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중간평가 및 수정보완의 배경
중간평가와 수정보완의 필요성
중간평가결과의 요약
II. 수정보완계획의 기본구상
건강의 결정요인과 건강증진정책
국민건강증진사업의 구조와 기획
총괄적 추진계획
중점과제별 목표와 세부추진계획
수정계획의 특징
중간평가와 수정보완의 필요성
중간평가결과의 요약
II. 수정보완계획의 기본구상
건강의 결정요인과 건강증진정책
국민건강증진사업의 구조와 기획
총괄적 추진계획
중점과제별 목표와 세부추진계획
수정계획의 특징
본문내용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역사
1995년 건강증진법 제정
1997년 9월 의료보험의 예방사업비 일부 건강증진기금 각출
1997년 5월 담배 건강증진기금 각출
1998년 본격적으로 기금사업 실시(기금사업비:138백만원)
1998년 주로 민간 보건관련단체 중심 지원(보건소 18개소)
2003년도 보건소 100개소
2004년 156개소
2005년 모든 보건소(건강증진사업이 민간—보건소중심전개)
2000년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Healthy Korea 2010” 초석
2001년 복지부내 특별작업반 설치
2002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2010』
2003년 실행
1995년 건강증진법 제정
1997년 9월 의료보험의 예방사업비 일부 건강증진기금 각출
1997년 5월 담배 건강증진기금 각출
1998년 본격적으로 기금사업 실시(기금사업비:138백만원)
1998년 주로 민간 보건관련단체 중심 지원(보건소 18개소)
2003년도 보건소 100개소
2004년 156개소
2005년 모든 보건소(건강증진사업이 민간—보건소중심전개)
2000년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Healthy Korea 2010” 초석
2001년 복지부내 특별작업반 설치
2002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2010』
2003년 실행
키워드
추천자료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관한 연구
건강증진
건강증진의 필요성과 원칙
[사회복지정책론]국민건강보험법의 의의, 특징, 장단점, 문제점 및 발전방향 제언 레포트[A+...
[지식경영시스템]금융기관 지식경영시스템, 해양 지식경영시스템(OKIS), 철도청 지식경영시스...
우리나라의 건강증진 정책
법과 사회질서 - 국민건강보험법
[사회복지행정론] 밑 빠진 국민건강보험제도; 근원적 진단과 처방
국민건강영양조사(지역사회영양, 국민건강영양, 국민건강영양대상, 조사방법, 조사내용, 국민...
지역사회 간호사업 - 통합건강증진사업 (1. 사업개요 및 추진방향 2. 추진체계 3. 지역사회 ...
연대. 연세대학교. RN-BSN. 건강증진. 그룹과제 1.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 (성인...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의료사회사업론 A형) 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개요, 자원 현황, 프로그램 ...
[산업복지론] 국민건강보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