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보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를 이룬 이론 비교 분석
1) 성숙이론
2) 정신분석이론
3) 행동주의이론
4) 구성주의이론
2. 내가 지향하는 이론과 그 이유 – 행동주의이론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보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를 이룬 이론 비교 분석
1) 성숙이론
2) 정신분석이론
3) 행동주의이론
4) 구성주의이론
2. 내가 지향하는 이론과 그 이유 – 행동주의이론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응의 근접에 의해 학습된 내용의 수행에 영향을 준다. 강화란 목표 행동의 비율을 높이고 학습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자극으로 학습 행동이 유지되고, 배운 내용이 기억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강화는 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학습자를 둘러싼 환경이 학습의 산물과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새로운 시각도 보여준다. 이와 같이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자극과 반응의 연합을 통해 학습이 시작되고 강화를 통해 학습이 유지된다. 따라서 연합과 강화의 과정을 분석하면 행동주의 이론의 원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보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를 이룬 이론을 비교분석하고, 내가 지향하는 이론이 무엇인지와 그 이유를 서술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에 덧붙여 신행동주의자 Hull은 욕구 자극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강화로 보았다. Hull(1943)은 생득적 반응이나 이전에 학습한 반응이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면 학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자극을 통한 욕구 충족의 반응을 얻게 되면 자극과 반응의 결합은 강화되어 계속 나타날 수 있다고 보았다. Hull의 입장은 Skinner가 제시한 반응의 비율을 높이는 강화의 개념과 다소 반대되는 접근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Hull이 제시한 욕구 자극의 감소는 반응의 비율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욕구 자극을 충족시켜 만족스러운 상태를 유도 하는 것으로 반응의 비율을 높이는 의미와 상반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강화란 자극을 통해 기대되는 반응을 만족시켜 줌으로써 행동이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만드는 자극이라 할 수 있다. 학습의 측면에 적용하면 강화란 외부 환경과 경험으로부터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충족시켜 줌으로써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 원리로 강화란 단순히 반응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에게 필요한 요소들을 충족시킴으로써 만족스러운 정서 상태를 유발하고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참고문헌
전성연 외, 현대 교수학습의 이해, 학지사, 2007
김종문 외,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1998
강정구, 현대 학습심리학, 문음사, 1996
김은석, 스키너의 행동주의와 심리학적 이상, 청주교육대학교 논문집, 1989
김진영, 강화이론을 적용한 이러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0
문선모, 학습이론 : 교육적 적용, 양서원, 2007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보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를 이룬 이론을 비교분석하고, 내가 지향하는 이론이 무엇인지와 그 이유를 서술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에 덧붙여 신행동주의자 Hull은 욕구 자극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강화로 보았다. Hull(1943)은 생득적 반응이나 이전에 학습한 반응이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면 학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자극을 통한 욕구 충족의 반응을 얻게 되면 자극과 반응의 결합은 강화되어 계속 나타날 수 있다고 보았다. Hull의 입장은 Skinner가 제시한 반응의 비율을 높이는 강화의 개념과 다소 반대되는 접근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Hull이 제시한 욕구 자극의 감소는 반응의 비율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욕구 자극을 충족시켜 만족스러운 상태를 유도 하는 것으로 반응의 비율을 높이는 의미와 상반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강화란 자극을 통해 기대되는 반응을 만족시켜 줌으로써 행동이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만드는 자극이라 할 수 있다. 학습의 측면에 적용하면 강화란 외부 환경과 경험으로부터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충족시켜 줌으로써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 원리로 강화란 단순히 반응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에게 필요한 요소들을 충족시킴으로써 만족스러운 정서 상태를 유발하고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참고문헌
전성연 외, 현대 교수학습의 이해, 학지사, 2007
김종문 외,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1998
강정구, 현대 학습심리학, 문음사, 1996
김은석, 스키너의 행동주의와 심리학적 이상, 청주교육대학교 논문집, 1989
김진영, 강화이론을 적용한 이러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0
문선모, 학습이론 : 교육적 적용, 양서원,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