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 금오신화의 사상배경과 창작배경,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여성상,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시습 금오신화의 사상배경과 창작배경,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여성상,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김시습 금오신화의 사상배경
1. 우리나라를 배경
2. 소재와 주제의 특이한 관계
3. 결말의 처리방식
4. 표현방식
5. 시의 대량 삽입

Ⅲ. 김시습 금오신화의 창작배경

Ⅳ.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

Ⅴ. 김시습 금오신화의 여성상

Ⅵ.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Ⅶ.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1. 이생과 최녀
2. 이생 학교 가는 길
3. 이별

Ⅷ.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Ⅸ.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비극적 배경, 현실과 비현실의 갈등상황이 어우러져 빚어낸 비극소설임에 틀림없다.
Ⅷ.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송도 부호의 아들 홍생이 유람을 겸한 장사를 하기 위해 평양으로 가서 친구들과 같이 대동강에서 뱃놀이를 하다가, 휘흥을 이기지 못하여 홀로 작은 배를 타고 부벽정 아래에 이르러, 정자 위에 올라가서 난간을 의지하고 고국의 흥망을 탄식하며 시를 지어 낭랑히 읊고 삼경(三更)이 되어 돌아가려고 하는데 갑자기 발자국소리가 들려온다.
홍생은 영명사의 중이 찾아오는가 생각했으나, 뜻밖에도 한 미인이 좌우에서 시녀를 거느리고 비단 부채를 들고 나타나는데, 그 위의(威儀)가 엄숙하고 정숙하여 마치 귀족 집안의 처녀 같았다고나 하거니와, 홍생이 시녀의 내영(來迎)을 받아 누상으로 올라가서 그 미인과 인사를 나누게 된다. 그 미인의 신분은 은왕의 후예요, 기자왕의 딸로서, 부왕이 위만에게 왕위를 빼앗긴 후로 정절을 지켜 죽기를 기다리는데, 신선이 된 선조가 나타나 불사약을 주어 그 약을 먹고 수정궁의 상아가 되었다는 것이다. 홍생이 부벽루에서 그 선녀와 하룻밤을 지내며 서로 시를 주고받으며 부르다가 날이 새자 그 선녀는 승천하고, 홍생은 집에 돌아와 그 선녀를 생각하며 사모하던 끝에 병에 걸렸는데, 그 선녀의 시녀가 나타나, \"우리 아가씨가 상제께 아뢰어 견우성 막하의 종사를 삼았으니 올라오라.\"고 일러 주는 꿈을 꾸고 난 뒤,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은 후, 분향하고 누웠다가 세상을 떠났는데, 빈장(嬪葬)한 지 몇 달이 지나도 안색이 변하지 않았다.
평양(平壤)의 부벽루(浮碧樓)에서 선녀와 더불어 논 이야기로서, 생육신의 한 사람인 작자는 이 작품 속에서 기자(箕子)를 들어 단종을 폐위시킨 세조의 처사를 은연중 비난하였고, 죽은 여자의 혼령이 산 사람처럼 나타나 주인공과 어울렸다는 점에서 명혼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만남이 꿈속의 일인 것 같다는 설정은 몽유소설과 상통하지만, 꿈의 시작과 끝을 불분명하게 해서 한층 더 미묘한 분위기를 조정했다. 도가적인 취향과 주체적인 사관을 내면적인 신념으로 승화시킨 작품으로 볼 수 있고, 시해 설화와도 관련이 있다.
Ⅸ.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경주 박생은 유생인데 뜻과 기상이 고상하여 세력에 굴복 않는 청년으로, 세상과 불화관계에 있다. 꿈속에 영부주에가 염왕을 만난다. 진정한 자기 이상을 도모한다. 염왕의 후계자로 결정됨 꿈을 깨자 죽음을 준비하고 죽게 된다. 박생이 염라왕이 될 것이라는 사실이 이웃집 사람 꿈에 알려진다.
<금오신화>가운데서 매월당의 사상을 압축하고 있는 대표적 사상소설이다. 작가 자신의 철학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서정성을 제거하였으며 다른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시적 문체를 거세하였다. 박생과 염라왕과의 대화를 통하여 박생 즉 매월당의 평소 생각했던 哲理와 현실에 대한 자신의 사회관을 낱낱이 피력하고 있다.
본체론의 제시와 유불 화합론, 귀신론, 현실불교와 신앙의 폐란론, 치국관 등 평소 자신의 생각과 현실의 갈등 관계를 박생과 염라왕의 대화를 통해 문제 삼고 있으며, 저승을 부정하는 염라왕의 역설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 정당하며 우위에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여기에서 염왕은 세간의 상식이 용인하는 염라왕이 아니다. 박생의 변론에 동조하며 인간을 심판하는 염라국을 오히려 부정하고, 백성을 그릇 인도하는 왕의 횡포를 비판하고 세상과 다른 생각을 가진 박생을 옹호하고 끝내는 그 박생이 마음에 들어 염라국왕의 자리까지 물려주는 데 이른다. 작자의 의도는 박생과 염라국왕의 대화를 통하여 오히려 염라왕이나 저승의 존재를 부인하고 거부하는 패러독스를 이용함으로서 현실적 행위와 사상을 더 강하게 부인해 보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매월당은 염라왕이라는 가상 인물을 통하여 작가가 처한 시대의 이념적 모순과 정치 사회의 모순을 극복해 보려는 의도를 이 작품을 통해 실현하려고 하고 있다.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
文士 韓生이 瓢淵에 사는 龍神의 부름을 받아 龍宮에 들려서 上樑文을 지어 바치고 시로써 贊하여 그의 뛰어난 詩才와 文才를 龍宮에 크게 떨쳤으며, 潤筆宴을 마친 뒤에 궁실과 彊城을 두루 돌아보고 용왕으로부터 寶物을 받아 가지고 돌아오니 한낱 꿈에 불과 하였다.
위에서 살핀 것처럼 고려의 문사 韓生이 용궁의 잔치에 초대를 받아 용녀의 결혼을 장식하기 위한 가회각의 상량문을 짓고 윤필연을 마친 뒤 용궁의 모든 건물과 의기를 구경하고 돌아오니 一場春夢이었다. 이에 韓生이 가산을 정리하여 명산에 몸을 숨겨 현실의 명리를 떠났다는 이야기로 전개되는 이 작품은 金時習 자신의 자서전적인 내용이다. 특히 韓生은 金時習 자신을, 용왕은 세종을, 용녀는 문종과 단종을 그려낸 것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았던 과거를 기억하면서 현재 방랑생활에서 인생행로의 종착점을 모색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따라서 이 작품의 주 思想은 龍宮思想이 전체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儒敎的 王道主義에 입각한 이상적인 군왕의 공덕을 말함이라 하겠다. 그 예로 韓生이 용왕에게 바친 상량문의 첫 부분을 인용해보면 다음과 같다.
“竊以堪輿之內 神龍最靈 人物之間 配匹至重 旣有潤物之功 可無愆福之基……\"
\"생각하건데, 천지란에는 용왕님이 가장 신령스럽고, 인물의 사이에는 배필이 지극히 중요한데, 용왕님께서는 이미 만물을 윤택하신 공로가 있으시니 어찌 복 받을 터전이 없으리……\"
결국 「龍宮赴宴錄」은 金時習이 주인공 韓生을 통하여 그의 詩才를 자랑하여 스스로 왕에게 인정받고 싶은 것을 그린 것으로 이는 金時習의 무의식 속에서의 자부심이 드러난 결과라고 본다.
참고문헌
1. 김용기(2007), 만복사저포기의 서술기법과 인물 성격의 형상화 방식 연구, 우리문학회
2. 김민정(2011), 사성제를 통해 본 이생규장전, 경희대학교
3. 안민정(2011), 한국 전기소설의 환상성 연구 : 금오신화의 경우, 선문대학교
4. 임치균(2011), 용궁부연록의 환상 체험 연구, 청계사학회
5. 장영희(2011), 남염부주지에 그려진 이상세계 : 유학자 박생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학회
6. 전성운(2008), 문체적 측면에서 본 금오신화의 지향과 의미, 민족어문학회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