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가요][공무도하가][황조가][해가][도솔가]고대가요의 역사, 고대가요의 이해, 고대가요와 공무도하가, 고대가요와 황조가, 고대가요와 해가, 고대가요와 도솔가, 고대가요와 구지가, 고대가요와 정읍사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대가요][공무도하가][황조가][해가][도솔가]고대가요의 역사, 고대가요의 이해, 고대가요와 공무도하가, 고대가요와 황조가, 고대가요와 해가, 고대가요와 도솔가, 고대가요와 구지가, 고대가요와 정읍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고대가요의 역사

Ⅲ. 고대가요의 이해

Ⅳ. 고대가요와 공무도하가

Ⅴ. 고대가요와 황조가

Ⅵ. 고대가요와 해가
1. 해설
2. 배경설화

Ⅶ. 고대가요와 도솔가

Ⅷ. 고대가요와 구지가

Ⅸ. 고대가요와 정읍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龜何龜何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어라
내어 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겠다
하면서 춤을 추면 이것이 대왕을 맞이하면서 기뻐 날뛰는 것이라.” 하였다. 구간 등이 그 말대로 즐거이 노래하며 춤추다가 얼마 후 우러러보니 하늘에서 자주색 줄이 늘어져 땅에까지 닿았다. 줄 끝을 찾아보니 붉은 보자기에 금합을 싼 것이 있었다. 합을 열어보니 알 여섯 개가 있는데 태양처럼 황금빛으로 빛났다. 여러 사람들이 모두 놀라 기뻐하며 백 번 절하고 다시 싸서 아도간의 집으로 돌아갔다. 책상 위에 모셔 두고 흩어졌다가 12일쯤 지나 그 다음날 아침에 사람들이 다시 모여 합을 열어보니 알 여섯 개가 모두 남자로 변하였고, 용모가 매우 거룩하였다. 이어 의자에 앉히고 공손히 하례하였다.
[삼국유사 권2. 가락국기]
Ⅸ. 고대가요와 정읍사
관련 설화는 <고려사>와 <동국여지승람>에, 가사는 <악학궤범>에 실려 전한다. 전주 속현 정읍의 한 상인의 처가 장사 나간 남편을 걱정하며 부른 노래라고 한다.
\'정읍사\'는 백제의 노래로 보기도 하고, 고려의 노래로 보기도 한다. 기록을 믿으면 백제의 노래가 되며, 기록을 불신하고 정읍사를 다른 고려가요와 함께 고려시대에 불렸다는 사실만을 취하게 되면 고려의 노래가 된다. 정읍사를 어느 시대의 노래로 볼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합의된 결론이 도출되지 않고 있으며, 어느 시대의 노래로 볼 것인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기도 한다. 예컨대 \'후강전져재\'는 백제의 노래로 보면, \'후강전 져재\'라고 보아 전을 음악 용어로 이해하게 되며(백제 때는 \'전주\'라는 지명이 없었으므로), 고려의 노래로 보면 \'후강 전져재\'로 보아 전주 시장을 가리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읍사를 음사로 보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 \'정읍\'을 시정, 상가의 알레고리(우의, 풍유)로 보고, \'내가논따\'를 육체 안의 금단 지역(남근)으로 보며, \'즌따\'를 수렁 즉 화류계로 본다. 즉 \'정읍사\'를 음사와 은어로 된 노래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고려사 악지>에 \'정읍\'을 \'정읍 전주 속현\'이라고 하고 있으며, 정읍은 이 노래에 걸맞은 망부석 전설이 전승되는 지역이고, 가명이 비유로 된 사례는 없으므로, \'정읍\'을 알레고리로 볼 수는 없다. 그리고 만일 지나친 음사라면 엄격한 성리학적 이념을 지배 이념으로 삼던 조선 시대 그것도 중종대까지 불릴 수 없을 것이므로, \'정읍사는 음사가 아니라 순수한 사랑 노래다\'라는 반론을 펴기도 한다.
\'정읍사\'를 음사로 보는 경우에는, 창작자들이 얼굴을 내놓을 대담성이 없어 정읍 상인의 처 전설을 꾸미고, \'정읍사\'를 전승했다고 이해하기도 하는데(백제의 노래로 간주하고), 만일 조작되었다면 다른 고려 가요의 배경 설화도 모두 믿을 수 없을 것인가 그리고 당대의 기록을 쉽게 부정할 수 있는가 하는 점에서 반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정읍사\'는 중종 13년(1518)에 궁중악에서는 폐기되었으나, 그 후 허균의 시에서 정읍사를 연주한 기록이 보이고, 다른 기록에서 정조 때 혜경궁 수연(환갑잔치)에 연주되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후대에도 계속 불렸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종규(1993), 한국고대가요의 형식론적 연구, 중앙대학교
▷ 김영수(2005), 고대가요 연구의 전제와 실제, 단국대학교
▷ 송석래(1988), 한·일 고대가요 발생설 연구 Ⅱ,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엄국현(1997), 한국고대가요와 어릿광대의 세계, 한국문학회
▷ 임희섭(2008), 문학치료적 서사 이론에 따른 고대가요의 시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 최홍원(2010), 고대가요에 대한 국어교육적 탐색,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