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체제][중앙정부와 지방정부]한반도와 강대국 협력체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협력체제, 지방의제21 협력체제, 지역단위과학교육 협력체제, 지역안보 협력체제, 독일대학 협력체제, 영국과학교육 협력체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협력체제][중앙정부와 지방정부]한반도와 강대국 협력체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협력체제, 지방의제21 협력체제, 지역단위과학교육 협력체제, 지역안보 협력체제, 독일대학 협력체제, 영국과학교육 협력체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반도와 강대국 협력체제

Ⅱ.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협력체제

Ⅲ. 지방의제21 협력체제
1. 추진배경
2. 추진현황

Ⅳ. 지역단위과학교육 협력체제
1. 과학교육자문관의 목적
2. 과학교육자문관의 개요

Ⅴ. 지역안보 협력체제
1. 안보의 개념
2. 안보패러다임의 발전
3. 유럽 및 대서양을 중심으로 한 지역안보체제
1) 국제연맹
2) 유엔 헌장 제정
3) 양극체제의 고착
4) 냉전의 종식
5) 국제안보체제의 국제레짐
6) 국제안보 패러다임의 한계

Ⅵ. 독일대학 협력체제

Ⅶ. 영국과학교육 협력체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하는 방안이다.
두 번째 경우의 협력체제는 독일의 협력대학에 적극적인 홍보와 더불어 당 대학의 홈페이지에 이러한 협력 프로그램이 소개되어 많은 독일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 요청을 하여야 한다. 물론 이 문제는 실제로 협력대학의 도움을 청하기보다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웹사이트들을 활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수 있다.
세 번째의 경우는 협력대학의 교수들과 상호 협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가능하다. 독일 측 협력대학에서는 온라인 매체를 이용하여 실습을 할 필요가 있는 교과목이어야 하고 한국 측 협력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이를 통하여 독일어를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사례 발표는 이 분야의 협력 체제를 어떻게 구축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 외에 또 다른 협력체제 구축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다. 한국의 초중등학교의 한 학급과 이에 상응하는 독일어권 국가의 한 학급을 의사소통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조직한다. 두 학급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환경보호문제 등의 서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분야를 프로젝트 주제로 선정한 다음 각 학급의 학생들이 자신의 모국어로 작업을 한 다음 이것을 서로 이메일로 교환하거나 홈페이지에 올려놓는다. 이때 프로젝트 협력자로 참여하는 한국의 대학생들이 작업결과를 한국어와 독일어로 번역을 하여 의사소통 중개 역할을 한다. 이때 한국어에서 독일어로의 번역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도움을 받기 위하여 독일에서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독일의 한국어 관련 학과와 협력 체제를 구축한다. 이러한 형태의 프로젝트는 한국의 초중등학교 학생들에게 독일어권 국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국제화 교육에 독일어 전공자들이 기여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Ⅶ. 영국과학교육 협력체제
영국 과학교육 협력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학교와 산업체 혹은 연구기관 과학기술 전문가의 연계를 위한 조직 및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학생들이 전문가와 함께 진행하는 연구 활동의 기회가 많으며, 전국적인 학생 과학 클럽 BAYS가 지역 조직망을 통해 다양한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실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곳곳에 산재한 과학관과 박물관이 다양한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영국의 학생 연구과제 활동은 한국의 과학교육과정 중 탐구활동과 유사하다. 그러나 영국의 학생 연구과제 활동은 과학 수업, 수업을 확장한 특별활동, 전문 연구기관, 산업체와의 연계, 각종 경연대회의 참가 및 수상, 그리고 GCSE 성적 및 대학 입학 사정에의 반영 등 자연적인 확장과 평가로의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여름방학 중의 과학과 과제로 제출되는 탐구보고서는 실험실습 평가로 전체 평점 중 10% 정도를 차지하고 그 중 선발된 학생만이 학생 탐구발표 대회에 참가하며, 대개의 경우, 학생 개인이나 집단, 그리고 교사의 노력에 의해 보고서가 이루어지며, 전문 연구기관이나 산업체와의 연계 그리고 상급학교의 입시로 연결이 되고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영국의 학생연구과제가 지니는 장점인 전문연구기관, 산업체와 연계하는 첨단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며, 고전적인 방법만을 강요할 수밖에 없게 되며, 대개의 경우 학생보다는 교사의 간섭이 수상 여부를 가늠하기도 한다. 따라서 영국의 중등학교, 전문연구기관, 기업체의 연계와 평가에의 반영은 학생의 탐구활동을 자극하고 격려할 수 있는 장점이다.
한편 BA에서 운영하는 전국청소년과학동호회(BAYS)의 결성으로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과학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BAYS를 통한 각종 경연대회, 시상제도의 참가, 그리고 지역 과학자, 공학자와의 연계 활동 등은 학교 과학 활동을 더욱 풍부하게 해줄 수 있다. 한국의 경우 한국과학문화재단에서 최근 시작한 청소년 과학 탐구반(YSC : Youth Science Club)은 전국 초중고교의 과학반 탐구 활동을 지원하는 온라인상의 전국 과학반 네트워크(network)로 전국 과학반 학생의 과학적 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학생과 전문과학자의 연계 커뮤니티 형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운영되고 있다(한국과학문화재단). 현재 학생들의 우수 연구과제에 대해 심사를 통해 지원하고, 과학 캠프 등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나 초기 단계이며 지역의 다양한 기관이나 단체와의 협력체제는 구축되어 있지 못하다.
런던의 경우 런던과학관, 자연사박물관, 대영박물관 외에도 지구별로 과학관과 과학 관련 박물관이 산재해 있어 박물관을 교육에 활용하자는 취지의 학술잡지인 ‘Journal of Education in Museum’이 발간되고 있다. 이 학술 잡지의 취지대로 각종 과학관과 과학 관련 박물관에서는 연구가 바탕이 된 전시 및 교육활동,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과 영국의 경우 전국적으로 2,000여 개의 과학관이 있으며 런던에만 약 300개 이상의 과학박물관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립중앙과학관 확충사업과 서울과학관을 수도권에 이전, 확장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인구에 비해 과학관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또 선진국의 과학관에서 자체적으로 전시물,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비해 국내 과학관에서는 전시물의 이동, 대체가 극히 어려우며 자체 연구개발, 제작 능력이 매우 미흡하다. 이것은 과학관에 대한 투자가 전문 인력과 기술의 확충을 위한 장기적 안목에서 이루어 져야 함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김경일 / 동북아 지역안보협력체제와 한반도 : 다자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2006
오수길 / 지방의제21 추진경험의 특성과 협력의 평가방안, 성균관대학교, 2010
이미경 외 1명 /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이필운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9
장용석 / 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 개념, 쟁점, 추진방향, 평화문제연구소, 2010
최돈형 / 학교 밖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역단위 협력체제의 구축,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