다. 이는 곧 남편의 말을 하늘같이 받들고 거역해서는 안된다는 가르침으로 나타났다.
여성에게 강요된 덕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잘 알 수가 있다. 그리고 이미 성차별이 존재하는 현실이 있기 때문에 차이를 주장하는 유교이론이 조선시대에 나온 것 같다. 그러므로 유교 전통에서 남녀의 역할 구분과 조화의 긍정적 의미를 찾아가는 노력은 유의미하다. 여성억압의 반대가 남성억압일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 노력이 억압의 근본 기제를 변혁하지 못하는 위험성이 있을 것이다. 여성의 인권침해라기보다는 "이미 성차별이 존재하는 현실이 있기 때문에 차이를 주장하는 유교이론이 나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근본 사상에 대한 심각한 문제제기를 "이상은 좋았는데 현실은 나빴다." 라는 논리로 대해서는 안 된다. 이상이 좋았다면, 그것을 가능하게 한 사회, 문화적 맥락이 있었을 것이다. 문제는 그 사라진 맥락을 재건하는 정밀한 노력이다. 조선시대는 문화적 배경자체가 여성의 전체적인 활동들을 막고있는 것들을 보여주기 때문에 현대의 여성들은 그것에 비하면 시대를 잘 만났다고 할 수 도 있겠지만, 근대의 여성들의 노력으로 인한 자기권리와 인권을 찾게되었다고 생각했으면 한다. 아직도 현대에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에 발목을 잡는 것들이 있지만 이것은 다른 누군가가 해주길 바라는 것이나 세상이 바뀌면 바뀌겠지 라는 아니한 생각보다는 자기자신이 작은 곳에서부터, 기회가 된다면 큰 곳에서도 자기의 권리와 의견들을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하여야된다.
< 참고자료 >
이배용 외.『우리 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청년사. 1999.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 생활사』.역사비평사
신정숙. 『한국전통사회의 여성생활문화』. 대광문화사. 1984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문학과 지성사. 1997
박용옥. 「이조여성사」, 춘추문고 018, 한국일보사, 1976.
박석분박은봉. 「인물여성사」, 새날, 1994.
http://www.kwdi.re.kr:7070/introduction/intro.jsp
http://osan.hs.kr/~chosun/main.php3?maid=1&mid=8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3.15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4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