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전염병, 소화기계전염병, 호흡기계전염병, 동물매개전염병, 절지동물매개전염병]급성전염병과 소화기계전염병, 급성전염병과 호흡기계전염병, 급성전염병과 동물매개전염병, 급성전염병과 절지동물매개전염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급성전염병, 소화기계전염병, 호흡기계전염병, 동물매개전염병, 절지동물매개전염병]급성전염병과 소화기계전염병, 급성전염병과 호흡기계전염병, 급성전염병과 동물매개전염병, 급성전염병과 절지동물매개전염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급성전염병과 소화기계전염병
1. 장티푸스(typhoid fever)
1) 병원체
2) 병원소 및 전염원
3) 전파
4) 감수성 및 면역성
5) 예방책
2. 콜레라(cholera)
1) 병원체
2) 병원소 및 전염원
3) 전파
4) 감수성 및 면역성
5) 예방책
3. 세균성 이질(bacillary dysentery)
1) 병원체
2) 병원소 및 전염원
3) 전파
4) 감수성 및 면역성
5) 예방책
4.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대장균O157)
5. 폴리오(급성회백수염 ; poliomyelitis)
1) 병원체
2) 병원소
3) 전파
4) 감수성 및 면역성
5) 예방책
6. 파라티푸스(paratyphoid fever)

Ⅲ. 급성전염병과 호흡기계전염병
1. 디프테리아
1) 병원체와 및 병원소
2) 전파경로 및 감수성
3) 관리 및 예방대책
2. 성홍열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백일해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관리 및 예방 대책
4. 천연두
5. 유행성 이하선염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경로 및 간수성
3) 관리 및 예방대책
6. 풍진

Ⅳ. 급성전염병과 동물매개전염병
1. 공수병(rabies)
2. 탄저(anthrax)
1) 병원체
2) 병원소
3) 전파
4) 예방책
3.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1) 병원체
2) 병원소
3) 전파
4) 예방책

Ⅴ. 급성전염병과 절지동물매개전염병
1. 일본뇌염일보뇌염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2. 유행성 출혈열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관리 및 대책
3. 말라리아
1) 병원체와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예방대책
4. 발진티푸스제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예방대책
5. 페스트
1) 병원소와 병원체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예방대책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토, 복통에 이어 신부전 저혈압, 백혈구가 증가 등을 초래하는 급성 전염병이다. 치명률은 10%이상이다.
1) 병원체 및 병원소
한탄 바이러스로 명명한바 있으며, 병원소는 야생 설치류인 등줄쥐이다.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들쥐에 유행하는 바이러스 질환임이 밝혀졌으며, 좀진드기 나 쥐벼룩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추축하고 있다. 비교적 강우량이 적은 가을에 특히 많이 발생한다. 감수성은 발생지역에 새로 이주하는 사람은 일정한 감수성이 있다.
3) 관리 및 대책
들쥐를 구제하고 들에서 피부를 노출시켜서는 안 된다. 예방접종을 하도록 한다.
3. 말라리아
말라리아는 감염된 anopheles 모기의 암컷으로 전파된다.
1) 병원체와 병원소
①3일열,②4일열③열대성,④난형열
병원체와 병원소는 환자 및 보균자이다.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감염모기가 사람을 물어서 전파한다. 수혈혹은 오염된 주사기 바늘을 통하여서도 전파되기도 한다.
3) 예방대책
모기구제.
4. 발진티푸스제
발진티푸스제 법정 전염병 으로 증상으로는 발열, 근육통, 발진을 나타낸다. 갑작스런 오한, 두통 및 근육통과 발병 후 5~6일에 발진이 배와 목에 나타나 전신에 퍼지나 얼굴에는 생기지 않는다.
1) 병원체 및 병원소
Rickettsia prowazekia 병원소는 환자이다.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이의 흡열에 의하여 이의 장관 내 증식 배설물로 탈출하여 사람의 피부, 찰과상이나 상처를 통하여 전파되거나 먼지를 통하여 호흡기계로 감염되기도 한다.
3) 예방대책
침상, 몸, 옷에 10%ddt나 1%의 lindane 도포하며 특히 청결한 환경을 유지 하도록 한다,
5. 페스트
증상은 림프선종 또는 폐렴을 일으키며 폐혈증이 심한 때는 피부 출혈이 심하여 흑사병이 `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 병원소와 병원체
그람음성균이다. 병원소는 야생 설치류, 특히 쥐가 병원소가 된다.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쥐에서 쥐에 의하여 감염되며 선 페스트 일 경우에는 쥐벼룩에 의해서 전염되고 폐페스트 일 경우에는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감염된다.`감수성은 일반적이며 이환 후에는 일시적인 면역을 갖는다.
3) 예방대책
벼룩구제를 철저히 해야 하며 환자 발생시 신속한 보고를 한다. 또한 외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선박에 대한 검역을 철저히 해야 하고 격리, 소독, 구충, 구서를 실시한다.
Ⅵ. 결론
인간에게서 발생하는 질병 또는 유행의 발생기전을 설명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생태학적 모형, 수레바퀴형 모형, 거미줄 모형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중 생태학적 모형(ecological model, lever theory)은 질병 발생의 원인이 병원체로 명확하게 알려져 있는 전염병을 설명할 때 유용한 모델이다. 생태학적 모형에서, 질병발생의 주요 3요인은 병원체, 숙주 그리고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3요인이 균형(equilibrium) 상태를 이루고 있을 때, 혹은 숙주인 인간이 강해지거나, 병원체가 약해지거나, 환경요인이 숙주에 이롭게 혹은 병원체에 해롭게 작용하는 상황이 되면 개인에 있어서는 질병이, 집단의 경우에는 유행이 발생하지 않는다. 숙주요인이 약해지거나, 병원체가 강해지거나, 환경요인이 인간에게 해롭게 혹은 병원체에게 이롭게 작용하는 상황에서는 질병 혹은 유행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숙주는 숙주가 가지는 생물학적 요인 이외에도 행태요인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직접전파란 신체적 접촉 혹은 비말(飛沫, droplet)과 같이 병원소와 새로운 숙주 간에 매우 밀접한 상태에서 전파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임산부에서 태아로 병원체가 전파되는 경태반 전파도 직접전파에 속한다.
간접전파는 공기를 통한 전파, 매개체를 통한 전파, 곤충과 같이 생명체가 있는 매개체를 통한 전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공기를 통한 전파 (air-borne transmission)는 먼지나 비말핵(飛沫核, droplet nuclei)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비말핵이란 이야기, 기침, 재채기 등을 통하여 튀어나온 비말이 바닥에 가라앉은 뒤 수분이 증발하면 지름이 작아지면서 실내에 떠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이 비말핵은 비말에 비하여 오랫동안 새로운 숙주에 전파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병원체를 포함하고 있는 먼지의 경우도 비말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지름이 작을수록 오랫동안 실내공기에 떠다닐 수 있으며, 호흡기 깊숙이 침입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다. 즉, 6 μm 이상의 먼지나 비말은 모두 코에서 제거되나, 그 이하(0.6-6μm)가 되면 직경이 작을수록 폐포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매개체를 통한 전파 (vehicle-borne transmission)는 모든 생명력이 없는 물질에 의하여 전파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장난감, 손수건, 수건, 요리기구, 수술 기구 등과 같은 재료나 도구를 개달물(介達物, fomit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개달물 외에도 물, 음식, 우유 등은 위장관 감염의 경우 중요한 매개체가 되며, 근래 혈액, 혈청, 혈장, 나아가 조직 등의 생물 제품들은 의학의 발전과 함께 매개체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매개체 내에서 병원체는 단순히 존재하기만 하는 경우도 있으나, 충분한 영양분과 환경조건이 갖추어지는 경우에는 증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생명체가 있는 매개체를 통한 전파(媒介體, vector-borne transmission)는 매개체 중에서도 생명체가 있는 동물이 전파의 중간 역할을 하는 경우 vector 매개 전파 특히, 절족 동물이 중간 역할을 하는 경우를 절족 동물 매개 전파(arthropod- borne transmission)라고 한다.
참고문헌
* 강공언, 공중보건학, 고려의학, 2010
* 김영욱, 한국에 있어서의 급성전염병에 대한 역학적 고찰, 질병관리본부, 1964
* 이상종, 여름철 의 식중독 과 소화기계 전염병 의 예방, 한국건강관리협회, 1982
* 전종휘, 절족동물매개질환 : 전염병, 대한의사협회, 1968
* 질병관리본부, 전염병관리 사업지침, 2008
* 전남호, 급성전염병 다발생오염지구의 신환자 발생기전에 관한 연구, 질병관리본부, 1980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