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새)의 특징, 언어, 조류(새)의 이동, 번식기, 조류(새)의 부리, 관찰, 조류(새)와 야생조류, 경포호조류, 조류(새)와 천연기념물, 인공소상, 조류(새)와 조류충돌, 조류(새)와 조류독감, 조류 보호와 보존방법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류(새)의 특징, 언어, 조류(새)의 이동, 번식기, 조류(새)의 부리, 관찰, 조류(새)와 야생조류, 경포호조류, 조류(새)와 천연기념물, 인공소상, 조류(새)와 조류충돌, 조류(새)와 조류독감, 조류 보호와 보존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조류(새)의 특징

Ⅲ. 조류(새)의 언어
1. 지저귐이 갖는 의미
2. 공격의 부르짖음과 구애의 속삭임

Ⅳ. 조류(새)의 이동
1. 겨울새
2. 여름새
3. 나그네새
4. 떠돌이새
5. 길 잃은 새
1) 태양과 새의 행동이 있다
2) 별과 새의 행동이 있다

Ⅴ. 조류(새)의 번식기

Ⅵ. 조류(새)의 부리

Ⅶ. 조류(새)의 관찰
1. 크기와 형태
1) 몸의 생김새
2) 부리의 크기와 생김새
3) 꼬리의 길이와 생김새
4) 날개의 형태
5) 몸의 아랫면
6) 몸과 날개의 윗면
2. 동작
1) 앉아 있을 때의 자세
2) 앉아 있을 때 꼬리의 움직임
3) 나무 줄기에 붙는 방법
4) 날아가는 방법
5) 걸어갈 때의 자세
3. 색채와 패턴

Ⅷ. 조류(새)와 야생조류
1. 각 지역, 모델별 평가액은 평균지불의사
2. 기대지불의사액과 관련이 있는 변수
3. 소득변수의 유무
4. 기부금을 수락한 이유

Ⅸ. 조류(새)와 경포호조류
1. 청둥오리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2. 흰죽지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3. 알락오리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4. 흰비오리
1) 형태
2) 생태
3) 번식지
4) 도래지

Ⅹ. 조류(새)와 천연기념물
1. 크낙새(천연기념물 제 197호 1968년5월30일지정)
1) 형태
2) 생태
3) 산란
4) 서식처
2. 까막딱따구리(천연기념물제242호 1973년4월12일 지정)
1) 형태
2) 생태
3) 서식지
3. 따오기(천연기념물제198호 1968년5월30일지정)
1) 형태
2) 생태
3) 서식환경
4) 우리나라의 관찰기록
4. 황새(천연기념물제199호 68년 5월30일지정)
1) 형태
2) 생태
3) 서식지
4) 우리나라의 서식생활
5. 먹황새(천연기념물제200호 68년5월30일지정)
1) 형태
2) 생태
3) 서식상황및관찰기록
4) 번식지

Ⅺ. 조류(새)와 인공소상

Ⅻ. 조류(새)와 조류충돌
1. 조류퇴치 활동의 문제점
2. 새가 비행장주변에 있는 것은 왜 그럴까?
1) 비행장은 광대한 풀밭이기 때문에
2) 곤충을 발견하기 쉬워서
3) 날씨가 좋은 날에는 열을 받은 활주로가 상승기류를 발생시켜 주기 때문에
4) 비행장지역에는 들개와 사람들이 적기 때문에

ⅩⅢ. 조류(새)와 조류독감

ⅩⅣ. 조류(새)의 보호와 보존방법
1. 새들이 살 수 있는 환경파괴
2. 인구 팽창으로 인한 공해 소음
3. 환경별 서식환경
4. 소음과 공해로 인한 오염
5. 물의 오염으로 인한 조류의 감소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오는 많은 지렁이와 가을에 모여드는 잠자리는 최고의 먹이가 된다.
2) 곤충을 발견하기 쉬워서
활주로와 유도로상에는 풀밭에서 보다도 멀리서 곤충들을 발견하기가 쉽다.
3) 날씨가 좋은 날에는 열을 받은 활주로가 상승기류를 발생시켜 주기 때문에
쏘멀 씨어링(태양열로 따뜻해진 지표의 공기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승열풍을 이용, 고도를 높이는 것)의 포인트가 되어 있다.
4) 비행장지역에는 들개와 사람들이 적기 때문에
새들에게는 안식처로 되어 있다.
ⅩⅢ. 조류(새)와 조류독감
조류독감(Avian influenza 또는 Bird flu)은 닭·오리 및 야생조류 등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조류독감은 100여 년 전부터 나타났으며 이후 전세계적으로 퍼졌다. 닭, 칠면조 등 가금류뿐 아니라 야생오리와 같은 야생조류에도 감염되며 전파속도도 매우 빠르다. 고병원성은 치사율이 100%에 이를 만큼 전염성과 폐사율이 높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제1종 법정전염병, 국제수역사무국(OIE)은 A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동안 조류독감은 조류와 돼지 사이에서만 전염된다고 생각했으나 1997년 홍콩에서 조류독감에 감염된 조류와 접촉한 사람들 중 18명이 감염되고 그중 6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사람도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3년에는 홍콩에서 감염자 2명중 1명이, 네덜란드에서는 83명중 수의사 1명이 숨졌는데, 홍콩은 H5N1, 네덜란드는 H7N7 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지난 1999년 홍콩에서 발생한 조류독감에선 H9N2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단백질에 따라 H형(H1~H15 15종)과 N형(N1~N9 9종)으로 구분하며 두 가지 단백질의 조합에 의해 총 135종류의 혈청형으로 나뉜다. 이 중 아시아 지역에 유행하는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혈청형이 \'H5N1\'이다. 조류독감의 바이러스 중 특히 고병원성인 H5N1형 바이러스는 변이가 매우 빠를 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에게 쉽게 전이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감염된 조류가 다른 닭, 사육 오리와 접촉하거나 배설물을 통해 조류독감을 전파하므로 방역이 쉽지 않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감염된 가금류의 분변 속에서 35일 이상 생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에 오염된 분변 1g 으로 약 100만 마리의 닭을 감염 시킬 수 있을 정도로 치명적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감염된 조류를 통해 인간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인간이 조류독감에 감염되면 변종 바이러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돌연변이를 일으킨 변종 바이러스는 인간끼리의 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사람 간에 전염되는 변종 바이러스가 나타날 가능성 때문에 전문가들은 조류독감이 잘못하면 세계적인 유행병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사람끼리 전염되는 변종 바이러스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조류독감의 향방에 각별히 주의가 요망되는 이유이다.
ⅩⅣ. 조류(새)의 보호와 보존방법
우리나라는 1960년대 공업화 물결이후 한국의 야생조류들이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하여 70년대 후반기부터 급속하게 야생조류가 사라졌다. 특히 우리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 리 나라 고유의 텃새인 참새, 제비, 박새, 멧비둘기, 딱다구리 등을 비롯하여 여름철새인 꾀꼬리, 뻐꾸기, 산솔새, 두견이, 솔잣새, 나무발발이, 휘파람새 등이 눈에 띄게 사라졌다.
그뿐인가 나그네인 도요새류, 아비류, 논병아리 등, 결국 제일 먼저 서식환경이 파괴되다보니 텃새와 철새들이 발붙일 곳이 없고, 공해, 물의 오염, 소음 등도 모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생태계 동물 중에서 환경에 가장 민감한 동물이 바로 조류이기 때문에 눈으로 쉽게 잘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 고유의 텃새를 비롯하여 희귀한 천연기념물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1. 새들이 살 수 있는 환경파괴
생태전문가와 정보합동으로 수년간 조사 후 환경평가서를 작성한 후, 주민들의 자문도 함께 처리해야 한다.
2. 인구 팽창으로 인한 공해 소음
야생의 조류도 감소시키는 큰 원인 중의 하나다.
새들의 번식지나 도래지, 월동지 등에는 접근을 막아야 한다.
3. 환경별 서식환경
전자도 말한바와 같이 꿩이나 멧새, 붉은뺨멧새, 섬참새, 검은딱새, 방울새, 칡때까치 등이 살수 있는 낮은 덤불이 있는 야산이 있어야한다. 최근에 경작지에 조나 통, 깨, 들깨 등을 심지 않다보니, 여름에는 곤충류 등 아무거나 먹을 것이 많지만 겨울이 되면 콩을 좋아하는 꿩, 들깨를 좋아하는 붉은머리오목눈이, 방울새 등이 먹을 먹이가 부족하다. 그래서 울창한 산림 이외에도 이러한 야산에서 살 수 있는 조류의 서식지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특히 조나, 콩, 들깨 등을 심어주는 것도 논, 밭 근처의 경작지에 살아가는 새들에게 좋은 먹이가 된다.
4. 소음과 공해로 인한 오염
조류들의 서식이나 이동하는 철새, 번식 조류가 급격히 감소하는 원인중 하나가 되고 있다.
요즘 아스팔트 도로로 인해 대형 자동차들의 큰 소음이 새들의 지저귀는 소리에 막대한 피해를 주어, 큰유리새, 호랑지빠귀, 두견이, 뻐꾸기 등은 차 소리가 심한 곳 에서는 금방 사라진다.
5. 물의 오염으로 인한 조류의 감소
그 예로 경기도 광릉의 산림 숲은 과거 개울가 주변으로 서식하던 호반새, 할미새, 청호반새, 깝작도요, 흰눈썹황금새 등이 1980년도 이후 거의 사라졌다. 광릉계곡 상류에 음식점과 여관 등으로 인해 많은 양의 지하수를 뽑아 내다보니, 결국 사용한 폐수만 광를 하천으로 보낸 결과 검은댕기해오라기, 청호반새, 호반새가 즐겨먹던 물고기, 가재 등이 사라졌고, 광릉 숲에 살던 작은 새들은 오염된 물을 먹을 수가 없어 야생 조류의 종류개체수가 사라지고 있다. 이렇게 수십 년이 흐르게 되면 광릉 숲에는 조류들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 리처드 쵸드 저, 유정칠 역(2008), 조류대도감, 예림당
◇ 신의순(1992), 자원경제학, 박영사
◇ 원병오(1993), 한국의 조류, 교학사
◇ 윤무부·우한정(1996), 원색한국조류도감, 아카데미 서적
◇ 이우신(199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새 백가지, 현암사
◇ 편집부(1989), 원색한국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 가격9,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2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