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회][신간회 역사적 의의][신간회 창립][신간회 결성과정][신간회 활동과 조직화][신간회 해소]신간회의 역사적 의의, 신간회의 창립, 신간회의 결성과정, 신간회의 활동과 조직화, 신간회의 해소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간회][신간회 역사적 의의][신간회 창립][신간회 결성과정][신간회 활동과 조직화][신간회 해소]신간회의 역사적 의의, 신간회의 창립, 신간회의 결성과정, 신간회의 활동과 조직화, 신간회의 해소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신간회의 역사적 의의

Ⅲ. 신간회의 창립

Ⅳ. 신간회의 결성과정
1. 자치론의 대두
2. 조선공산당의 협동전선론

Ⅴ. 신간회의 활동과 조직화

Ⅵ. 신간회의 해소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지만 조선인 자본가와 지주도 대상이었던 것이었으며 민족부르조아와 중소지주와의 연합전선으로서의 신간회는 김병로의 운영방식이나 사회주의 계열의 활동 공간으로서나 문제를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민족주의 좌파는 협동전선으로서의 신간회는 계급운동의 전용장소도 아니고 계급운동을 저지할 이유도 없는 것이라고 하면서 현재 모든 운동이 질식한 상황에서 해산은 계급투쟁의 논리에 편중하여 집중된 역량을 궤멸시키는 결과일 뿐이라고 반대하였다.
1931년 5월 15-16일 신간회는 창립대회 이후 마지막의 정식대회를 개최한다. 일본경찰은 이 대회가 해소론을 제기할 것이라는 정보 속에서 개최를 허락하였다. 지회로부터의 해소논의는 민족주의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43대 3으로 가결되었다.
해소 결의 후 이와 유사한 새로운 조직 생성에 실패함으로써 협동전선으로서의 신간회라는 그나마 있던 공간도 사라지고 만다.
Ⅶ. 결론
신간회는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전민족의 자주적 요구에 의해 건설된 최대 민족운동체로서의 위상을 갖추었지만 실제로는 민족해방운동 전반을 올바르게 지도하지 못하고 1931년 사실상의 해체를 맞았다. 신간회가 파국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일제의 탄압이 주요한 이유이겠지만 기본적으로 사회주의자들이 신간회의 우경화를 막아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독자적 헤게모니를 장악하지 못했다는데 있다. 이 외에도 신간회가 애초부터 가지고 있었던 조직적인 문제-단체 가입제가 아닌 개인 가입제 등-로 인해 하루가 다르게 성장해가는 각계의 대중운동을 치밀하게 지도하지 못했고 당적 구조를 가진 합법운동체라는 한계 등의 이유로 말미암아 신간회는 1930년대라는 파쇼전시하에서의 지도운동체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할 조직이었기에 해소는 민족해방운동의 발전과정에 있어 필연적 과정이었다고 할 수도 있다. 신간회의 해체로 이 후 1930년대 국내전선에서의 민족주의 좌파들은 그 운동기반을 잃고 분산되거나 급격하게 개량화 되었다. 그러나 신간회 운동은 30년대 이후 해외전선에서 다시 일어난 민족통일전선에게는 20년대 전반기 임시정부운동 때의 통일운동으로서의 국민대표자대회와 함께 귀중한 경험과 자산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신간회 운동은 지하운동의 방파제 역할로서의 표면 운동이라는 의미로 그 존재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결국 신간회는 식민지조선인들의 정치적, 사회적 훈련의 도장 혹은 일제통치 세력에 대한 일정한 압력수단이 될 수 있는 단계의 민족협동전선이었고 지식인 중심의 민중운동체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신간회는 식민지조선 민중의 민족적, 계급적 요구에 응하여 조직차원에서 거기에 참여하거나 그것을 지도할 수 있는 단체는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민족운동사상의 과제는 이러한 신간회를 민족적, 계급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간회 창립시 표방했던 \'정치적 투쟁\'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전환시켜 나가는 일이었고 해소운동에는 그러한 상황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해소운동이 곧 신간회의 해체가 되고 말았던 것은 해소론자들의 오류였으며 민족운동 역량의 커다란 손실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준엽·김창순(1979~80), 한국공산주의운동사자료집 1~2권,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미즈노 나오끼(水野直樹)(1988 봄호), 코민테른의 민족통일전선론과 신간회운동, 역사비평 2호
스칼라피노·이정식(1983), 시련의 시기―신간회, 신간회연구, 동녘
이균영(1990), 신간회연구, 한양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정용욱(1989 겨울호), 신간회 조직의 한계와 반제민족통일전선, 역사비평 7호
차기벽(1985), 민족협동전선의 시각에서 본 신간회운동, 일제의 한국 식민통치, 정음사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