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의식][자아의식과 김춘수][자아의식과 목회자][자아의식과 이상][자아의식과 조선후기][헤로토도스]자아의식과 김춘수, 자아의식과 목회자, 자아의식과 이상, 자아의식과 조선후기, 자아의식과 헤로토도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아의식][자아의식과 김춘수][자아의식과 목회자][자아의식과 이상][자아의식과 조선후기][헤로토도스]자아의식과 김춘수, 자아의식과 목회자, 자아의식과 이상, 자아의식과 조선후기, 자아의식과 헤로토도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자아의식과 김춘수

Ⅲ. 자아의식과 목회자

Ⅳ. 자아의식과 이상

Ⅴ. 자아의식과 조선후기

Ⅵ. 자아의식과 헤로토도스

참고문헌

본문내용

폭이 넓어졌으며, 1791년 신해통공으로 시전상인이 아니라도 도시에서 상업이 허용되자 상업은 더욱 발전하였다. 私商層 가운데 都賈는 큰 자본을 가지고 장시와 장시 또는 장시와 도시시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송상, 경강상인, 만상(의주), 내상(동래) 등은 당시의 대표적인 도고였다. 이처럼 전국적인 유통망이 확대되어 가자 18세기 중엽 이후에는 포구를 비롯한 교통의 요지에 客主와 旅閣이 나타나서 상인을 위한 숙박과 위탁수매 및 판매업에 종사하였다.
이처럼 17세기 이후 조선 사회의 경제구조는 전반적으로 동요하였고 그 내부에서는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었다. 종래의 신분제도를 지탱해주는 하부구조 즉 토대의 틀이 바뀌고 있던 시기였는지라 조선전기의 신분제도인 良賤制는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조선후기 사회의 상층부는 양반토호가 있었고, 중간부는 班常을 포괄하는 요호부민, 그리고 하층부로서는 평천민의 소빈민 하층으로 세분화되어 갔다. 양반 계층은 양반토호, 재지사족, 몰락사족으로 분화되어 갔는데, 특히 몰락사족은 作人으로 또는 농번기의 일꾼으로 고용되거나 천시하던 상업, 수공업에 종사하였다. 농공상에 종사하였던 평민계층도 그 분화가 촉진되어서 요호부민(평천민 부자)들과 임노동자로 양극화되어 갔다. 한편 정부는 부세 제도 운영을 위한 새로운 동반자로서 요호부민층을 끌어들이려 하고 또한 요호부민 중에는 향촌 사회의 향임직을 맡아 자신들의 지위와 이익을 보호하려고 하였는데, 정부와 요호부민의 이해가 일치함으로써 요호부민층 가운데는 새로운 鄕案에 오르는 자가 나타나게 되었다. 향촌 지배에 참여하지 못한 요호부민층도 많았지만, 향권을 좌우하게 된 요호부민층은 구향(재지사족)과 갈등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물론 요호부민층은 경제력을 배경으로 돈으로 향임직을 사는 賣鄕을 통하여 향촌사회에서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변화의 속도가 더디기는 하였지만 17세기 이후 노비제도의 붕괴 현상 역시 이 시기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맞물리고 있었다. 공노비는 16세기 말 전란의 소용돌이 중에서 軍功을 통하여, 그리고 국가의 재정 확충을 위한 贖良 정책을 통하여, 천민 신분을 벗어날 수 있었다. 1744년(영조 20)에 반포된 <續大典>에 따르면, 공노비의 贖身 규정으로는 代口贖身과 納錢贖身이 있었는데, 공노비는 다른 사람을 자기 자리에 넣거나 돈 백 냥을 물어야 공노비 신분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또한 일단 속량한 노비는 아무도 손댈 수 없음을 규정하였으며 자손도 영원히 양인이 됨을 인정하였다. 代口贖身을 하는 경우도 결국은 다른 자를 노비로 사들여야 했기 때문에 그에 해당하는 돈, 적어도 백 냥 정도가 들었을 것이다. 이것은 조선전기에 비하여 돈이 있고 재산이 많은 노비가 전에 비해 많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많은 공노비들이 도주 행각을 벌였다. 조정에서 身貢을 줄여 노비를 달래기도 하고 또한 노비추쇄를 시행하여 도망 노비를 찾아내기도 하였으나 별로 성과는 없었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공노비의 奴婢案이 도망과 합법적인 從良으로 말미암아 이름만 적혀 있을 뿐 身貢을 받아내는 구실을 하지 못하였다. 1801년 내수사와 중앙 관서의 납공노비 6만 6천명을 해방시킨 것도 어쩔 수 없이 취한 조치였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공노비 제도는 사실상 해체된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요컨대 조선후기 사회에서 경제적 변화가 실제 사회의 운영을 좌우하는 지배원리로 부각하면서 종래의 신분제는 그 힘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상, 조선후기에 이르러 양반 계층과 그 외의 신분계층의 사회적 역학관계가 총체적 변화를 이루고 있었다. 조선전기에는 양반 중심의 헤게모니가 불변적인 것이었다면 조선후기에 이르러 그러한 헤게모니에 변화가 일기 시작하였다. 양반과 기녀의 사회적 역학관계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러한 변화가 특징적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때는 17세기 경으로 보이고, 그러한 변화가 18, 19세기에 이르러 강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Ⅵ. 자아의식과 헤로토도스
참된 보편성은 자기 자신을 개별적인 존재로 정립하거나 규정하지 않는 것이다. 즉 자기 자신까지도 보편성에 흡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리스적 정신은 자기 자신의 통일성이 파괴되지 않는 한에서만 보편성이 용납되었다. 때문에 타자를 나의 부분으로 통화시키는 것이 아닌 내가 통째로 그것의 부분이 될 수밖에 없는 그런 보편자를 그리스 정신은 인식하지 못했다.
즉, 자기의 사고 범주에 갇혀버리는 오류를 범하였다.
이러한 오류는 결국 그의 사상에 기초한 서양 형이상학이 인식하지 못했던 보편자, 그들의 관념밖에 있었던 존재에 대한 인식단절의 절망을 이끌어 내었다.
언제나 타자를 매개로 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던 서양철학이 그 비교대상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예지가 크세르크세스와 아르타바노스의 일화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인식의 단절, 동화되지 않는 타자를 자연과 신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결코 자기자신의 의지에 동화시킬 수 없고 도리어 자기를 그곳에 맡길 수밖에 없는 자신의 존재가 통째로 흡수되어 버리는 절대적 타지이다.
결국 우리들의 삶은 자신의 의지와 인식을 가지고 동화될 수 없는 타자속에서 부유하는 것이다. 그리스 정신이 “자기의 타자“는 인식하여도 ”타자적인 자기“를 인식하지 못한 것처럼 우리 자신들도 결국 개별적인 주체성을 갖는 다른 개별자들과 동등한 또 다른 개별자로서만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다른 사유들은 우리 자신속에 포섭하려는 부질없는 시도를 포기하고 다른 타자들 속에서 흡수되어 새로운 정체성을 가진 자기로 태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새로운 자기와 타자의 인과관계일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규(1992) : 자아개념과 그 평가 방법에 관한 고찰, 교육논총 제18집,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김기동(1983) :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연구사
김용섭(1976) : 조선후기 농업사 연구 2, 일조각
송인섭(1996) : 인간의 자아탐구, 학지사
정원식(1968) : 자아개념 검사요강, 코리안 테스팅 센타
Segler, Franklin M(1994) : 목회학 개론, 생명의 말씀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