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 핵심 역량에 대하여 (NAVER, 네이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HN 핵심 역량에 대하여 (NAVER, 네이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NHN 기업의 선정 이유 및 핵심 역량
1) NHN 기업 선정 이유
2) NHN 기업의 핵심 역량

2. NHN의 기업의 역사

3. NHN 기업의 핵심 역량에 대하여
1) NAVER 검색 포털 서비스
2) Han Game
3) 쥬니어 네이버
4) 검색
5) 게임
6) 디스플레이 광고
7) 전자상거래

4. NHN 기업의 SWOT 분석
5. NHN 기업의 영업 개황
6. 업계 주요이슈
7. 결론

참고문헌

# 첨부자료
- NHN 기업의 핵심 역량에 대하여
1) 사회
2) 정치
3) 경제
4) 기술

- NHN 기업의 핵심 역량에 대하여
1) 젊은 직원들 모인 사내벤처로 출발
2) 게임과 포털, 양대 축 구축
3) 한게임, 국내 최고 게임포털 도약
4) 혁신적인 서비스로 포털 지존 등극
5) 현지화 전략 통한 해외진출

본문내용

사건이었다. 1999년 12월 정식서비스를 시작한 한게임은 웹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새로운 형태의 게임서비스로 당시 엄청난 인기를 누렸고, 회원 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주목받았다. 하지만 뚜렷한 수익모델이 없었고, 급격히 늘어나는 회원 수를 감당하기 어려웠다. 당시 네이버컴은 투자를 받아 자금의 여유가 있었고, 한게임의 회원 수와 트래픽을 활용하면 정체 상황인 포털시장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한게임을 이끌던 김범수 대표와 이해진 의장은 서울대 동기이자 삼성SDS 입사 동기로, 회사의 이해관계와 두 사람의 마음이 맞아떨어지면서 합병 작업은 순식간에 진행되었다. 네이버와 한게임은 2000년 4월 전격적으로 합병을 발표했다. 두 회사의 합병은 학계에서 성공적인 인수합병(M&A) 사례로 꼽을 정도로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으며, 실제로 네이버와의 합병 이후 기대했던 대로 시너지를 내기 시작했다. 합병 후 2001년 9월, 네이버는 Next Human Network, 즉 지금의 NHN으로 사명을 변경을 하였다. 검색과 게임 두 개의 축을 구축한 NHN은 본격적인 성장가도를 달릴 준비를 마쳤다.
3) 한게임, 국내 최고 게임포털 도약
많은 이용자에도 불구하고 수익모델이 없던 한게임은 2001년 업계 최초의 유료화를 시도를 했다. 한게임은 유료화가 실패할 것이라는 대부분의 예상을 뒤집고, 유료화 첫날 1억원에 가까운 매출을, 한 달 만에 7억원을 거둬들였다. 결국 한게임의 성공적인 유료화에 힘입어 NHN은 2000년 79억원의 적자기업에서 2001년 53억원의 흑자로 전환했다. 현재 한게임은 웹보드게임 뿐만 아니라 캐주얼, 롤플레잉게임(RPG), 일인칭슈팅(FPS)게임, 스포츠게임 등 다양한 장르를 망라한 340종의 게임 라인업을 구축, 회원 수 3000만명, 최고 동시접속자수 29만명에 이르는 국내 최고의 온라인게임 포털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게임의 고속 성장과정에서 사행성 논란이 일기 시작했다. 고스톱과 포커로 대표되는 웹보드게임의 게임머니를 사고파는 불법 환전상의 등장이 문제였다. 한게임은 그린게임캠페인 등으로 이용시간 제한과 게임머니 보유액 하향 등 건전한 게임이용을 위한 장치를 도입하였지만, 불법 환전상들로 인해 논란은 계속되었다. 이에 한게임은 사행성 굴레를 벗기 위해 퍼블리싱 전문 업체로의 대대적인 변신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웹보드 게임의 매출이 떨어지는 것도 감수하고 있었다. 실제로 한게임은 ‘웹보드 게임 매출 축소와 게임서비스 건전화’라는 혹독한 체질개선 노력으로 2009년 3분기 이후 지속적인 매출 감소를 겪어 왔다. 그러나 올해 초 출시한 대작 ‘테라’가 꾸준히 동시접속자수 17만명을 기록하는 성공을 거두면서 퍼블리싱 명가로 거듭나고 있다.
4) 혁신적인 서비스로 포털 지존 등극
네이버가 포털 시장에 진입했을 당시에는 야후와 라이코스 등 글로벌 업체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고, 국내의 ‘다음’과도 치열하게 경쟁해야 했다. 네이버는 포털 시장에서 서서히 이름을 알려갔지만 순위를 끌어올리는 것이 쉽지 않았다. NHN은 이용자들이 검색 서비스로부터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단지 ‘사이트’가 아닌 ‘정보’라는 것에 주목해, 양질의 정보를 더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고민해 왔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세계 최초로 ‘통합검색’을 개발했다. 이어 선보인 ‘지식인(지식iN)’은 획기적인 서비스로 네이버의 성장을 이끈 신호탄이 되었다. 네이버가 서비스를 시작했던 1999년, 한국 웹사이트 수는 5만개에 불과해 검색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얻기가 힘든 상황이었다. 이 때 네이버는 세계 최초로 네티즌들의 머리속에 들어 있는 지식을 데이터화할 수 있도록 네티즌들의 Q&A를 검색 서비스로 제공하는 색다른 접근을 시도했는데, 이것이 바로 지식인 서비스의 출발이다. 지식인 서비스는 세계적인 인터넷 기업 야후의 ‘앤서즈(Answers)’ 서비스라는 이름으로 벤치마킹되는 등 단지 존재하는 정보를 찾아내는 검색에서 정보를 생산해내는 검색 사이트로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2004년 마침내 포털 검색시장에서 1위에 오른 네이버는 뉴스, 지식쇼핑, 블로그 및 카페, 지역정보, 지도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각종 인터넷 지표 조사에서 확고한 선두 지위를 지켜왔다. 특히 2009년 1월에는 메인 페이지 개편을 통해 자유롭게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개방형 정보 유통 플랫폼 ‘뉴스캐스트’와 ‘오픈캐스트’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이며 열린 인터넷 세상을 선도하고 있다.
5) 현지화 전략 통한 해외진출
해외 진출도 일찌감치 시작했다. 검색과 게임 모두 전례가 없던 해외 진출이었던 만큼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며 노하우를 쌓아가고 있다. 현재는 일본에서 게임과 검색, 미국에서 게임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각 나라별 철저한 현지화 전략과 다년간 습득한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NHN은 한국·일본·미국에서 최고 동시접속자수 약 45만명에 이르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했다. 올해로 진출 11주년을 맞은 일본 한게임은 일본인들이 좋아하는 전통 게임을 온라인으로 구현하는 등 일본 이용자들의 특성과 취향을 반영한 200여개의 온라인게임을 서비스를 한다. 이를 통해 회원 수 3500만명 이상을 보유한 일본 최고의 온라인 게임 포털로 성장했습니다. 2008년 모바일 서비스를 시작한 NHN재팬에서는 기존의 모바일 서비스 외에, 지난 7월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 등 일본 내 최초로 스마트폰용 게임 포털서비스를 시작했다. 한 달여 만에 애플 앱스토어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1위를 차지하는 등 PC와 휴대폰 게임서비스로 축적해온 노하우를 활용해 일본 내 모바일 게임시장도 장악해가고 있다. 2009년 7월에는 ‘함께 찾는 검색’ 네이버도 선보였다. 네이버재팬은 야후나 구글과 차별화된 검색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참여형 검색인 마토메나, 통합검색, 이미지검색, N드라이브, 마이크로 블로그 pick, 토픽검색 등 독자적인 서비스를 선보이며, 현재 월간 1200만 순방문자수(UV), 1억7000만 페이지뷰(PV) 등을 기록하며 성장해 가고 있다.

키워드

NHN,   핵심,   역량,   NAVER,   포털,   네이버,   NHN 기업,   핵심 역량,   SWOT 분석,   IT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5.1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6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