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제2장 아동발달이론
제3장 발달의 생물학적 기저
제8장 학습과 기억 발달
제11장 기질, 정서, 애착 발달
제15장 또래, 교육기관과 미디어
- 출제예상문제 및 해설 -
제3장 발달의 생물학적 기저
제8장 학습과 기억 발달
제11장 기질, 정서, 애착 발달
제15장 또래, 교육기관과 미디어
- 출제예상문제 및 해설 -
본문내용
제2장 아동발달이론
1. 생물학적 이론
(1) 게젤(Gesell)의 성숙이론
① 성숙이론에서의 발달의 개념: 인간발달은 생물학적 계획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과정(다윈의 진화론을 따름)
② 행동발달주기의 특성
- 행동발달주기는 출성~5세, 5~10세, 10~16세로 구분
- 각 주기에서 행동변화는 평형상태(성숙한 반응)와 비평형상태(미숙한 반응) 사이를 오가며 이루어짐
- 아동은 각 발달단계를 거치는 동안 보다 더 성숙한 행동, 보다 덜 미숙한 행동을 보임
③ 게젤 이론의 시사점
- 아동들이 비평형상태에 있을 때는 다루기 어렵지만, 6개월 정도 지나면 평형상태로 되기 때문에
- 아동들이 자랄 때는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함
(2) 로렌츠(Lorenz)의 동물행동학
① 발달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설명, 인간의 모든 행동은 적응가치와 생존가치를 가짐
② 발달의 결정적 시기: 발달의 어느 시점에서만 특수한 학습이 일어나는 시기
③ 각인현상: 오리 새끼가 부화되면서부터 어미를 쫓아다니는 각인현상을 관찰하고 새끼들은 부화한 후 첫 번째 보게 되는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 다니도록 선천적으로 계획되어 있다고 믿음
- 중략 -
1. 생물학적 이론
(1) 게젤(Gesell)의 성숙이론
① 성숙이론에서의 발달의 개념: 인간발달은 생물학적 계획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과정(다윈의 진화론을 따름)
② 행동발달주기의 특성
- 행동발달주기는 출성~5세, 5~10세, 10~16세로 구분
- 각 주기에서 행동변화는 평형상태(성숙한 반응)와 비평형상태(미숙한 반응) 사이를 오가며 이루어짐
- 아동은 각 발달단계를 거치는 동안 보다 더 성숙한 행동, 보다 덜 미숙한 행동을 보임
③ 게젤 이론의 시사점
- 아동들이 비평형상태에 있을 때는 다루기 어렵지만, 6개월 정도 지나면 평형상태로 되기 때문에
- 아동들이 자랄 때는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함
(2) 로렌츠(Lorenz)의 동물행동학
① 발달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설명, 인간의 모든 행동은 적응가치와 생존가치를 가짐
② 발달의 결정적 시기: 발달의 어느 시점에서만 특수한 학습이 일어나는 시기
③ 각인현상: 오리 새끼가 부화되면서부터 어미를 쫓아다니는 각인현상을 관찰하고 새끼들은 부화한 후 첫 번째 보게 되는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 다니도록 선천적으로 계획되어 있다고 믿음
- 중략 -
추천자료
[아동발달]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대하여 -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의 주요 개념 및 단계별 ...
[아동발달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이론의 각 단계별 특징에 대하여 정리)
[아동발달]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아동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역할의 중요성 및 좋은 부모란 무...
[아동발달론] 유아기와 아동기의 생물학체계와 심리체계에 대한 고찰 (부록-학습장애가 아동...
[아동발달]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인 영향을 사례를 들어 설명
[아동발달] 아동발달연구의 자료수집의 방법 - 관찰법, 면접법, 질문지법, 사례연구, 검사법,...
[아동발달]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발달 이론을 정리하고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지에 ...
가족과 아동발달의 관계(가족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아동발달 연구동향(아동발달 연구의 국내와 해외 동향)
[발달장애아동] 아동기 발달장애(틱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선택적 함묵증)
[아동발달이론] 발달이론의 비교(학습이론, 정신분석이론, 인지발달이론, 정보처리이론, 사회...
[아동발달] 이타성과 공격성발달(이타성이론과 공격성이론, 영유아기 이타성과 공격성의 발달)
[아동발달 연구방법] 아동발달연구의 비실험적 방법 및 실험적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