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아기 발달의 특징
2. 영아의 개월에 따른 운동발달
3. 영아의 개월에 따른 신체발달
4. 영아의 개월에 따른 인지발달
5. 영아기의 정서 상태
Ⅲ. 결론
참고문헌
# 첨부자료 - 영아기의 정서상태
Ⅱ. 본론
1. 영아기 발달의 특징
2. 영아의 개월에 따른 운동발달
3. 영아의 개월에 따른 신체발달
4. 영아의 개월에 따른 인지발달
5. 영아기의 정서 상태
Ⅲ. 결론
참고문헌
# 첨부자료 - 영아기의 정서상태
본문내용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아동발달세미나
전남련, 아동복지, 형설출판사, 2006
양승희, 보육과정, 서울: 동문사, 200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2
# 첨부자료 - 영아기의 정서상태
(1) 생후 1개월 된 아기는 흥분, 고통, 기쁨, 분노, 두려움과 같은 정서표현이 다양하다. 아기의 욕구를 빨리 충족시켜 주고(수유, 기저귀 갈기, 불편한지 체크하기), 동무로서 아기를 대해 주는 것(온화한 목소리 내기, 부드러운 음악 들려주기, 노래 불러 주기)은 아기들이 안심을 하고 신뢰감을 발달시키도록 돕는다.
(2) 생후 3개월 된 아기는 즐거움과 기쁨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 상태를 보여준다. 즐거움을 강화시켜 주기 위한 새로운 장난감과 기회를 도입한다. 교사는 기쁜 감정을 표현하고, 웃음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게임을 한다. 이제 부정적인 정서도 나타난다.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은 교사가 새로운 사람을 서서히 소개하고, 아기가 안전하다고 느낄 때까지 기다릴 때 감소될 수 있다. 만일 아기가 무서워하면 아기를 편안하게 해 준다. 아기들은 좌절과 분노도 나타낸다. 교사는 한꺼번에 너무 많은 장난감이나 사람들을 대하게 해 과잉자극을 받지 않도록 조심해야만 한다. 주위를 조용하게 하고 꼭 껴안아 주면 아기는 평온해질 수 있다.
(3) 생후 6개월이 되면 친숙하지 않은 환경에 대한 두려움이 우세해지며 특정인에 대한 애착형서의 표시인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나타난다. 새로운 환경을 소개할 때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소개한다. 아기들은 화난 것을 표현할 수 있으며 짜증을 부리기 시작한다. 교사는 아기가 화난 이유를 알아내어 가능하면 그 상황을 제거해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기들은 종종 놀잇감, 상황, 사람을 거부함으로써 불쾌감을 나타내 보인다. 몇 개의 장난감이나 몇 가지 활동을 선택하도록 해준다. 선택은 불쾌감을 없애는 데 도움을 준다. 기쁨이나 즐거움 같은 긍정적인 정서도 나타난다. 교사는 기쁘고 즐거운 태도를 보임으로써 긍정적인 정서를 촉진시킬 수 있다.
(4) 생후 9개월 된 아기는 다른 사람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것을 좋아한다. 교사가 그것을 기쁘게 받아들이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사랑한다는 표현을 하면 아기의 그런 행위를 강화시킬 수 있다. 교사는 아기를 따뜻하게 안아 주고 말을 건넨다. 자아존중감이 이 시기에 발달하기 시작한다. 정성을 다해 보살펴 주는 태도를 보이고 아기를 아주 특별히 대해줌으로써 아기가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아기는 더욱 더 독립심을 키우고자 하는데, 교사는 아기가 갖고 있는 기술과 과제를 연습할 수 있도록 많은 기회를 제공해 준다.
(5) 생후 12개월 된 아기는 매우 귀엽다. 아기 말과 행동으로 자시의 정서를 표현한다. 교사의 정성어린 양육과 수용적인 태도에 반응을 한다. 또한 아기는 유머감각을 발달시킨다. 우스개 행동을 하며 즐거워하는데, 엉뚱한 몸짓하기, 얼굴 찌푸리기, 우습게 옷 입기 등이 그 예다. 아이들은 보고 있는 사람이 있는 한 그러한 행동을 계속한다.
전남련, 아동복지, 형설출판사, 2006
양승희, 보육과정, 서울: 동문사, 200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2
# 첨부자료 - 영아기의 정서상태
(1) 생후 1개월 된 아기는 흥분, 고통, 기쁨, 분노, 두려움과 같은 정서표현이 다양하다. 아기의 욕구를 빨리 충족시켜 주고(수유, 기저귀 갈기, 불편한지 체크하기), 동무로서 아기를 대해 주는 것(온화한 목소리 내기, 부드러운 음악 들려주기, 노래 불러 주기)은 아기들이 안심을 하고 신뢰감을 발달시키도록 돕는다.
(2) 생후 3개월 된 아기는 즐거움과 기쁨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 상태를 보여준다. 즐거움을 강화시켜 주기 위한 새로운 장난감과 기회를 도입한다. 교사는 기쁜 감정을 표현하고, 웃음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게임을 한다. 이제 부정적인 정서도 나타난다.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은 교사가 새로운 사람을 서서히 소개하고, 아기가 안전하다고 느낄 때까지 기다릴 때 감소될 수 있다. 만일 아기가 무서워하면 아기를 편안하게 해 준다. 아기들은 좌절과 분노도 나타낸다. 교사는 한꺼번에 너무 많은 장난감이나 사람들을 대하게 해 과잉자극을 받지 않도록 조심해야만 한다. 주위를 조용하게 하고 꼭 껴안아 주면 아기는 평온해질 수 있다.
(3) 생후 6개월이 되면 친숙하지 않은 환경에 대한 두려움이 우세해지며 특정인에 대한 애착형서의 표시인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나타난다. 새로운 환경을 소개할 때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소개한다. 아기들은 화난 것을 표현할 수 있으며 짜증을 부리기 시작한다. 교사는 아기가 화난 이유를 알아내어 가능하면 그 상황을 제거해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기들은 종종 놀잇감, 상황, 사람을 거부함으로써 불쾌감을 나타내 보인다. 몇 개의 장난감이나 몇 가지 활동을 선택하도록 해준다. 선택은 불쾌감을 없애는 데 도움을 준다. 기쁨이나 즐거움 같은 긍정적인 정서도 나타난다. 교사는 기쁘고 즐거운 태도를 보임으로써 긍정적인 정서를 촉진시킬 수 있다.
(4) 생후 9개월 된 아기는 다른 사람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것을 좋아한다. 교사가 그것을 기쁘게 받아들이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사랑한다는 표현을 하면 아기의 그런 행위를 강화시킬 수 있다. 교사는 아기를 따뜻하게 안아 주고 말을 건넨다. 자아존중감이 이 시기에 발달하기 시작한다. 정성을 다해 보살펴 주는 태도를 보이고 아기를 아주 특별히 대해줌으로써 아기가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아기는 더욱 더 독립심을 키우고자 하는데, 교사는 아기가 갖고 있는 기술과 과제를 연습할 수 있도록 많은 기회를 제공해 준다.
(5) 생후 12개월 된 아기는 매우 귀엽다. 아기 말과 행동으로 자시의 정서를 표현한다. 교사의 정성어린 양육과 수용적인 태도에 반응을 한다. 또한 아기는 유머감각을 발달시킨다. 우스개 행동을 하며 즐거워하는데, 엉뚱한 몸짓하기, 얼굴 찌푸리기, 우습게 옷 입기 등이 그 예다. 아이들은 보고 있는 사람이 있는 한 그러한 행동을 계속한다.
추천자료
운동발달의 중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감각...
[신생아발달]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과 생리적 기능, 반사운동과 감각능력
영아의 지각운동능력발달 및 활동안
[유아기][유아기발달][유아발달][유아교육][유치원교육]유아기의 발달특성, 유아기의 사회성...
[유아기][유아기 건강][전인발달][운동발달][유아기 건강 관리]유아기의 발달특징, 유아기의 ...
[아동발달] 유아기 운동발달과 인지발달 - 대근육 운동발달, 소근육 운동발달, 지각의 이론 ...
[아동 발달] 아동기 운동발달 - 운동발달의 이해, 운동기능의 발달,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
[부모교육] 영아기의 발달 특징 가운데 다양한 운동 발달을 설명하고 부모의 역할을 쓰시오 (...
[영유아발달] 영아기의 소근육 운동과 협응능력 발달-소근육 운동발달, 시각-운동협응, 양측...
[영유아발달] ≪유아기 대근육 운동발달(大筋肉 運動發達)≫ 운동, 운동의 개념, 운동발달과정(...
영아기의 발달특징 가운데 다양한 운동발달을 설명하고 부모의 역할을 쓰시오 - 영아기 운동...
[아동발달] 연령별 유아기 소근육 운동발달 기능에 대해 서술하시오 - 소근육 운동발달
신생아기 운동능력발달(신생아의 근육발달, 운동발달, 조작기능의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