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민주적 부모교육이론과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
1) 드라이커스의 민주적 부모교육이론
2) 기노트의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
2. 민주적 부모교육이론과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의 목표
1) 드라이커스의 민주적 부모교육이론의 목표
2) 기노트의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의 목표
3. 민주적 부모교육이론과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견해
1) 드라이커스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견해
2) 기노트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견해
4. 민주적 부모교육이론과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의 부모교육의 원리(실제 예를 첨가하여 작성)
1) 드라이커스의 부모교육의 원리
2) 기노트의 부모교육의 원리
5. 결론
참고문헌
1) 드라이커스의 민주적 부모교육이론
2) 기노트의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
2. 민주적 부모교육이론과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의 목표
1) 드라이커스의 민주적 부모교육이론의 목표
2) 기노트의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의 목표
3. 민주적 부모교육이론과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견해
1) 드라이커스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견해
2) 기노트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견해
4. 민주적 부모교육이론과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의 부모교육의 원리(실제 예를 첨가하여 작성)
1) 드라이커스의 부모교육의 원리
2) 기노트의 부모교육의 원리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속감을 얻으려고 잘못된 행동목표(mistaken goals)를 세우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행동을 하게 되는데, 드라이커스가 분류한 네 가지 잘못된 행동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관심끌기(서비스 받기) : 자신이 가정에 심리적으로 소속되지 못하고 의미있는 공헌을 하지 못한다고 결정한 아동들은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어야만 안전한 위치를 차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동은 좋은 방법으로 주의를 끌려고 하지만, 만일 그러한 방법으로 관심을 얻지 못할 때에 나쁜 방법으로라도 관심을 끌려고 한다.
② 권력 행사하기(힘 행사하기, 반항하기)
아동은 모든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고 누구도 자신을 지배할 수 없다고 생각할 때, 자 신이 가치 있다고 느끼며 그 집단에서 소속감을 느낀다. 즉, 가정에서도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부모가 못하게 한다는 것을 인식하면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을 해야만 가정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판단하여 자신의 힘과 능력을 시험해 보고 싶어한다.
③ 보복하기(앙갚음, 복수)
힘 행사하기에 대한 투쟁이 계속되어 일단 부모를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면 아동 은 생각을 바꾸어 세 번째 목표인‘보복하기’를 추구하게 된다. 이때 아동은 자신이 사랑받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또 그렇게 믿어 버린다. 자신이 상처받은 만큼 다른 사람도 상처받아야 한다고 느낄 때 추구하는 목적이 보복하기이다.
(2) 아동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이해와 전략
아동을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 그리고 인생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알아야 한다. 또한 그들은 자신의 논리에 의해 생활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아동이 실수를 하고 실망할 때, 자부심을 갖고 사회집단에 소속되고 싶은 행동대신 다른 방법으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싶어한다.
드라이커스가 주장하는 잘못된 행동의 5가지 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그의 가족, 지역사회에 소속되고 싶음
② 자신에게 주의, 보살핌으로 다른 사람을 바쁘게 만들고 싶음
③ 다른 사람을 이기고 싶음, 그리고 반항하고 싶음
④ 자신을 괴롭히고 있다고 믿고 있는 사람에게 보복하고 싶음
⑤ 보호받고 싶어서 움츠러 들고, 다른 사람의 기대에 따르지 않고 무기력해짐
모든 행동의 이면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숨겨진 목표가 있게 마련이다. 아동들이 행동목표를 잘못 선정하여 문제행동을 일으키게 될 때에 아동들이 사회적 작용을 할 때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① 관심끌기(서비스 받기) : 자신이 가정에 심리적으로 소속되지 못하고 의미있는 공헌을 하지 못한다고 결정한 아동들은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어야만 안전한 위치를 차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동은 좋은 방법으로 주의를 끌려고 하지만, 만일 그러한 방법으로 관심을 얻지 못할 때에 나쁜 방법으로라도 관심을 끌려고 한다.
② 권력 행사하기(힘 행사하기, 반항하기)
아동은 모든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고 누구도 자신을 지배할 수 없다고 생각할 때, 자 신이 가치 있다고 느끼며 그 집단에서 소속감을 느낀다. 즉, 가정에서도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부모가 못하게 한다는 것을 인식하면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을 해야만 가정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판단하여 자신의 힘과 능력을 시험해 보고 싶어한다.
③ 보복하기(앙갚음, 복수)
힘 행사하기에 대한 투쟁이 계속되어 일단 부모를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면 아동 은 생각을 바꾸어 세 번째 목표인‘보복하기’를 추구하게 된다. 이때 아동은 자신이 사랑받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또 그렇게 믿어 버린다. 자신이 상처받은 만큼 다른 사람도 상처받아야 한다고 느낄 때 추구하는 목적이 보복하기이다.
(2) 아동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이해와 전략
아동을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 그리고 인생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알아야 한다. 또한 그들은 자신의 논리에 의해 생활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아동이 실수를 하고 실망할 때, 자부심을 갖고 사회집단에 소속되고 싶은 행동대신 다른 방법으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싶어한다.
드라이커스가 주장하는 잘못된 행동의 5가지 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그의 가족, 지역사회에 소속되고 싶음
② 자신에게 주의, 보살핌으로 다른 사람을 바쁘게 만들고 싶음
③ 다른 사람을 이기고 싶음, 그리고 반항하고 싶음
④ 자신을 괴롭히고 있다고 믿고 있는 사람에게 보복하고 싶음
⑤ 보호받고 싶어서 움츠러 들고, 다른 사람의 기대에 따르지 않고 무기력해짐
모든 행동의 이면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숨겨진 목표가 있게 마련이다. 아동들이 행동목표를 잘못 선정하여 문제행동을 일으키게 될 때에 아동들이 사회적 작용을 할 때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부모교육의 이론
2010년 1학기 부모교육 중간시험과제물 A형(드라이커스와 고든의 부모교육 이론 비교)
기독교 부모교육 이론 (가정교육)
부모교육(개념과의미, 목적, 필요성 및 문제점, 내용, 이론, 효과, 프로그램사례, 동서양비교...
상호교류분석적 부모교육 이론
드레이커스의 민주적 부모교육
부모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과 부모교육 이론에 근거한 다양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약술...
★토마스 고든의 부모효율성 이론과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여러 부모교육 이론 중 관심이 있는 부모교육 이론을 선정하여 실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자...
프로이드(Frued)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부모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기술
★★부모 교육의 정의와 필요성 및 부모교육 이론 및 부모 교육 프로그램★★
드라이커스(Dreikurs)의 민주적 부모교육
드라이커스 Dreikurs의 민주적 부모교육 PPT
[부모교육] 번의 상호교류분석이론(상호교류분석적 부모교육의 이론과 기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