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의식][계급][노동계급]계급의식과 계급, 계급의식과 노동계급, 계급의식과 대중가요, 계급의식과 산업혁명, 계급의식과 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막스주의), 노동계급과 프롤레타리아, 계급의식과 문학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계급의식][계급][노동계급]계급의식과 계급, 계급의식과 노동계급, 계급의식과 대중가요, 계급의식과 산업혁명, 계급의식과 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막스주의), 노동계급과 프롤레타리아, 계급의식과 문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계급의식과 계급

Ⅲ. 계급의식과 노동계급

Ⅳ. 계급의식과 대중가요

Ⅴ. 계급의식과 산업혁명

Ⅵ. 계급의식과 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막스주의)

Ⅶ. 노동계급과 프롤레타리아
1. 면 공업의 발전과 면 공업 노동자들
2. 양모 공업(양모 방적업)의 발전과 양모 공업 노동자들
3. 리넨(아마포) 공업의 발전과 리넨 공업 노동자들
4. 견공업(명주 가공)의 발전과 견공업노동자들
5. 광산업의 발전과 광산노동자들
6. 농업의 발전과 농업노동자들
7. 수송수단(산업설비)의 건설과 건설노동자들

Ⅷ. 계급의식과 문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파고들어 과거의 경험을 찾아내고 그것을 현재와 연결시키려고 애를 쓴 것이다. 이처럼 그의 많은 인물들이 산산조각이 난 과거를 현재에 접목하려는 노력은 바로 현재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노력의 다른 표현이다. 그러므로 과거의 끈이 끊어질 때 그들은 The Sound and the Fury의 Quentin이나 Sartoris의 Bayard처럼 죽음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모더니스트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모두가 현재의 삶에서 위기를 느끼고 그것에 대항할 길을 모색한 사람들이다. Marcus Klein은 미국 모더니스트들은 계급적으로 강한 통일성을 지녔다고 지적하면서 그들을 “쫓겨난 사회적 귀족계급(a dispossessed social aristocracy)”이라고 부른다. 그에 따르면 T. S. Eliot, F. Scott Fitzgerald, Ernest Hemingway, Faulkner같은 모더니스트들은 대부분 1880-90년대에 오래된 가문들에서 태어났으며 그런 까닭에 전통에 대한 남다른 집착을 지녔다. 그들은 미국이 변해감에 따라 소도시를 중심으로 한 그들의 문화적인 설자리, 안전, 권리 따위를 박탈당해 버렸다. 게다가 1880년대 이후 밀려들어온 동유럽의 이민과 남부의 이주민으로 해서 미국의 전통적인 가치가 붕괴되게 되었다. 그래서 그들은 그 ‘야만인들(the barbarians)’에게 박탈당한 자신들을 지키기 위해 ‘전통’이라는 배타적인 전략으로 문화의 중심에서 그들을 배제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전통’이라는 개념이 Eliot나 Hemingway의 경우와 Faulkner의 경우는 분명히 다르다.
Hemingway, Fitzgerald, John Dos Passos 등 미국 모더니즘의 대표자들은 거의 모두가 북부 출신이다. Eliot는 남부인 Missouri 주 St. Louis에서 태어났으나 그의 조상들은 Massachusetts 주에 뿌리를 박은 유니테리언 교파의 사람들이었다. 그러므로 그의 정신은 남부가 아니라 뉴잉글랜드에 닿아 있었다. Faulkner의 경우와는 달리 이들에게는 전통이 그들의 현재를 괴롭히고 위협한 것이 아니라 전통의 부재가 문제였다. 그들은 기댈만한 전통이 없는 현실을 치유하기 위해 전통을 창조하고자 했다.
사실 Eliot가 ‘전통’을 말할 때 그것은 미국의 과거에 맞닿은 역사인식이 아니라 예술가의 의식적 노력에 의해서 창조된 초시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다. 시간을 배제한 ‘전통’은 역사의 부재를 의미하고 변화의 개념을 부정하는 것이다. 전통은 ‘이상적인 질서(ideal order)’를 지니고 있으며, 이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시인에게 끊임없이 개성의 배제를 요구한다. 그가 “시인은 표현할 ‘개성’이 아니라 특수한 매개체를 갖고 있다(the poet has, not a ‘personality’ to express, but a particular medium)”고 주장하며 시인의 정신을 백금 조각에 비유할 때 그런 인식에는 구체적인 역사로서의 전통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말하자면 ‘개성’이 시간과 변화를 수용하는 반면에 ‘매개체’는 추상적이고 불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이런 시인이 “과거의 과거성뿐만 아니라 과거의 현재성에 대한 인식(a perception, not only of the pastness of the past, but of its presence)”을 지닌다 하더라도 그것은 시인이 의식적으로 노력해 획득한 관념화된 정신일 뿐이다. 따라서 Eliot에게서는 시인이 전통 속으로 뛰어든다고 할 때 그것은 변화하는 시간 속으로 들어서는 것이 아니라 불변의 추상세계로 들어서는 것이다.
Hemingway의 경우도 전통의 개념은 Eliot와 그리 멀지 않다. 그는 변화하는 긴 시간이 아니라 섬광처럼 번쩍이고 사라지는 현재에 매달린다. 그에게 시간이란 과거나 미래가 존재하지 않는 “사로잡힌 현재(the captive now)”로 그 속에는 어떤 항구적인 결과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변화도 없다. ‘현재’는 다만 모든 변화를 초극한 불변의 추상세계이다. 그만큼 이들 모더니스트들은 역사의 부재를 의식하고 그 빈 공간에 ‘전통’을 채우려고 애썼다. 그러나 역사가 배제된 그들의 의식에 채워질 수 있는 것은 변화하는 세계에 대한 인식이 아니라 초시간의 세계 내지 절대적인 현재이다. 그리고 어느 쪽이든 변화를 부정한다는 점에서는 시간을 부정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살아있는 역사로서의 전통의 부재로 이어지게 되고, 그래서 그들은 전통을 찾아 유럽을 떠돌아 다니게 되었다. 이에 비해 Faulkner는 같은 모더니스트이면서도 늘 역사의 중압에 시달렸다. 다른 모더니스트들은 역사에서 해방됨으로써 자유로이 초시간의 세계로 넘어갈 수 있었지만 그에게는 과거라는 역사적 실체가 늘 따라다녔다. 말하자면 그는 추상적인 ‘전통’이 아니라 그의 의식을 지배하며 시간 속에 살아 있는 전통에 시달렸다. The Sound and the Fury에서 Quentin이 시간의 멍에에서 벗어나기 위해 “모든 희망과 욕망의 무덤(the mausoleum of all hope and desire)”인 시계를 깨뜨리는 행위는 바로 Faulkner 자신을 짓누르는 역사에서 벗어나려는 몸짓의 다른 표현이다.
이처럼 Faulkner는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와 사회에 대해 남달리 예민한 의식을 지니고 그것을 문학이라는 양식을 통해 표현하려고 했다. 따라서 그의 세계는 추상화되고 관념화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조건지워지고 계급제도에 의해 유지되는 실제하는 남부에 대한 명확한 인식에 바탕을 둔 세계이다.
참고문헌
ⅰ. 게오르크 루카치 저, 박정호 역, 역사와 계급의식, 거름, 1999
ⅱ. 김경옥, William Cobbett의 계급의식, 서울대학교, 1985
ⅲ. 임영일, 계급의식론에 대한 비판적 일고찰, 서울대학교, 1982
ⅳ. 임영일, 계급과 계급의식 : 계급정치의 중요성, 영남노동운동연구소, 2003
ⅴ. 정변호, 계급의식의 반성문제, 대한민국해군 / 해군, 1960
ⅵ. 차남희, 현대 산업사회의 계급과 계급의식에 관한 비판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1
  • 가격9,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