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신경계감염]감염과 신경계감염, 병원감염, 감염과 미생물감염, 요로감염, 감염과 감염주기, 감염관리, 감염과 감염단계, 감염과 감염성질환, 감염과 감염증, 감염과 감염병, 감염과 감염인, 감염과 감염창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염, 신경계감염]감염과 신경계감염, 병원감염, 감염과 미생물감염, 요로감염, 감염과 감염주기, 감염관리, 감염과 감염단계, 감염과 감염성질환, 감염과 감염증, 감염과 감염병, 감염과 감염인, 감염과 감염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감염과 신경계감염
1. 파상풍
1) 원인
2) 증상
3) 검사 및 진단
2. 회색척수염
1) 원인
2) 증상
3. 대상포진
1) 원인
2) 증상
4. 단순 포진 뇌염 및 광견병
1) 단순 포진뇌염
2) 광견병

Ⅱ. 감염과 병원감염

Ⅲ. 감염과 미생물감염

Ⅳ. 감염과 요로감염
1. 신생아기(출생에서 1개월)
2. 영아기(1~24개월)
3. 아동기(2~14세)

Ⅴ. 감염과 감염주기
1. 감염성 인자
1) 박테리아
2) 구분
3) Gram양성
4) Gram음성
5) 바이러스
6) 곰팡이
7) 정상균주(normal flora)
8) 기회감염균(opportunists)
2. 저장소
1) 사람
2) 동물
3) 토양
4) 기타
3. 탈출구

Ⅵ. 감염과 감염관리
1. 손 세척
2. 주사 처치
3. Urinary tract infection 예방 간호
4. 상처 관리의 필요성
5. 감염된 상처의 관리

Ⅶ. 감염과 감염단계
1. 잠복기
2. 전구기
3. 발병기
4. 회복기

Ⅷ. 감염과 감염성질환
1. 계절성(季節性)
2. 지역성(地域性)
3. 상겸성(相兼性)
4. 전화성(轉化性)
5. 사기외입(邪氣外入)

Ⅸ. 감염과 감염증
1. 임질(Gonorrhea, Clap)
2. 매독(Syphilis)
3. 연상하감(Soft chancre, chancroid)
4. 서혜임파육아종(Lymphogranuloma imguinale)
5. 트리코모나스증(Trichomoniasis)
6. 칸디나증(Candidiasis)
7. 요도염(Urethritis)

Ⅹ. 감염과 감염병
1. 급성 무균성 뇌막염
2. 뇌염
3. 성홍열
4. 결핵
5. 홍역
6. 수두
7. 볼거리
1) 포진성 구협염(헤르판지나)
2) 수족구병(Hand Foot Mouth Disease)
8. 요충증
9. 세균성 이질
10. 풍진

Ⅺ. 감염과 감염인

Ⅻ. 감염과 감염창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적 고립과 불평등을 다시 강화한다는 점 역시 지적하고 있다. 차별이 존재한다는 것은 차별받는 집단을 가치절하함으로써 인간의 존엄과 평등을 존중하는 데에 실패했음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며 불건강에 더욱 취약하게 만든다. Jonathan Mann은 Hastings Center Report(1997)에서 보건정책에서의 부주의한 차별은 너무나 일상적이므로 모든 정책은 차별적이지 않다는 것이 증명되기 전까지 차별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인권의 관점에서 정책의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HIV 감염인들은 여성, 소수인종, 장애인과 더불어 차별에 취약한 집단으로 여겨진다. 질병과 죽음에 대한 공포, 성매매여성이나 Men Sex with Men에 대한 편견, 도덕적 책임에 따른 결과라는 사회적 믿음 등이 감염인들에 대한 차별에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감염인들이 자발적인 검사나 상담을 포기한다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은 차별에서 비롯되는 심각한 문제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권은 기본적인 건강권의 요소 중 하나다. 즉, 불건강한 상태에 놓이게 되었을 때 회복을 위해 현대사회가 제공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평등하고 시의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함은 가장 낮은 수준의 건강권의 구성요소다. 여기에는 질병이나 상해 등에 대한 적절한 치료뿐만 아니라 정기검진, 필수의약품, 예방서비스도 포함된다. 또한 관련정책을 결정할 때 지역사회나 당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의료서비스에 대한 권리의 중요한 요소다.
HIV/AIDS 감염인들은 의료서비스가 요구되는 ‘환자’라는 특성으로 인해 오히려 더욱 의료서비스에의 접근권이 떨어지는 역설적인 현실에 놓여있다. 정부는 감염인이 복용하는 항바이러스제제에 대해 후불의 형태로나마 무상공급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그뿐이다. 항바이러스제제조차도 한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약의 종류가 적어 부작용이나 내성으로 인해 약을 바꿔야 하는 경우에는 개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게다가 항바이러스제제를 제외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넘어서야 할 문턱이 너무 높다.
감염인들의 대부분은 감염사실로 인해 사회로부터 고립, 배제된다.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도 직장에서는 감염사실이 확인되면 해고를 통보하기 일쑤고 가족으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대개의 경우 감염사실을 알게 되면 집을 떠나 혼자 살아가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하고 한국처럼 전반적인 사회보장시스템이 미비한 곳에서는 빈곤으로 인한 어려움을 함께 겪어야 한다. 그런 탓에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데에 경제적인 문제는 적지 않다.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된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인 편견과 오해로 인해 많은 병원들이 진료를 기피하고 있다. 감염내과가 있는 3차병원이 그나마 이용할 수 있는 병원이지만 진료일수가 제한되어 있고 3차병원인 만큼 물리적인 접근성도 떨어지는 실정이다. 제주도의 감염인은 진료를 받기 위해 매번 비행기를 타고 서울로 올라와야 한다. 일단 감염내과를 통해 입원을 하거나 타과협진을 통해 타과진료를 받는 경우에도 적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지 의문이다. 한 감염내과 전문의는 병원 안에서 수술 등의 협진이 필요한 경우 의뢰를 하는 데에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의뢰받지 않으려는 경향이 많아 협진의사를 구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다. 실제로 HIV의 전염은 체액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만큼 수술을 제외한 경우에는 진료를 기피할 이유가 없는데도 의료인들의 막연한 공포가 일반인들과 별반 다르지 않은 것이다. 수술의 경우에도 적응증이 된다면 수술을 해야 하며 수술전후관리를 통해 전염가능성을 최대한 차단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나 대부분의 병원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수술을 미루기만 한다. 그러다 보니 감염인들이 수술을 받을 수 있는 병원이 한정되어 있고 그런 만큼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받기가 어려워진다.
. 감염과 감염창
가토의 등쪽에 창상을 유발한 후 2.0×109cfu/㎖로 희석한 Staphylococcus aureus 50㎍/㎖를 창상부에 적용하여 감염창을 만든 후 yeast glucan을 1㎎/㎖과 10㎎/㎖으로 희석하여 창면에 도포한 후 단회처치군과 매일처치군으로 나누어 세균수, 농발생, 병리조직학적 소견 및 창상연축 정도를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Staphylococcus aureus를 창상부에 접종한 후의 잔존세균수와 창상부의 농발생 정도는 각군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 macrophage의 이주는 yeast glucan 처치군이 1일째에, 대조군에서는 3일째에 관찰되었다. 1일째 대조군에서는 염증세포인 호중구가 창상부 조직 심부까지 미만성으로 침윤되었으며, yeast glucan 처치군에서는 염증세포인 호중구가 창상부 표층으로 집중되어 침윤된 것이 관찰되었다. 감염창에 yeast glucan을 처치한 군의 혈관신생은 3일째부터 이루어져 신선창의 그것보다 빠른 양상을 보였으며, 감염창에 yeast glucan을 매일 처치한 군의 상피형성은 창상유발 후 3일째에 시작되어 단회처치군의 5일째보다 빠른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감염창에서의 섬유화는 5일째 관찰되어 신선창과 단회처치군보다 빠른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Staphylococcus aureus를 접종한 감염창에서의 yeast glucan의 점적은 창상초기의 호중구 및 macrophage 이주, 신생혈관, 섬유화 및 상피재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감염창에 있어서 yeast glucan 의 처치용량에 관계없이 매일 처치하는 것이 단회처치보다 창상치유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 강태곤 외 4명, 요로감염으로 인한 소음인 발열 치험례, 대한의학회, 2005
◈ 배인규, 중추신경계 감염의 치료 원칙 및 최신지견, 임상내과, 2007
◈ 박지영, 소독과 감염병학, 정담미디어, 2012
◈ 윤석찬, 병원감염손해에 대한 책임문제와 그 대책방안, 한국비교사법학회, 2008
◈ 안연순, 보건의료종사자 감염성질환, 대한의사협회, 2010
◈ 정경진, 미생물 감염에 의한 질병 발병시 산화·환원상태의 특성, 전남대학교, 2008
  • 가격7,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2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