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2학년) <학습,수업지도안> Ⅱ.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1. 선사 시대의 전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등학교 2학년) <학습,수업지도안> Ⅱ.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1. 선사 시대의 전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 및 시간

2. 단원별 구분

4. 본차시 적용
1) 학습 목표
2) 수업 진행

<탐구 문제>

본문내용

바로 신석기 시대 유적지의 분포도입니다. 이렇게 신석기 시대의 유적지에서는 탄화된 좁쌀이 발견되는데 이것은 농경 생활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시기에 쓴 주요 농기구로는 돌괭이, 돌삽, 돌보습, 돌낫 등이 있습니다. 역시 사진 자료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남아 있지는 않지만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처럼 나무로 만든 농기구를 사용하였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농경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냥과 고기잡이가 경제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줄어들었지만, 이는 여전히 식량을 얻는 중요한 수단이었습니다. 또한 당시에는 농경 도구나 토기의 제작 이외에도 원시적인 수공업 생산이 이루어졌습니다. 가락바퀴나 뼈바늘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옷이나 그물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들은 실을 뽑는데 사용된 도구들입니다. 저기 보이는 자료 화면 보이죠? 지금으로부터 8000년 전 사람들이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실을 뽑아 옷을 지어 입었다는 사실이 매우 놀랍게 느껴지지 않나요? 이렇게 도구가 발달하고 농경이 시작되자 주거 생활도 개선되어 갔습니다. 집터는 대개 움집 자리로, 바닥은 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입니다. 움집의 중앙에는 불씨를 보관하거나 취나, 난방을 위한 화덕이 위치했습니다. 햇빛을 많이 받는 남쪽으로 출입문을 내었고 화덕이나 출입문 옆에는 저장 구덩을 만들어 식량이나 도구를 저장하였습니다. 움집의 모양은 다들 알고 있죠? 저기 보이는 사진들이 당시 우리 조상들이 살던 움집의 모양을 복원해놓은 것입니다. 암사동에 가면 이렇게 당시의 생활상을 복원해 놓은 것이 많습니다. 가서 보고 오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되겠죠?
신석기 시대에는 부족 사회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부족은 혈연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는데 부족 사회도 구석기 시대의 무리 사회와 같이 아직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발생하지 않았고, 연장자나 경험이 많은 자가 자기 부족을 이끌어 나가는 평등 사회였습니다.
그리고 농경과 정착생활을 하게 되면서 인간은 자연의 섭리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 애니미즘에 대해 들어본 적 있나요? 희수 얘기해볼 수 있니? 그렇지.. 애니미즘은 자연계의 모든 사물에 생명이 있는 것으로 보고 그것을 믿는 일종의 신앙이라고 볼 수 있어요. 여기에는 특히 풍요로운 생산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는데 그 중에서도 태양과 물에 대한 숭배가 으뜸이었습니다. 또 사람이 죽어도 영혼은 없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영혼 숭배와 조상 숭배가 나타났고, 영혼이나 하늘을 인간과 연결시켜 주는 존재인 무당과 그 주술을
믿는 샤머니즘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자기 부족의 기원을 특정한 동식물과 연결시켜 그것을 숭배하는 토테미즘도 있었습니다. 토테미즘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단군신화입니다. 단군신화에는 곰과 호랑이가 등장하는데 여기에서 곰과 호랑이는 아마도 그것을 자기 민족의 기원으로 생각하는 특정 부족을 뜻하는 것일 것입니다.
신석기 시대의 생활을 사진자료와 설명, 문답을 통해 이해하도록 한다.
(설명식)
(문답식)
(사진 자료 이용)
10분
정리
학습 내용 정리, 학습 목표 달성
자.. 지금까지 우리는 인류의 기원에서부터 시작해서 선사시대의 우리나라 조상들의 삶을 공부해보았습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출현에서부터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에 이르는 발전 과정을 공부했고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도구, 유물, 유적, 주거 환경, 삶의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아주 오래 전부터 오랜 시간동안 우리 인류는 끊임없이 발전을 계속해왔습니다. 이번 시간의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느낀 점을 말해 볼 수 있을까요? 선아는 오래 전 우리 선조들의 삶에 대해 공부하면서 어떤 생각을 해보았니? 좋아요. 선아처럼 우리는 이번 시간을 통해 우리의 뿌리를 이해하고 지금 우리가 처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인류의 발전에 대해 이해한 것을 토대로 앞으로도 계속해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태도를 기르기를 바랍니다.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학생들의 기억에 도움을 준다.
(설명식)
(문답식)
2분
질문과
과제 및 다음 시간 예고
자 그러면 오늘 공부한 부분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나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질문해보세요...
질문 없나요?
그러면 오늘의 과제를 낼게요. 다음 시간까지 오늘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고 지금부터 나눠 줄 탐구 학습을 해오면 되겠습니다. 오늘 수업 한 내용은 이렇게 학교 홈페이지 ‘국사’ 항목에 올려놓을 테니 참고하면서 공부하기 바랍니다.
다음시간에는 신석기 시대를 넘어서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넘어갈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에 대해 공부할건데요 교과서를 미리 한 번씩 읽어오기 바랍니다.
그럼 오늘 수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과제 제시로 학생들의 이해와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다음시간 예고를 통해 예습을
유도한다.
1분 30초
<탐구 문제>
선사 시대의 각 시기에 인류가 사용한 도구의 종류와 발달 과정을 정리해보자.
(신석기 시대의 변화)
기원전 8000년경에 후빙기가 시작되면서 기후는 차차 따뜻해졌지만, 기원전 5000년대 중반까지는 아직 기후가 추운 편이었다. 후빙기에 들어서면서 한반도의 자연 환경은 크게 변화하기 시작하여 해수면이 높아지고 동식물이 바뀌어 갔다. 그러나 기원전 5500년경부터 3000년경까지는 기후가 따뜻하여 소나무 숲에 상록 활엽수, 낙엽 활엽수가 첨가되어 현재와 비슷한 산림 형태를 이루었다. 이 무렵의 한반도는 대략 지금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었으나. 서해안에서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7m쯤 낮아 사람들은 현재의 해안선보다 바다 쪽으로 더 나가 생활할 수 있었다.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씨족별로 대략 20~30명씩 무리를 이루어 사냥과 고기잡이, 채집 등을 행하며 공동체적인 삶을 영위하였다. 사냥과 고기잡이에서는 도구와 기술이 뒤떨어졌기 때문에 공동 노동을 하였고, 채집 생활도 함께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넘어가게 된 배경을 자연 환경의 변화와 연관하여 추론해보자.
2. 신석기 시대의 사회 형태를 분석하고, 그러한 사회가 유지될 수 있었던 원인을 탐구해보자.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00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