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동양과 서양)의 문화, 동서양(동양과 서양) 교육, 동서양(동양과 서양) 세계관, 동서양(동양과 서양) 자연관, 환경관, 동서양(동양과 서양) 국가관, 동서양(동양과 서양) 인간관, 동서양(동양과 서양) 신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문화, 동서양(동양과 서양) 교육, 동서양(동양과 서양) 세계관, 동서양(동양과 서양) 자연관, 환경관, 동서양(동양과 서양) 국가관, 동서양(동양과 서양) 인간관, 동서양(동양과 서양) 신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문화

Ⅲ.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교육
1. 동양
1) 고조선의 학교
2) 삼국시대의 학교
2. 서양
1) Rome
2) 중세
3) 인문주의 교육

Ⅳ.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세계관

Ⅴ.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자연관

Ⅵ.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환경관
1. 동양
1) 인간은 우주천지의 중심
2) 서양보다 앞서서 ‘천인합덕(天人合德)’,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에 기초한 사회적 환경관으로 발전
2. 서양

Ⅶ.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국가관

Ⅷ.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인간관
1. 동양
2. 서양

Ⅸ.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신관
1. 존재론
2. 인식론
3. 이치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종합적전체적비조직적직관적무분별적이며 서양의 인식론적 방법의 특징은 추리적분석적분별적과학적개념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서양의 형이상학적 사고의 유형과 인식론의 차이가 서로 다른 종교 문화를 창조하였고 신에 대한 가치관 역시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서양철학이 동양의 철학과 구별될 수 있는 가장 뚜렷한 특징은 서양 철학에서는 존재(存在), 혹은 유(有)를 가장 궁극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식의 대상이 무엇이든 간에 모두 다 실체로서의 존재였으며, 그 존재를 형상적 한정체로 보았다고 할 수 있다. 피타고라스는 형상적 한정체는 형상을 이루지 않은 것에 비해 더 나은 것으로 여겼고, 관념론자인 플라톤의 이데아론 역시 이데아가 존재의 본질, 즉 참된 존재로서 세상의 모든 사물이 이로부터 복사되어 나온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이 서양의 문화와 철학은 어떤 인식의 대상에 대하여 인간의 합리적 이성과 사유능력에 의하여 한정을 짓고, 정의를 내리는 경향을 갖고 있다. 모든 존재의 본질을 무(無)보다는 유(有)로, 불확실성(不確實性)보다는 구체적 한정성(限定性)을 추구했다.
이러한 서양문화와 더불어 발전하여 온 기독교도 이와 같은 존재의 개념을 받아들여 그들이 받드는 신을 하나의 ‘존재’로 인식하여, 섬기고 숭배하여야할 구체적 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인식방법을 통하여 유신론적 신관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토양에서 서양의 대표적 종교인 유태교기독교회교 등이 태어났다. 서양의 신관의 핵심은 신을 지고(至高)의 절대적 존재로 규정짓고, 신을 초자연적 존재로 정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 방식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로는
1. 존재론
뉴턴의 ‘물리학적 실체론’을 근거로 한 존재론(存在論)을 들 수 있다. 뉴턴의 물리학적 실체라는 것은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 가운데 가장 궁극적인 것은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유(有)의 존재(存在)라는 것이다.
2. 인식론
안셀름, 토마스 아퀴나스 등의 전통신학자들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주관과 객관, 정신과 물질, 그리고 관념과 물질 등의 인식론 -이원론이라고도 함 -에 근거하여 신과 인간의 관계를 주관과 객관의 관계로 규정지음으로써 인간의 인식 대상이 되는 신은 객관적 실체로서 구체적 형상을 갖게 되었고 신이 주관이 될 때에는 인간이 신의 객관적 대상이 되어 인간은 신의 피조물(被造物)로서 개념화되었다. 이로써 신은 자신의 피조물인 인간의 세계에 능동적으로 작용하며 인격적인 통제를 합리화하였다.
3. 이치론
세계의 모든 논리적 명제를 진(眞)과 위(僞)로만 구분 인정하는 이치론적 논리학(二値論的論理學)에 의해서 자신들의 신(神) 이외의 신이나 절대적 가치(價値)는 모두 거짓이기 때문에 제2, 제3의 종교나 신을 인정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에 의해서만 구원(救援)이 가능한 배타적이고 독선적인 유일신적 신관을 확립하게 된 것이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서양철학의 형이상학적 사고와 인식론을 바탕으로 한 신의 개념은 ‘존재하는 실체’로서 즉, 궁극적 유(有)의 개념이다. 이에 비해 동양철학에서는 모든 실재의 궁극(窮極)을 무(無)로 본다는 점에서 서양의 사고 방식과 크게 다르다.
동양의 문화는 무(無- nothing)의 문화로서 실재는 아무 형상이 없으며 한정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이 무(無)의 개념은 대상이 없는 주관을 의미하기 때문에 표현이 불가능하다. 즉, 주객의 대립을 초월한 실재를 경험한다는 것은 종교적으로 표현하면 신성(神性)의 경험, 신과의 만남, 혹은 열반의식(涅槃意識)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무를 자각(自覺)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법은 합리적 사유가 아니라 직관(直觀)에 의한 것이다. 무분별의 직관으로 표현되는 이 능력은 진위(眞僞) 혹은 주객(主客)의 이원론을 초월하는 것으로 직관으로 보는 것은 ‘실재(實在)’ 이며 이는 사유 능력 법칙의 결정을 받기 이전의 실재를 보는 것이다. 따라서 직관이란 사유의 형식을 돌파하고 실존에 우리를 접근시키며, 주객의 분리를 초월할 때 종교적 실재를 경험한다는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로서 3가지의 무(無)의 개념을 들 수 있다. 첫째, 인식론적(認識論的) 무(無)이다. 이는 말이나 어떤 형상으로도 표현되어질 수 없으며 이에 대한 어떤 지식도 가질 수 없다. 일본의 니시다 기타로오는 그의 저서 철학의 근본 문제〈속편〉에서 동양의 문화는 무(nothing)의 문화로서 실재는 아무 형상이 없으며 한정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 경험론적(經驗論的) 무(無)의 개념을 들 수 있는 데 실존주의자(實存主義者)들의 무(無)의 개념으로 인간 경험의 한 성질로서 주객 분리이전의 순수 경험으로서의 무(無)이다. 셋째, 존재론적(存在論的) 무(無)의 개념이다. 이는 유(有)를 생성케 하는 조건(條件)으로서의 무(無)이다.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 의하면 “천하 만물은 유에서 왔으나 유는 무에서 왔다”고 한다. 무극(無極)에서 태극(太極)이 왔다는 주렴계의 사상을 보더라도 역시 동양사상의 핵심은 모든 존재의 궁극 혹은 실재를 무(無)로 본다는 점에서 서양의 철학적 사고 방식과 크게 다르다.
또한 궁극적 실재를 이성적 사유에 의해 연역적(演繹的)으로 추리(推理)를 해낸 서양과는 달리 동양에서는 경험적(經驗的) 직관(直觀)에 의한 깨달음을 강조한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양의 종교인 불교 유교, 힌두이즘 등에 나타난 신의 모습은 기독교의 초월적 유일신의 형상적 실체이기보다는 어디에나 있을 수도 있고 아무 데도 없을 수도 있으나 아주 없는 것은 아닌 무제한적 모습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김용운 - 동서양 문화와 한국인의 국제화, 한양대학교 민족학연구소, 1988
박재주 - 동서양 세계관과 윤리관의 만남, 철학과현실사, 2011
조용훈 - 동서양의 자연관에 대한 환경윤리적 비교연구, 성곡학술문화재단, 2001
정규영 - (동서양)교육의 역사, 학지사, 2011
최학유 - 동서양의 고전적 국가관에 관한 연구, 청촌장학재단, 1999
한자경 - 동서양의 인간 이해 : 희랍, 기독교, 불교, 유가의 인간관 비교 연구, 서광사, 2001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0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