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수집의 정의, 자료수집의 방법, 자료수집과 자료, 자료수집과 면접법, 자료수집과 검사법, 자료수집과 통계자료, 자료수집과 전자자료, 자료수집과 대학도서관, 자료수집과 방언, 자료수집과 음성자료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료수집의 정의, 자료수집의 방법, 자료수집과 자료, 자료수집과 면접법, 자료수집과 검사법, 자료수집과 통계자료, 자료수집과 전자자료, 자료수집과 대학도서관, 자료수집과 방언, 자료수집과 음성자료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자료수집의 정의

Ⅲ. 자료수집의 방법
1. 관찰법
1) 특징
2) 유의점
3) 종류
2. 질문지법

Ⅳ. 자료수집과 자료
1. 1차자료 : 수행중인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접 수집한 자료
2. 2차자료 : 수행중인 조사목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존의 모든 자료

Ⅴ. 자료수집과 면접법
1. 의의
2. 장점
3. 단점
4. 종류
1) 면접상황에 따른 분류
2) 조직화 정도에 따른 분류

Ⅵ. 자료수집과 검사법
1. 표준화 검사
2. 적성 검사(Aptitude tests)
3. 정의적 특성 검사 : 인성, 태도, 가치관 및 흥미검사

Ⅶ. 자료수집과 통계자료
1. 전통적 방법에 의한 분류
2. 컴퓨터 기술 적용에 의한 분류
1) PAPI(Paper and Pencil Interviewing)
2) CAPI(Computer-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
3) CATI(Computer-Assisted Telephone Interviewing)
4) CAI(Computer-Assisted Interviewing)
5) CADE 또는 CADI(Computer-Assisted Data Entry 또는 Computer-Assisted Data Input)
6) CASIC(Computer-Assisted Survey Information Collection)
7) CSAQ(Computeriz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8)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Ⅷ. 자료수집과 전자자료
1. 한국어를 반영한 전자 자료의 수집
2. 남한 방언 자료
3. 북한 방언 자료

Ⅸ. 자료수집과 대학도서관
1. 김부자.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자료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1974
2. 이승원. 대학도서관의 도서선택절차에 관한 연구. 1984
3. 이현영. 서양도서 선택자료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전북대학교 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1986

Ⅹ. 자료수집과 방언
1. 조사자와 제보자
2. 조사 항목과 질문 방법

Ⅺ. 자료수집과 음성자료
1. 수집할 단어와 문장의 선정
2. 제보자의 선정
3. 녹음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문법형태소와 존비법, 문체법, 부정법과 같은 문법 범주들이 실현된 문(文)들이 조사 항목을 구성할 것이다.
특히 존비법, 문체법과 같은 통사론 연구의 경우는 존비법과 문체법을 연결시켜 조사 항목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드시 서술어에 \'계사, 자음으로 끝나는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 모음으로 끝나는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를 포함시켜야 하며 주어와 종결어미와의 호응 관계, 서술어와 종결어미의 통합관계,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와의 통합 관계 등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
. 자료수집과 음성자료
1. 수집할 단어와 문장의 선정
음성 자료는 방언이나 세대에 따른 어휘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발음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수집하는 것이므로 모든 음소들이 여러 환경에서 골고루 나오는 어휘들과 모든 음소와 문장 유형이 고루 안배된 문장들을 먼저 선정해야 한다. 전자를 음성 공학에서는 \'음성적으로 균형 잡힌 단어들(phonetically balanced words)\'이라 하고 후자를 \'음성적으로 균형 잡힌 문장들(phonetically balanced sentences)\'이라 한다. 음성 공학자들은 음성적으로 균형 잡힌 단어와 문장들을 만들어서 음성 합성기와 음성 인식기의 개발에 이용하고 있는데, 이미 개발된 단어와 문장 목록을 검토하고 부족한 점은 개선해서 사용하면 될 것이다. 방언의 음성 자료를 수집할 때는 조사 자료로 선정된 단어와 문장들을 조사하는 지역의 방언형으로 바꾸는 작업을 먼저 해야 한다.
단어나 문장의 낭독은 자연스런 발화와 음성학적으로 차이가 나므로 자연스런 발화 자료도 함께 수집해야 한다. 자연스런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학교 다닐 때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있으면 이야기 좀 해 주세요.\", \"자녀분들은 뭘 하는지 말씀해 주세요.\" 등과 같이 제보자가 즐거운 마음으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 목록을 만들어야 한다.
2. 제보자의 선정
제보자는 가능하면 3대 이상 한 지역에 거주하고 외부 지역에서 장기간 생활한 경험이 없는 사람이어야 한다. 같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도 교육 수준과 직업에 따라 조금씩 다른 말을 구사하므로 가능하면 비슷한 교육 수준과 직업을 갖고 있는 제보자를 구해야 한다. 방언 연구자들은 남성 제보자를 선호하는데, 음성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남성 제보자와 여성 제보자를 같은 수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녹음
지금까지 방언 연구자들은 소형 아날로그 녹음기와 비전문가용 마이크를 이용해 음성 자료를 녹음한 다음 음향 분석기를 이용하지 않고 자신들의 청취 판단으로 음성 자료를 분석해 왔다. 영국의 위대한 음성학자인 대니얼 존스(Danial Jones) 교수가 주장했듯이 인간의 귀가 가장 훌륭한 음성 분석 도구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청취 판단은 오류의 가능성이 있으며 객관적으로 검증되기 어렵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방언 연구, 특히 음성 연구의 과학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음향 분석기를 이용해서 음향 분석을 해야 한다. 음향 분석기를 이용하면 귀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중요한 말소리의 음향적 특징을 파악할 수도 있다. 그런데 소형 아날로그 녹음기와 비전문가용 마이크로 수집한 음성 자료는 녹음 품질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음향 분석기를 이용한 음향 분석에 사용하기에 적당하지 못하다. 물론 녹음 품질이 떨어질수록 음성 자료로서의 가치도 떨어지게 된다.
녹음 장비의 성능은 보통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로 평가한다. 녹음 장비의 신호 대 잡음비가 높을수록 주변 소음이 적게 들어가서 고품질의 녹음이 가능해진다. 신호 대 잡음비는 데시벨(dB)을 단위로 해서 표시하는데, 미국의 국립음성언어센터(National Center for Voice and Speech)에서는 전문적인 음향 분석을 위해서 85데시벨 이상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갖고 있는 녹음 장비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Titze 1994). 그런데 좋은 품질의 아날로그 녹음기의 신호 대 잡음비도 68데시벨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아무리 좋은 녹음실에서 전문가용 마이크를 이용해 녹음하더라도 만족스런 음성 자료를 얻을 수 없다.
85데시벨 이상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갖고 있는 녹음 장비로는 DAT와 KAY사의 CSL 등이 있다. CSL은 컴퓨터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음성 녹음 및 분석을 위한 음향 분석기인데, 이 기계는 부피가 다소 클 뿐만 아니라 컴퓨터와 함께 사용해야 하므로 이동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방언 음성 자료의 수집을 위해서는 이동성이 탁월한 DA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도 녹음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고품질의 녹음을 하려면 Shure SM-48과 같은 XLR 타입의 고성능 마이크를 사용해야 한다. 지금까지 방언 조사를 할 때는 제보자가 마이크를 보고 긴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를 숨기고 녹음했다. 그러나 마이크가 제보자의 입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면 주변 소음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DAT와 고성능 마이크를 사용하더라도 좋은 품질의 녹음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녹음할 때에는 마이크를 입에서 10센티미터 이내로 가까이 대고 녹음해야 한다. 장시간 녹음을 할 경우에는 마이크를 손에 들고 있을 수 없으므로 마이크 받침대에 고정시키거나 AKG Acoustics사의 C-410과 같이 머리에 착용하는 고성능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음할 때 녹음 환경도 중요한데, 가능하면 제보자를 방음 처리가 잘 된 녹음실로 초청해서 녹음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이 여의치 않을 때는 주변 소음이 없는 방에서 녹음해야 한다.
참고문헌
▷ 김병준(2010), 표본조사 자료수집방법들 중 CATI와PAPSI의 통계적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 김부자(1975),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자료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 권용선(2011), 국회도서관 인터넷자료 수집 및 선정에 관한 연구, 국회도서관
▷ 이호영(2001), 한국어 음성 자료의 수집과 정리, 국립국어원
▷ 최명옥(2001),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 국립국어원
▷ 홍윤표(2001), 한국어 전자 자료의 수집과 정리 및 활용 방안, 국립국어원
  • 가격9,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