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교육제도와 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교육제도와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시대 교육제도와 과정

Ⅰ. 관학
1. 성균관
1) 성균관 부속시설
2) 성균관의 직제
3) 성균관의 입학자격
4) 성균관의 정원
5) 성균관 유생의 상소제도
6) 성균관 유생의 특전
7) 성균관 유생의 학교생활
8) 성균관의 교육내용
9) 성균관의 재원

2. 사학
1) 학생정원
2) 교육방법
3) 사학의 성격
4) 사학의 운영
5) 입학대상
6) 교육내용
7) 4학의 특징

3. 향교
1) 설립목적
2) 건축구조
3) 향교의 감독
4) 향교의 재원
5) 입학자격
6) 향교의 정원
7) 발전과 쇠퇴
8) 교과과정

4. 잡학
1) 학생정원
2) 입학자격
3) 특징
4) 직제

5. 종학
1) 설립
2) 직제
3) 입학자격
4) 교육내용
5) 변천과정


Ⅱ. 사학
1. 서원
1) 서원의 기원
2) 재원
3) 건축구조
4) 입학자격
5) 서원의 운영
6) 학생의 정원
7) 교육목적
8) 교육내용
9) 서원의 특징
10) 서원의 쇠퇴
11) 서원의 폐해

2. 서당
1) 교육목적
2) 입학자격
3) 조직
4) 교육내용
5) 교수방법

본문내용

이미 사액서원으로 되어 있는 서원은 20명, 문묘에 배향한 유현을 제사하는 서원은 30명, 비사액 서원은 15명으로 정하였다. 후에 다시 문묘에 배향한 자의 서원이거나, 그렇지 않은 서원이거나를 막론하고 사액서원은 20명을 정원으로 하였다.
7) 교육목적
서원의 교육목적은 위에 말한 제사 이외에, 한마디로 <法聖賢>이라는 영원한 목표를 세우고, 윤리도덕면에 교화에 중점을 두어 성현을 양성하는데 궁극의 목적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현실적 목적으로서의 과거준비의 교육도 불가피하게 실시하였던 것이다.
8) 교육내용
서원의 교과는 소학대학논어맹자중용시겨주역예기춘추家禮心經근사록 등 성리학 위주로 구성되었다.
9) 서원의 특징
서원이 다른 교육기관과 다른 점은 번거로운 세속을 떠나 산수 좋고 조용한 장소에 위치한 점이다.
서원이 다른 교육기관과 다른 또 한 가지의 특색은 성균관과 향교가 문묘배향을 하는 곳이라면, 서원은 한 사람의 명유공신을 제사하고 후진을 교육하는 곳이었다는 점과 까다로운 학령학칙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로이 공부할 수 있었다.
10) 서원의 쇠퇴
서원은 명유명현공신을 숭모하며, “선현을 존경하고 후진들의 학문을 장려한다(先賢尊敬 後進學)”는 이름 아래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초기 서원은 현실을 도피하는 소위 숨은 인사들이 성리학을 연구하는 교육기관의 기능을 수행했다. 관학 교육기관, 특히 향교가 쇠퇴한 시기에 서원창설자들이 학문에 있어서 명성있는 사람들이었던 만큼 교육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서원은 국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지 않았으므로 자기 나름의 학풍에 의하여 독창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 등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때가 흐름에 따라 “선현존경과 후진장학”이라는 설립동기도 쇠퇴해지고, 일종의 특권적인 성격을 갖게 되어 지방사회를 침해하는 소굴이되기도 하였다.
소수서원이 사액서원이 됨과 더불어 그 후 서원은 우후죽순처럼 각 곳에 설치되어 서원의 설립은 조정의 큰 두통거리가 되었다. 그리하여 1644년(인조 22)에는 서원의 설립을 국가에서 허가제로 하여 제한하였고, 1657년(효종 8)에는 서원을 累說한 자는 처벌하는 규정을 발표하였다.
경종 대는 남설된 서원을 철폐하고 사액서원을 허가치 않았으며 1현 1書院制를 주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영조 때는 약 300개의 祠院을 정리하여 서원의 건전한 육성을 도모했다.
11) 서원의 폐해
향교의 학생이 서원으로 옮겨가기 때문에 향교가 쇠퇴하는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또한 적당한 師長이 없기 때문에 모여서 한담을 일삼는 일이 많았고 또한 군역을 피하려는 자의 도피처가 되었다.
서원의 관리자들은 어리석은 백성 위에 군림하여 그들을 착취하고 부려먹는 惡輩의양성소가 된 곳이 많았으며 서원 소유의 토지는 조세를 면하였는데, 그 수확을 유생의 음식으로 낭비했다. 그뿐 아니라 四色派爭이 정권을 다툴 때마다 서원의 유생도 대립하여 이에 가세하였다는 점등을 들 수 있다.
2. 서당
옛날부터 내려오는 글방서재사숙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우는 서당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서 국민대중의 자제들을 위한 민간의 사설교육기관이다. 서당을 거쳐 향교 또는 4학, 이어서 성균관에 진학했다.
1) 교육목적
서당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4학과 향교에의 입학을 위한 준비기관이었으나, 실제적으로는 지방의 청소년에게 한문의 독해력을 이해시키고 유교에 대한 초보적 지식을 이해케 하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다.
2) 입학자격
서당의 입학자격은 신분적 제한이 없었다. 사농공상은 물론이고 천인의 자제들도 입학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당의 학생은 7, 8세부터 15, 6세의 아동들이 그 중심이 되었으나, 때로는 20세 안팎으로부터 25세 이상도 있는 경우도 많았다.
3) 조직
이들을 가르치는 훈장은 학식의 표준이 일정하지 아니했다. 강독으로 經史百家에 통하는 실력이 있는 훈장이 있었는가 하면, 註釋과 諺解를 참고하여 가면서 겨우 경서의 文義나 체득시키는 훈장도 있었다. 한편, 벽촌의 경우에는 한문자의 활용을 제대로 할 줄 모르는 훈장도 많았다.
또 서당의 한 구성인으로 接長이 있었다. 接은 단체라는 뜻이다. 접이 큰 서당에는 훈장 한 사람으로 학생들을 일일이 가르칠 수가 없다. 그러기에 훈장은 높고 학력이 우수한 학생을 接의 長으로 세우는 것이다. 그러면 접장은 자신이 훈장에게 배우면서 그 정도가 낮은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것이다.
4) 교육내용
서당의 교육내용은 강독製述습자의 세 가지였는데, 강독은 천자문으로부터 시작하여 동몽선습통감소학4서3경사기唐宋文 및 唐律로 올라갔다. 서당에 따라서 춘추예기근사록 등을 읽히기도 하였다. 제술은 일반적으로 五言絶句七言絶句四律十八句詩작문 등을 가르쳤다. 그러나 벽촌의 서당에서는 전혀 제술이 없는 곳도 있었다. 습자는 처음에 楷書를 많이 연습시켜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行書초서를 익히게 했다.
5) 교수방법
서당의 교수방법은 처음에 천자문동몽선습 등을 한 자 한 자씩 가르쳤다. 다음은 單字를 붙여 音讀하는 것을 가르치고, 다음에 句讀의 文理를 가르치고, 또 그 다음에 一章의 大義를 가르쳐서, 마지막에는 自讀自解, 즉 학습자 스스로 풀이하여 읽도록 했다.
특히 강의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능력에 맞게 범위를 정하여 놓고 종일 熟讀시켰으며, 훈장과 학생은 그 읽은 수를 세었다. 숙독한 것은 다시 그 다음날 암송시켜 통한 후에 다음의 것을 공부하게 했다. 만일 암송을 못하면, 이를 암송할 수 있을 때까지 다시 숙독을 시켰다.
서당교육에서는 또 학과와 계절을 조화시켜 학습하게 하였다. 여름의 더운 때는 될 수 있는 대로 머리를 쓰지 않고, 흥취를 돋우는 詩律 등을 읽고 짓는 것으로 일과를 삼았고, 봄과 가을에는 史記나 古文 같은 것을 읽히고 겨울에는 어려운 경서를 읽게 하였다.
여가를 잘 이용하여 봄과 가을의 밤은 비교적 짧기 때문에 밤글((夜讀)이 없다. 이 시간을 이용하여 四律을 짓는다. 낮에는 책을 읽은 후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서도를 연습시켰다. 여름에는 산간강변에 임시로 지은 간소한 초당이나 또는 절간을 빌어서 詩會도 가졌고, 흥미 있는 유희로써 여가시간을 보내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5.24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