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문][명령법][청유문]명령문(명령법)의 개요, 명령문(명령법)의 정의, 명령문(명령법)의 특성, 명령문(명령법)의 종류, 명령문(명령법)의 성립조건, 명령문(명령법)과 청유문, 명령문(명령법)과 문장종결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령문][명령법][청유문]명령문(명령법)의 개요, 명령문(명령법)의 정의, 명령문(명령법)의 특성, 명령문(명령법)의 종류, 명령문(명령법)의 성립조건, 명령문(명령법)과 청유문, 명령문(명령법)과 문장종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명령문(명령법)의 개요
1. 명제 내용을 고려한 명령법의 의미
2. 명제 내용과 행위참여자를 고려한 명령법의 의미
3. 명령법의 의미

Ⅱ. 명령문(명령법)의 정의

Ⅲ. 명령문(명령법)의 특성

Ⅳ. 명령문(명령법)의 종류
1. 직접 명령문
2. 간접 명령문

Ⅴ. 명령문(명령법)의 성립조건
1. 의미·화행적 조건
1) 예비 조건
2) 진지성 조건
3) 명제내용적 조건
4) 기본 조건
2. 형태적 조건

Ⅵ. 명령문(명령법)과 청유문

Ⅶ. 명령문(명령법)과 문장종결
1. 명령법 문장종결형 선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2. 종결어미를 이용한 명령법 문장종결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 -라소서
b. -엇/앗
c. -ㄹ것
(3Ⅰa)는 명령법을 실현하는 전형적인 종결어미들로서 대우법에 따라 각기 달리 사용되는 문장종결형이다. 그리고 (3Ⅰb)는 반말로서 명령법을 실현하는 문장종결형이다. (3Ⅰc)는 원래 연결어미였던 것이 문장종결에 사용되면서 명령법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이 형태는 아래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문장종결로 쓰이는 경우 명령법이 가지는 공통의 사용제약을 모두 동일하게 갖는다. 곧, 언제나 동사인 서술어에만 연결된다는 점(4a), 명제 내용으로 나타나는 행동의 주체가 언제나 청자라는 점(4b), ‘-었-’, ‘-느-’, ‘-더’ 등의 시제나 서법 형태소와의 결합이 불가능하다는 점(4c) 그리고 부정법의 실현이 소위 ‘말다’부정문의 형식인 점(4d)까지 모두 명령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우리는 이 형태를 명령법을 실현하는 문장종결형으로 보기로 한다.
(4) a. 모두{모이도록, *예쁘도록, *미남이도록.}
b. 그 일은{너, *내, *그} 혼자 하도록.
c. 신속히{움직이도록, *움직였도록, *움직이는도록, *움직이더도록.}
d. 지금부터는 숨소리도{내지 말도록, *내지 않도록, *안 내도록.}
(3Ⅱa)는 피인용절의 표지인 ‘-라-’에 ‘-어라, -게, -오, -소서’각 각각 결합된 것으로서 그 사이에 인용 형식인 ‘-고 하-’가 줄어든 것이다. 이러한 형식은 다른 문장종결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마지막의 요소인 ‘-어라, -게, -오, -소서’만이 진정한 문장종결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보아 이들을 독립된 명령법 문장종결형으로 다루지 않는다. (3Ⅱb)는 굳이 분석하자면 ‘-어/아라’의 ‘-어/아-’와 ‘-ㅅ’이 결합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어/아라’와는 분명한 의미 기능상의 차이를 지니는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아래의 예 (5)에서 보듯이 이 두 형태가 교체될 수 없음이 이를 뒷받침 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 형태도 하나의 문장종결형으로 처리한다.
(5) (구령에서) a. 앞으로 갓.
b. *앞으로 가라.
(3Ⅱc)는 관형사형 어미 ‘-ㄹ’과 형식명사 ‘것’이 합해진 것인데 우리는 이 형태도 하나의 문장종결형으로 본다. 왜냐하면 이 형태 역시 위의 ‘-도록’의 경우처럼 명령법의 일반적인 제약과 동일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아래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서술어로 동사만을 취한다거나(6a) 주어로 1인칭이나 3인칭이 오기 어려우며(6b) ‘-었-, -느-, -더’ 등의 시제나 서법 형태와 연결되지 않고(6c) 부정법은 ‘말다’부정문을 통하여 실현되는 것은(6d) 명령법의 사용환경과 동일하다.
(6) a. 10 시에는 반드시{취침할 것, *예쁠 것, *당번일 것.}
b.{다 쓴 사람은, *나는, *철수는} 시험지를 엎어놓고 조용히 나갈 것.
c. 담배꽁초는 반드시 휴지통에{버릴 것, *버렸을 것, *버리늘 것, *버리덜 것.}
d. 잔디밭에{들어가지 말 것, *들어가지 않을 것, *안 들어갈 것.}
따라서 위의 사실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명령법을 실현하는 문장종결형으로 (3Ⅰabc)와 (3Ⅱbc)를 대상으로 그들의 사용역을 하나씩 살피기로 한다.
2. 종결어미를 이용한 명령법 문장종결형
“-어/아라, -거라, -너라, -여라”
‘-어/아라’는 청자를 해라체로 대우하면서 상대방에게 문장에 담긴 행동을 실행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문장종결형이다. 명령이 상대방의 행동을 제한하는 것이 기본적인 속성이기 때문에 자기보다 낮은 상대에 대하여 그의 행동을 제한하는 이 형태는 명령의 속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이라는 점에서 대표적인 명령법 문장종결형이라고 할 수 있다.
(7) a. 믿음을 가져라.
b. 진석아, 이리 와라.
c. 조금만 더 기다려라.
한편, ‘-어/아라’는 다른 문장종결법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의 예들은 ‘-어/아라’가 감탄법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데 그 경우, 언제나 형용사 어간에 직접 연결되며 주어도 언제나 화자 자신이라는 사용환경을 가진다. 따라서 동사 어간에 결합되고 주어는 청자로 상정되는 명령법의 경우와 사용역이 혼동될 염려는 없다.
(9) a. 참 달도 밝아라.
b. 에그, 가엾어라.
‘-어/아라’와 같이 해라체 등급에 사용되는 명령법의 문장종결형으로 ‘-거라’와 ‘-너라’, ‘-여라’가 있다. 다음의 예는 이들이 명령법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8) a. 어서{가거라, 가라}
b. 훌륭하게{자라거라, 자라라.}
c. 이리{오너라, 와라, 오거라.}
d. 꼬마야 이리 온.
e. 서두르지 말고 차근차근{하여라, 하거라.}
f. 빨리 좀 해라.
‘-거라’는 몇몇의 특정 동사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하였으나 (8ab)에서 보듯이 ‘-어/아라’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면 대부분 연결될 수 있는 것 같다. 다만 이들은 의미상 ‘-거라’가 ‘-어/아라’보다 더 격식성을 지니는 듯하다. 그리고 ‘-너라’는 서술어가 동사 ‘오다’인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인데 이 역시 ‘-어/아라’, ‘-거라’ 형태가 사용된 경우도 있으므로 ‘오다’에만 나타날 수 있는 수의적인 이형태라고 할 것이다. 그런데 ‘-너라’는 청자가 특히 어린이이거나 어리게 대우할 상대인 경우에는 ‘-ㄴ’으로 나타나는데 이 경우는 ‘-너라’의 경우보다 친근감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8d)에 그러한 ‘-ㄴ’의 용법이 보인다. ‘-여라’는 서술어가 ‘하다’나 ‘-하다’형의 동사인 경우에 사용되는 ‘-어/아라’의 이형태이다. 물론 이 경우도 ‘-거라’가 결합할 수 있다.(8e 참조) 그리고 ‘-여라’는 동사 ‘하다’와 결합하면 ‘해라’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8f 참조)
참고문헌
고성환, 현대국어 명령문에 대한 의미·화용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1996
고은숙, 국어의 문장 종류에 관한 역사적 고찰 :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2010
권경원, 명령문의 의미론적 분석,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03
권선광, 명령문의 개념구조적 기술, 중부대학교, 1995
박영준, 명령문의 개념과 범주,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1991
최경자, 국어 명령문의 화행분석, 서울대학교, 1985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