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中國’국가정보
1)중국
2)중국인의 성향
3)소비구조 및 소비패턴
2.중국시장
1)중국시장의 7가지 특성
2)중국의 상권
3)중국의 경제규모
4)중국의 GDP
3.중국의 수출입 동향
1)1분기 수출입 현황
2)주요품목의 수출입 현황
3)수출입 특성 및 전망
4.한중 FTA
1)한중FTA 협상개시 선언
2)한국과 중국의 관심사항
3)한중FTA 주요쟁점
4)한중FTA 경제적 효과
5)중국의 수출 경쟁력
5.중국시장 진출
1)고려해야 할 점
2)중국시장 진출 성공 사례
3)진출제품 중국 내 경쟁우위
1)중국
2)중국인의 성향
3)소비구조 및 소비패턴
2.중국시장
1)중국시장의 7가지 특성
2)중국의 상권
3)중국의 경제규모
4)중국의 GDP
3.중국의 수출입 동향
1)1분기 수출입 현황
2)주요품목의 수출입 현황
3)수출입 특성 및 전망
4.한중 FTA
1)한중FTA 협상개시 선언
2)한국과 중국의 관심사항
3)한중FTA 주요쟁점
4)한중FTA 경제적 효과
5)중국의 수출 경쟁력
5.중국시장 진출
1)고려해야 할 점
2)중국시장 진출 성공 사례
3)진출제품 중국 내 경쟁우위
본문내용
2) 중국시장 특성
- WTO가입으로 인한 내수시장 확대될 전망
- 공급자시장에서 구매자시장으로 급격히 전환
❶ 시장경제와 관료적 통제가 병존하는 시장
• WTO가입후 국가통제가 느슨하지만, 아직도 계획경제, 폐쇄성, 지역주의등 사회주의 특성이 잔존
❷ 거대한 내수시장
• 세계의 공장
• 서부대개발 프로젝트, 동북진흥공정, 북경올림픽, 2010상해엑스포 등의 대형국책사업 →대대적인 신규시장 창출
❸ 공급자시장에서 구매자시장으로 전환된 시장
• 공급과잉현상→ 기업간 가격경쟁 심화
• 제품 사이클이 짧다→ 장기적 안목으로 접근해야
❹ 세계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시장
• 휴일경제 : 춘절(春節, 음력설), 노동절(5.1), 국경절(10.1)→7일간 장기휴무로 내수 진작책
❺ 지방보호주의와 유통장벽이 큰 시장
• 1979년 개혁개방후 재정권과 상품의 가격결정권등 일부 권한을 지방에 이양→지방분권화
• 자기지방의 발전에 유리하도록 지방기업에 대한 차별적 보호와 특혜정책 추진
• 전국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외자기업에는 유통장벽으로 다가옴
❻ 브랜드 이미지가 매우 중요한 시장
• 높아진 소득수준으로 부유층 등장→ 유명브랜드와 외제품 선호
ex) 신라면, 초코파이
❼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유효 수명기간)이 짧은 시장
• 도입기→성장기→포화기→쇠퇴기, 소득수준 향상으로 유행의 변화속도가 빨라짐
<<중략>>
8. 한-중 FTA
1) 한중FTA 협상개시 선언 - 2012년 5월 2일 in 베이징
2005년 (한중 FTA 민간공동연구 개시) → 2007~2010년 (산관학 공동연구, 정부간 사전협의회)→ 2011년~현재 (양국간 FTA 추진에 대해 긴밀한 협의를 진행)
2012.01.09. (양국 정상간 FTA 협상개시를 위한 국내절차 추진에 합의) →
04.16. (우리 측 국내절차 완료) →05.02. (한중 FTA 협상개시에 관한 통상장관간 공동성명을 발표)
[-한중 양국은 2012년 5월 2일 베이징에서 통상장관회담을 갖고 한중FTA 협상개시를 선언
하였음
⑴ 한중 양국은 2005년 한중 FTA 민간공동연구 개시 이후 2007~2010년 산관학 공동연구와 이
후 수차례의 정부간 사전협의회 등을 통해 양국간 FTA 추진에 대해 긴밀한 협의를 진행해
왔음
⑵ 금년 1.9일 양국 정상간 FTA 협상개시를 위한 국내절차 추진에 합의한 후 4.16일 우리측 국내절
차를 완료한 바 있고, 5.2일 한중FTA 협상개시에 관한 통상장관간 공동성명을 발표하였음.]
2) 중국이 FTA 정책을 추진하는 이유
ㄱ - 경제성장에 필요한 자원부족 문제 해소
ㄴ - 기업의 생산 및 경영효율성 제고
ㄷ - 강대국 외교 효과 추구
3) 한중 FTA에 대한 중국의 입장
(1)경제적 요인
- 중국정부는 한중 FTA 체결을 통해 양국 간의 무역협력 수준을 제고하길 기대하고 있음.
(2)비경제적 요인
- 보였으나 현재 중국은 전체적인 경쟁력이 강화됐기 때문에 지역통합을 통해 중국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보고 있음.
- 중국은 외교정책의 일환으로 이웃국가와의 ‘이익 공동체’을 추구함
- WTO가입으로 인한 내수시장 확대될 전망
- 공급자시장에서 구매자시장으로 급격히 전환
❶ 시장경제와 관료적 통제가 병존하는 시장
• WTO가입후 국가통제가 느슨하지만, 아직도 계획경제, 폐쇄성, 지역주의등 사회주의 특성이 잔존
❷ 거대한 내수시장
• 세계의 공장
• 서부대개발 프로젝트, 동북진흥공정, 북경올림픽, 2010상해엑스포 등의 대형국책사업 →대대적인 신규시장 창출
❸ 공급자시장에서 구매자시장으로 전환된 시장
• 공급과잉현상→ 기업간 가격경쟁 심화
• 제품 사이클이 짧다→ 장기적 안목으로 접근해야
❹ 세계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시장
• 휴일경제 : 춘절(春節, 음력설), 노동절(5.1), 국경절(10.1)→7일간 장기휴무로 내수 진작책
❺ 지방보호주의와 유통장벽이 큰 시장
• 1979년 개혁개방후 재정권과 상품의 가격결정권등 일부 권한을 지방에 이양→지방분권화
• 자기지방의 발전에 유리하도록 지방기업에 대한 차별적 보호와 특혜정책 추진
• 전국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외자기업에는 유통장벽으로 다가옴
❻ 브랜드 이미지가 매우 중요한 시장
• 높아진 소득수준으로 부유층 등장→ 유명브랜드와 외제품 선호
ex) 신라면, 초코파이
❼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유효 수명기간)이 짧은 시장
• 도입기→성장기→포화기→쇠퇴기, 소득수준 향상으로 유행의 변화속도가 빨라짐
<<중략>>
8. 한-중 FTA
1) 한중FTA 협상개시 선언 - 2012년 5월 2일 in 베이징
2005년 (한중 FTA 민간공동연구 개시) → 2007~2010년 (산관학 공동연구, 정부간 사전협의회)→ 2011년~현재 (양국간 FTA 추진에 대해 긴밀한 협의를 진행)
2012.01.09. (양국 정상간 FTA 협상개시를 위한 국내절차 추진에 합의) →
04.16. (우리 측 국내절차 완료) →05.02. (한중 FTA 협상개시에 관한 통상장관간 공동성명을 발표)
[-한중 양국은 2012년 5월 2일 베이징에서 통상장관회담을 갖고 한중FTA 협상개시를 선언
하였음
⑴ 한중 양국은 2005년 한중 FTA 민간공동연구 개시 이후 2007~2010년 산관학 공동연구와 이
후 수차례의 정부간 사전협의회 등을 통해 양국간 FTA 추진에 대해 긴밀한 협의를 진행해
왔음
⑵ 금년 1.9일 양국 정상간 FTA 협상개시를 위한 국내절차 추진에 합의한 후 4.16일 우리측 국내절
차를 완료한 바 있고, 5.2일 한중FTA 협상개시에 관한 통상장관간 공동성명을 발표하였음.]
2) 중국이 FTA 정책을 추진하는 이유
ㄱ - 경제성장에 필요한 자원부족 문제 해소
ㄴ - 기업의 생산 및 경영효율성 제고
ㄷ - 강대국 외교 효과 추구
3) 한중 FTA에 대한 중국의 입장
(1)경제적 요인
- 중국정부는 한중 FTA 체결을 통해 양국 간의 무역협력 수준을 제고하길 기대하고 있음.
(2)비경제적 요인
- 보였으나 현재 중국은 전체적인 경쟁력이 강화됐기 때문에 지역통합을 통해 중국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보고 있음.
- 중국은 외교정책의 일환으로 이웃국가와의 ‘이익 공동체’을 추구함
추천자료
중국의 WTO가입이 중국 및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 향진기업과 농촌경제
중국의 WTO 가입과 한국의 대응방향 및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대외직접투자와 한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과 대응
중국의 환율제도, 위안화 평가절상과 한국경제의 영향
발전하는 아시아 경제 - 중국의 화학 공학
중국 가공무역 현황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위안화절상]중국 위안화 절상의 의미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완벽정리 및 대처 자...
[중국교육][중국의 교육]중국교육의 목표, 중국교육의 이념, 중국교육과 시장경제도입, 중국...
전자 상거래의 정의, 중국 전자상거래 발전개요, 전자 상거래 시장의 규모, 전자상거래 현황,...
[러시아와 중국(중러), 외교협력, 경제협력, 발명창조성교육]러시아와 중국(중러)의 외교협력...
생활生活속의경제 공통]최근 중국은 달러화에 대해 자국의 위안화 가치를 평가절하 하였다.이...
생활속의경제] 최근 중국은 달러화에 대해 자국의 위안화 가치를 평가절하 하였다, 위안/달러...
기초미시경제론1공통) 유가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버스 요금을 올리면 버스 회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