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무시선,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특징, 원리,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강령, 수행법,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경향,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실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불교 무시선,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특징, 원리,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강령, 수행법,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경향,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실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특징

Ⅲ.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원리
1. 진공묘유
2. 마음과 경계
3. 동정일여

Ⅳ.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강령
1. 유념공부
2. 무념공부

Ⅴ.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수행법

Ⅵ.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경향
1. 유마의 불이선
2. 혜능의 일상삼매와 일행삼매
3. 지눌의 사위의
4. 휴휴암좌선문의 무시선 사상

Ⅶ. 원불교 무시선(원불교 무시선법)의 실천
1. 정기훈련법
2. 상시훈련법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목훈련에서 구체적으로 쌓아 나가도록 하는 길이라 하겠다.
2. 상시훈련법
동시 생활가운데서 무시선을 닦는 법의 강령으로는 육근이 유사하면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양성하는 것이라 하였다. 따라서 그 구체적 방법으로서는 취사를 주체삼아 삼학을 병진하도록 한 상시훈련법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상시훈련법이 작업취사를 주체삼아 동시생활가운데에서 하는 공부임을 볼 때 생활을 빛내는 선법으로서의 실공효가 여기에서 결실 맺는다는 의미가 강하게 부각되어 있다. 이러한 교리적 근거는 정전 작업취사의 목적에서도 수양과 연구를 나무줄기와 가지와 꽃과 잎으로 비교했음에 반해 취사를 그 나무의 열매에 비교하였음에도 나타난다.
또한 상시일기법에서도 유념, 무념은 모든 일을 당하여 유념으로 처리한 것과 무념으로 처리한 번수를 조사 기재하되 …… 처음에는 일이 잘 되었던지 못되었던지 취사하는 주의심을 놓고 안놓은 것으로 번수를 계산하나 공부가 깊어가면 일이 잘되고 못된 것으로 번수를 계산하는 것이요 라 했는데 이는 수행의 최종완성은 일을 당할 때에 내적 주의심을 갖는 데에 그치지 않고 진일보하여 그 일을 잘 이루어내는데 있다는 관점의 표현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상시공부는 생활상에서 맡은바 일과 책임을 얼마나 우수하고 원만하게, 공정하고 정의롭게 잘 처리했는가에 따라 평가되어지는 것이라 말 할 수 있다. 상시훈련법의 세부적 조항으로서는 상시응용주의사항 육조와 교당래왕시주의사항 육조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정기훈련이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과목별로 삼학병진 훈련을 하는 것이라면 상시훈련은 평소 삼학공부를 응용하여 생활속에서 훈련하는 것이니, 상시응용주의 사항과 교당래왕시주의 사항 등을 통하여 과목훈련과 평소 공부를 삼학에 의거한 병진수행으로 하도록 하는 훈련법이다.
즉 상시응용주의사항 6조중 1조는 작업취사의 과목이며 2조 3조 4조는 사리연구의 과목이고 5조는 정신수양의 과목이고 6조는 대조하는 과목이다. 그리고 교당내왕시주의사항 6조의 성격은, 먼저 정기훈련과 상시훈련을 연결시켜 주고 있다. 1조 2조 3조 4조 5조는 상시를 정기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6조는 정기를 상시로 연결시키고 상시훈련의 결과를 감정하고 있으니 이러한 감정은 참회중 사참과 상통한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여기에서 교당래왕시주의사항은 상시응용주의사항으로 공부를 연마 해나가다가 한가한 시간을 따로 내어 교당에 와서 스승의 지도를 받는 등 그날 그때만은 교당에 나와서 오직 공부에 전념하도록한 동시공부중 정시공부의 길을 열어놓았다고 본다.
즉 상시훈련은 작업하는 가운데 정기훈련을 때에 맞게 활용하고 삼학을 한 생각속에 아울러 취사하는 주의심을 갖도록 하는 것에 그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동시에 무시선을 닦는 방법으로 상시훈련법의 조항인 상시응용주의사항 육 와 교당래왕시주의사항 육조를 빠짐없이 하나 하나 밟는 것이 동시 가운데 생활을 떠나지 않는 구체적 방법이 된다고 볼 수 있겠다.
Ⅷ. 결론
원불교에서의 신앙은 일원상을 신앙하는 것이다. 일원상을 신앙한다는 것은 일원의 진리를 믿는 것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스스로의 수행 끝에 우주의 근본 이치를 깨달으시고 만유가 한 체성이며 만법이 한 근원이로다. 이 가운데 생멸없는 도와 인과 보응되는 이치가 서로 바탕하여 한 두렷한 기틀을 지었도다.라는 대각의 진경을 표현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일원상의 진리다. 대종사는 이 일원상의 진리를 일원은 우주만유의 본원이며, 제불제성의 심인이며, 일체 중생의 본성이며,……, 진공묘유의 조화는 우주만유를 통하여 무시광겁에 은현자재하는 것이 일원상의 진리니라.라 하여 돈공과 광명 그리고 조화의 면으로 밝혀 주셨다. 이 일원상의 진리를 믿는다는 것은 불생불멸 인과보응의 이치를 믿는 것이고,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함을 믿는 것이고, 자력과 타력을 믿는 것이며, 호리불차하고 순환불궁하는 우주의 이치를 믿는 것이며, 이 진리의 주체자가 바로 나이고 너이며 우리임을 굳게 믿는 것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일원상 신앙에 대하여 일원상의 진리를 우주 만유의 본원으로 믿으며, 제불제성의 심인으로 믿으며, 일체중생의 본성으로 믿으며…진공묘유의 조화는 우주만유를 통하여 무시광겁에 은현자재하는 것을 믿는 것이 곧 일원상의 신앙이니라. 고 밝혀 주셨다. 이 일원상 신앙장의 의미는 일원상의 진리를 믿어 복락을 구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정산종사는 일원상을 신앙하자는 것은 자기의 마음이 곧 부처이며, 자기의 성품이 곧 법인 것을 확인하자는 것이요, 인과의 묘리가 지극히 공변되고 지극히 밝아서 가히 속이지 못하며, 가히 어기지 못할 것을 신앙하자는 것이요, 죄복인과를 실지 주재하는 사은의 내역을 알아 각각 그 당처를 따라 실제적 신앙을 세우고 일을 진행하자는 것이요, 곳곳이 부처요 일일이 불공이라는 너른 신앙을 갖자는 것이니, 이는 곧 진리를 사실로 신앙하는 길이라, 능히 자력을 양성하고 타력을 바르게 받아들여 직접 정법수행의 원동력이 되게 하신 것이니라.라 하여 일원상 신앙의 의미를 밝히고 있다.
또한 진리를 신앙함에는 우주적 측면과 자성적 측면으로도 접근 할 수 있다고 본다. 전자는 본체와 현상, 유와 무의 변화라는 일체 상대적 상황을 넘어선 신앙인 것으로 어떠한 본체 관념이나 형상적인 차별에 넘어설 수 있는 신앙을 말한다. 후자는 우리들 개개인의 마음에 공·원·정의 진리를 내재하고 있음을 믿는 것이다. 이는 자신은 물론 우주만유가 바로 부처이며 진리 그 자체임을 믿는 것이 바로 일원상 신앙임을 말하는 것이다. 이처럼 일원상 신앙이라는 것은 일원상의 진리의 권능과 위력을 믿는 것이고 우리 각자가 그 권능과 위력을 내재하고 있음을 믿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성장, 원불교 단전주선의 실제와 무시선의 관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이정원, 원불교 무시선의 연구, 신룡교학회, 1987
이정원, 원불교 무시선의 연구, 원광대학교, 1986
윤양호, 무시선 : 미래의 희망, 원불교 원광사, 2006
최광현, 원불교 무시선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1997
한기두, 무시선법의 연구 : 선의 원리를 중심하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1982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0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