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의 이해] 고전소설 바리공주를 통해 살펴본 우리 민족의 민속종교문화 - 무와 바리공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소설의 이해] 고전소설 바리공주를 통해 살펴본 우리 민족의 민속종교문화 - 무와 바리공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주제

- 목적

- 들어가기
 1. 서사무가란?
 2. 바리공주에 대해서

- 무, 그리고 바리공주
 1. 무당의 첫 탄생신화
 2. 여성 신화
 3. 무에서 바라보기
   -1. 탄생, 버려짐
   -2. 저승관
   -3. 극락천도
   -4 .영약
   -5. 무당

- 결론

- 나아가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한 중요 요소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유교적 덕목인 ‘효’만이 부각되어 무(巫)로서의 바리공주의 모습은 많이 잊혀져가고 있다. 무(巫)적인 요소로 바리공주를 연구한 수도 적은 것이 그 이유라고 본다.
‘바리공주’ 곳곳에서 드러나는 무(巫)에 대한 요소는 주인공 ‘바리공주’ 뿐 아니라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렇기에 단순히 모든 작품을 주류 학문인 도교, 불교, 유교 등의 시선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그 문학에 알맞은 시선을 갖추고 바라보아야 하는 태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나아가기
우리는 흔히 현대화를 서구화와 동일시한다. 이러한 관념은 우리의 근대시기에 많은 문물들이 서구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현재의 우리가 옷, 주거 등과 같은 표면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내면적으로도 사고의 틀이 많이 서구화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변모된 사고의 틀로 과거의 사고의 틀로 쓰인 고소설을 볼 때, 이해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의 고소설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난 시대의 생활 감정이나 관습, 사상, 철학을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 우리는 서구적인 것을 곧 현대적인 것으로, 그 현대적인 것은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것으로 믿어버리는 문화 식민지적 학문풍토 속에서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편견을 길러 왔다. 그 대표적인 예로 무(巫)를 미신이라고 여기며 단순히 비과학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무속에 대한 편견을 지양해야만 우리는 비로소 무속문화의 본질과 가치를 제대로 계승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지금까지 현재에서도 실제로 굿판에서 불리어지는 무가를 통해서 텍스트의 의미구조를 살펴보았다. ‘바리공주’는 문학을 통해 민속신앙 속에서 신화가 표상하는 세계가 굿 연행의 과정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를 볼 수 있는 작품이다. 그렇기에 ‘바리공주’를 통해 드러나는 우리 전통 민속신앙 속에서 드러나는 과거의 사고의 틀, 사상, 철학 등을 관찰하여 그 틀로 보았다. 현재 무(巫)와는 상당히 다른 문화적 사회적 배경 속에서 자란 요즘 사람들이 오랜 세월 미신업자로 천대받던 무당이 구연한 서사무가를 독자로써 읽을 때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일반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무(巫)에 대한 관습을 잘 연결시켜 연구해 소개하는 것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또 무(巫)는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무궁무진한 우리 고유의 문화이기 때문에 ‘바리공주’와 같은 문학작품을 토대로 개작 또는 드라마, 영화, 게임 등과 같은 콘텐츠로 개발시키기는 데에 탁월한 요소이다. 우리 고유의 콘텐츠로써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무(巫)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무의 세계관과 서사무가의 예술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렇게 우리 민속종교인 무속신앙은 오랜 전통, 관습 등을 담고 있기에 과거의 사고의 틀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이는 우리 고유의 문화이기에 세계화에 나아 갈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써 좋은 콘텐츠이다. 이러한 장점들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분명 우리 고유의 문화를 서구화로 변모된 눈이 아닌, 우리의 눈으로 바라보고 관심을 가져야 함이 분명하다.
- 참고문헌
김명호 외 13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김진영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 1,2」, 민속원, 1997
서대석, 「우리 고전 캐릭터의 모든 것 2」, 휴머니스트, 2008
조흥윤, 「한국의 샤머니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최길성, 「한국 무속의 이해」, 예전사, 1994
유선영, 「<바리공주>를 통해 본 한국인의 죽음관」,『한국의 민속과 문화』,Vol. 13, 2008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3.28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