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 한국사.pp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 한국사.pp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衣 – 전통 의복 소개
衣 – 한국 의복 특징


食 – 전통 음식 소개
食 – 한국 음식 특징


宙 – 한옥 소개
宙 – 지방에 따른 가옥구조의 차이

본문내용

한국민속 민중사
-한국의 의식주




衣 – 전통 의복 소개




복식문화의 발달
 • 유교이념의 추구
 • 중국과의 교역

조선 전기의 복식
 • 모든 계층에 따른 복식 정비
 • 고려시대 도입된 몽고풍의 소화

조선 후기의 복식
 • 전란의 영향으로 문물의 손실이 커서 복식 제도가 문란
 • 영조 · 정조 : 우리 옷의 미적인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

조선시대의 복식 문화는 사회 제도의 발전과 더불어 크게 발달하였다. 조선 시대는 삼국 시대 이래의 복식 문화를 꽃피워 아름다운 한복 양식을 완성시킨 시기라 할 수 있다.
곧, 왕복, 왕비복, 백관복, 선비복과 같은 특수복이 제정되기도 하였으며 임금이 바뀔 때마다 수없이 내려진 복식 금제만 보더라도 조선 시대에 한국 복식 문화가 어느 정도 발달하였는지를 잘 나타내 준다.
유교 이념의 추구로 복식 제도가 재정비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복식 의식이 정착되었으며 중국과의 교역으로 한복 양식이 더 높은 수준으로 완성되었다.
조선 시대의 복식은 임진왜란(1592-1598)과 병자호란(1636-1637)을 사이에 두고 전기와 후기로 구분해 살필 수 있다.
조선 전기는 왕조의 창업과 수성에 따른 복식 제도의 변혁기로 숭유억불의 사대 명분론을 좇아 왕의 면복, 곤복, 왕비의 적의, 백관의 조복, 제복, 공복, 상복, 융복, 군복, 갑옷, 이서복, 환시복 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의 따른 복식을 정비하였다.
한편 우리의 고유한 전통 복식은 고려 시대에 도입된 몽고풍의 영향을 소화하였으며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고름이 생겼다. 이 때에 근세 한복의 전통 양식이 성립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또 전란의 영향으로 문물의 손실이 커서 복식 제도가 문란해졌다. 이를테면 전란 중에 임금과 백관이 모두 융복으로 철릭을 입었는데 전란 후에도 백관복을 회복하지 못하고 상하가 모두 철릭을 입었다.
영조와 정조 때에 이르러서는 왕조 체제가 재정비되고 문화 예술이 진흥하여 양반과 상민의 질서가 혼란해진 데다가 사치 풍조가 겹쳐 우리 옷의 미적인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래서 권위와 여유가 있어 보이는 갓과 도포, 꼭 끼는 짧은 저고리와 풍만한 치마, 거창한 머리 모양 따위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당시의 풍속화에도 잘 나타나 있으며 이 대에 현대 한복에 이어지는 복식 전통이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중기와 후기는 조선 복식의 완성기라고 할 수 있다.




衣 – 남자 복식 : 왕복과 왕세자복

 ≪ 그 림 ≫

• 익선관 곤룡포를 착용한 태조 어진을 보면 곤룡포의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보를 달았음

• 이 용은 발톱이 다섯 개인 오조룡으로 지존의 위엄을 나타내고 있음

• 세자는 사조룡, 세손은 삼조룡으로 함(조선 초기)

〓〓〓〓〓〓〓〓〓〓〓〓〓〓〓〓〓〓〓〓〓〓〓〓〓〓〓〓〓〓〓〓〓〓〓〓〓〓〓〓〓〓〓〓〓〓〓〓〓〓〓

왕복은 태종 3년 11월에 명나라에서 황엄이 면복과 왕비복을 처음으로 가져왔다. 이것은 면복에 열두 가지 수를 놓은 중국 명나라 황제의 십이장복보다 2등이 낮은 구장복이다.
왕의 제복으로 면복과 조복에는 원유관과 강사포가, 상복에는 익선관과 곤룡포가 따르며 중의로 첩리와 답호가 있었다. 전쟁 때에는 전립에 융복을 입고 한가하게 거처할 때에는 편복을 입었다.
왕세자복은 세종 8년 2월에 제정되었고 왕복과 같이 여러 종류가 있었다. 왕이 용의 발톱이 다섯 개인 오조룡포를 입었던 것과는 달리 왕세자의 곤룡포는 사조룡포였고 왕세자가 성인이 되기 전까지는 항상 공정책을 썼다.





≪ … 중 략 … ≫




食 – 전통 음식 소개




食 – 일상식 : 반상

 ≪ 사 진 ≫

• 밥, 국, 김치를 기본으로 차림

• 첩 : 뚜껑이 있는 반찬 그릇

• 밥, 국, 김치. 장 , 조치(찌개), 찜, 전골 등을 제외한
 반찬그릇 수에 따라 3, 5, 7, 9, 12첩 반상으로 나뉨

 3첩 : 서민층,
 5첩 : 여유가 있는 서민층,
 7첩, 9첩 : 양반층
 12첩 : 수라상이라 하여 임금님만 드실 수 있었음

• 그릇도 용도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름

 국 그릇 : 바리
 김치 그릇 : 보시기
 반찬 그릇 : 쟁첩
 간장, 고추장 그릇 : 종지
  • 가격4,000
  • 페이지수78페이지
  • 등록일2013.05.03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8429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