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 구조, 감각체계, 기능장애, 동맥혈압, 젖샘]중추신경계의 개념, 중추신경계의 구조, 중추신경계의 감각체계, 중추신경계의 기능장애, 중추신경계와 동맥혈압, 중추신경계와 젖샘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 구조, 감각체계, 기능장애, 동맥혈압, 젖샘]중추신경계의 개념, 중추신경계의 구조, 중추신경계의 감각체계, 중추신경계의 기능장애, 중추신경계와 동맥혈압, 중추신경계와 젖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중추신경계의 개념

Ⅲ. 중추신경계의 구조
1. 대뇌
1) 운동영역
2) 감각영역
3) 연합영역
2. 소뇌
3. 중뇌
4. 간뇌
5. 연수

Ⅳ. 중추신경계의 감각체계
1. 시각계 : 눈에서 피질까지
2. 청각계 : 귀에서 피질까지
3. 체성감각계 : 수용기에서 피질까지
1) 체성감각(somatosensation)
2) 체성감각계는 3개의 수용기로 나누어짐

Ⅴ. 중추신경계의 기능장애
1. 뇌졸중
1) 정상적인 움직임의 필요조건
2) 비정상적인 근긴장도
2. 척수손상
1)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2) 척수장애인(a disabled person with the spinal cord injury)

Ⅵ. 중추신경계와 동맥혈압

Ⅶ. 중추신경계와 젖샘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Deoxy-d-glucose 같은 방사성물질을 이용한 연구 보고(Sutherland & Fink, 1983)는 젖샘신경(mammary nerves)을 자극하여 중추신경계통 안의 젖샘 기능과 관련된 신경핵의 반응을 조사하는 내용이었으며 젖샘신경과 관련된 뇌 안에서의 신경로와 신경핵을 직접적인 형태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지는 못하였다. 또 최근에는 신경 추적자의 하나인 wheat germ agglutinin-HRP(WGA-HRP)를 이용하여 젖샘신경의 감각신경에 관해 형태학적으로 추적 연구한 결과(Tasker et al., 1986)가 보고된바 있으나 이것은 이 신경에서부터 척수까지의 가장 하위 단계의 신경지배만을 보고하는 등 현재까지 이 신경의 척수보다 상위인 중추신경계통 안에서의 신경 경로는 보고된 바 없었다.
중추신경계통 안에서의 신경 경로를 밝히는 연구는 신경 축삭(axons)의 퇴행성병변(degeneration)이나 재생(regeneration)을 이용하여 신경로를 찾아내는 방법 또는 축삭과 세포질 사이의 물질이동(axoplasmic flow)에 근원을 둔 방법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 이 중 비교적 최근의 방법인 물질이동에 바탕을 둔 추적자는 그 종류가 다양하나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것으로는 fluoro-gold, nuclear yellow나 true blue와 같은 형광물질(Lee et al, 1992)이나 세균 독소 등 외부 기원의 단백질이 있다. 이러한 신경 추적자 중에서도 horseradish peroxidase나 cholera toxin에 horseradish peroxidase가 표지된 것은 현재까지 가장 각광을 받고있는 추적자로서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신경해부학의 연구에 활용해 왔고 이것을 이용한 대표적인 보고로 흰쥐를 이용하여 미주신경의 중추신경계통 내에서의 신경로를 밝힌 연구(Shapiro & Miselis, 1985)와 시각로를 밝힌 연구(Levine et al., 1986; Johnson et al., 1988)를 비롯하여 복강내 장기를 지배하는 자율신경을 대상으로한 연구(Mesulam, 1982; Shapiro & Miselis, 1985; Levine et al., 1986; Johnson et al., 1988; Altschuler et al., 1989; Rinaman et al., 1989)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서 쓰인 거의 모든 추적자는 신경 축삭을 통해 한 세포에서 연접되는 상위의 또 다른 신경세포로 건너서 이동하지 못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이 중 cholera toxin 만은 상위 신경세포로의 이동이 가능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 그 추적자의 양이 이동의 경과와 함께 줄어들어 관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최근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연접(synapse)을 건너 이동할 수 있는 신경친화성 바이러스를 추적자로 이용한 보고(Stroop & Baringer, 1989; Wittmann and Rziha, 1989)가 있었으며 이 중 pseudorabies 바이러스의 이용이 신경경로 연구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최근에 보고(Card et al., 1990)된 바 있다. 따라서 이 pseudorabies 바이러스 중 병원성이 없고 야생형에 비해 비교적 선택적인 이동을 하여 실험실 내에서 취급이 용이한 백신용 strain인 Bartha strain(이하 PRV-Bartha로 줄여 씀)을 추적자로 이용하여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젖샘신경(mammary nerves)의 중추신경계통 내에서의 신경로(tract)를 추적 조사하는 연구는 매우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Ⅷ. 결론
신경계의 비정상적인 조절에 의해 나타나는 질환들을 세포사멸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본 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poptosis에 의한 세포사멸은 뇌의 많은 세포퇴행성 질환에 관여하고, 잠재적으로 이러한 질병의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까지 연구되어온 세포사멸에 대한 지식은 대부분 배양세포에서 연구되었으며 in vivo 뇌세포의 사멸의 세포생물학적 기전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인간 뇌 질환의 연구는 사후 조직만이 연구에 이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질병의 원인과 결과를 규명하는 것이 어느 다른 질병보다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transgenic animal model이나 사람과 가장 근접한 두뇌 진보를 보이는 영장류를 이용한 보다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같은 맥락으로, 여러 가지 윤리적 문제의 한계성을 위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뇌질환 환자들의 실험적 치료학(Experimental therapeutics)이 요구되는 것이다. 1953년 간질치료를 위해 hippocampus와 amygdala 조직제거 수술을 받은 후, 선행건망증(anterograde amnesia)에 걸린 H.M.이라는 환자가 그 후 40여 년 간 심리학자인 B. Miller의 연구대상이 되어 현재 인간의 declarative memory의 형성에 관한 hippocampus 역할의 이해에 큰 기여를 한 것은 좋은 예라 하겠다(Milner et al., 1998). 또한 잠재적인 질병 치료의 개발 이후에도 이를 매개체(vector)를 이용하여 blood brain barrier를 투과시켜 원하는 특정목표 뇌조직 세포에 성공적으로 투입해야 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질병의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 조급한 기대보다는, 인내심을 갖고 장기적인 연구 환경의 지원이 시행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라 하겠다.
참고문헌
김진상, 외상성 뇌 손상에 대한 중추 신경계의 세포 반응, 대구대학교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0
류성곤 외 8명, 신경정신장애 평가기준안 :중추신경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7
배인규, 중추신경계 감염의 치료 원칙 및 최신지견, 임상내과, 2007
박찬웅, 중추신경계의 분화 및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4
송철규 외 4명, 중추신경계 손상에 의한 경직의 이동형 측정 시스템, 대한전기학회, 2009
이성중, 톨유사단백질의 중추신경계기능연구, 서울대학교, 2010
  • 가격6,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7.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