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대 문화 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세대 문화 특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세대의 정의와 세대구분

Ⅱ. 신세대 문화의 특성
 1. 신세대 문화란 어떤 것인가
 2. 육체성과 파격성
  1) 랩과 힙합
  2) 록음악
  3) 신세대의 대중음악 : 육체성의 미학
 3. 포스트모더니즘과 탈중심성 - MTV와 광고 영상
 4. 시뮬레이션 성격 - 전자게임
  • 보들리야르의 시뮬라크라

Ⅲ. 신세대 문화의 한계

본문내용

짜 현실, 진짜 현실의 구분을 논할 수 없게 됨을 뜻한다. 그 현실이 바로 시뮬라크르이다. 그리고 시뮬라크르 뒤엔 아무것도 없음-그 자신이 본질과 다름없다-을 숨긴다. 이렇게 자신의 뒤엔 재현할 그 어떤 것도 없지만 어떤 '사실성이 있을 것이다' 라고 속임으로써 자신이 재현해내야 할, 사실성과 현실들을 만들어 내게 된다. 이것이 바로 '원본 없는 복제'이다.
이런 작업을 통해 이미지가 본질을 따라가는게 아니고 본질이 이미지를 따라가게 된다. 끊임없는 위기의 생산, 도덕심, 애국심 같은 가치관의 주입 등 소위 플라톤의 이데아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모든 인간활동과 사회활동 시스템은 이 재현체계를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런 시뮬라크르들의 연쇄복제는 어쩔 수 없는 시스템으로 오늘날 정착되고 있다.
이렇듯 현실을 모방한 시뮬라크라가 현실을 지배하게 됨으로써 현실과 이미지 사이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현실로부터 현실의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가상적인 현실 모델로부터 현실이 생성되는 것이 시물레이션 사회의 특징이다. 수용자에게 조종과 통제라는 환상을 불러일으키지만 사실은 코드에 따라 엄격히 통제되어 있는 전자게임의 존재방식은 바로 그러한 시뮬레이션 사회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전자게임의 시뮬레이션 성격은 뮤직비디오와 MTV의 탈중심성과 함께 이들 새로운 영상문화의 가장 중요한 수용층인 신세대 집단의 문화적 특성과 밀접히 연관된다. 신세대 집단이 획일 주의를 거부하고 권위주의에 저항감을 표현하는 것이나 기성세대가 이해하지 못하는 파편화된 이비지들에 대해 감각적 선호를 보이는 것, 또 상품이나 공간의 사용가치보다 이미지와 분위기를 소비하는 경향 등은 이들이 뮤직비디오나 전자게임을 선호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 있다.
Ⅲ. 신세대 문화의 한계
① 소비 자본주의에서 수동적 입장의 신세대
신세대는 자본주의의 새로운 형태의 산물이고 생산력이 발전해도 생산관계는 그대로인 특이한 자본주의 체제와 상호공존한다. 그리고 매체의 유토피아와 공존하고 감각적인 광고에 유혹당하며 소비 자본주의의 주요 담당층이 되고 있다. 신세대의 문화는 모든 위계, 등급, 특권, 기본질서에 대한 공격적이고 저항적이지만 신세대의 이러한 카니발적인 의식은 소비문화공간이라는 제도화된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이 공간 안에서 소비문화의주대상인 신세대는 그들 특유의 탈권위주의 의식과 주체성을 가지고 기성세대가 만들어 놓은 규범과 틀에 대한 비판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② 몰개성
신세대는 개성적이라고 하지만 개성이 없다. 모든 개성을 준다는 광고는 우리가 몰개성하다는 것을 계속해서 말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어떤 특별한 성격과 특질을 가진, 본질적인 개성은 이미 그들에게 존재하지 않는다. 그저 수많은 기호들을 통해서 기호의 힘을 통하여 추상적인 형태로 부활하여 종합적인 개성을 완전한 익명 속에서 재창조할 뿐이다. 장 보들리야르, [소비와 문화] 이상률 옮김, 문예 출판사, 1991
따라서 신세대는 유행이라는 사회의 흐름에 휩쓸릴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진정한 나를 찾아내고 잃지 않으며 무던히 발전시키고자 노력해야 한다.
③ 세대차에 의한 문화적 혼란
한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과정을 겪으면서 전근대, 근대, 탈근대가 공존하는 매우 복합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세대간의 격차와 단절은 그만큼 크다. 이렇듯 아직 근대의 완성에도 채 이르지 못한 상황에서 돌출하고 있는 신세대 문화의 탈근대적 성향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진보성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 한계질 수 밖에 없다. 우리는 신세대 문화의 문제가 단지 세대간 문화 격차의 문제일 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의 구조적 모순과 문화적 혼란에 깊이 결부되어 있는 문제임을 알고 그 심각성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출처-
한국 사회학회, [한국사회의 세대문제] 나남, 1994
[칼럼니스트 COLUMNIST] No.153 , No.154
[신세대, 네 멋대로 해라] 1993
[딴지일보]
http://ienti.ks.ac.kr/s2002/s151 , http://bluenoise.co.kr/bluezine/2000_01/spotlight_8.asp
http://my.netian.com/~godbless/cult/thesis/sin5.html
http://members.tripod.lycos.co.kr/mkversion/mkversion8.htm
장 보들리야르, [소비와 문화] 이상률 옮김, 문예 출판서, 1991
검색엔진 사이트 네이버, 엠파스 이용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6.0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