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기업, 직능자격제도, 임금피크제도, 노사관계제도]일본기업의 직능자격제도, 일본기업의 임금피크제도, 일본기업의 노사관계제도, 일본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일본기업의 기술혁신, 일본기업의 환경정보공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기업, 직능자격제도, 임금피크제도, 노사관계제도]일본기업의 직능자격제도, 일본기업의 임금피크제도, 일본기업의 노사관계제도, 일본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일본기업의 기술혁신, 일본기업의 환경정보공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일본기업의 직능자격제도

Ⅲ. 일본기업의 임금피크제도
1. 고령화 사회에 대비
2. 연금재정의 악화

Ⅳ. 일본기업의 노사관계제도
1. 경영이념의 체질화/신념화
2. 철저한 기업경영정보의 공개로 인한 노사간 신뢰도 제고
3. 원활한 의사소통 활성화를 위한 노력
4. 노사 자율시스템의 확립
5. 종업원의 안정된 생활을 위한 복리후생제도 운영
6. 기업별 노조, 노사관계에의 충실
7. 노사협조주의의 정착

Ⅴ. 일본기업의 해외직접투자

Ⅵ. 일본기업의 기술혁신

Ⅶ. 일본기업의 환경정보공시
1. 환경경제효과 대비형의 환경회계정보
2. 환경보전효과 대비형 환경회계정보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 공시의 유형으로 현재 환경보전 코스트가 가져오는 경제적 효과에 중점을 두는 환경회계정보가 대다수인 가운데, 다카라 주조와 같이 코스트 대 효과보다도 지구환경보전에 대한 공헌도를 나타내는 환경 퍼포먼스 중시의 보고서를 작성하는 회사도 있다.
다카라 주조의 경우, 「녹자(綠字)결산 보고서」(1998년도)에서 자연환경에 대한 사업 활동의 수지관계(녹자)로써, 환경회계정보를 공시하고 있다.
「녹자」란 기업이 얼마나 환경부하 경감에 노력했는가, 그리고 사회에의 이익 환원을 위해 자연환경보호, 환경계몽 등 사회공헌 활동에 얼마나 노력했는가를 지표화한 것이다. 다카라 주조의 환경회계정보는 ECO라는 새로운 단위를 통해서 환경 퍼포먼스 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녹자」결산은 다카라 주조 독자적인 것으로, 환경부하의 11개 지표를 일원화하는데 중요도에 따라 가중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는 이 정의에 따라, 「환경부하삭감 녹자」와 「사회공헌 녹자」 두 개를 지표화하여, 연도별 개선율을 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때, 「녹자」의 단위로써 ECO가 이용되며, 「0 ECO」에서 출발하고 있다. 「환경부하삭감 녹자」가 「22 ECO 플러스」 로, 「사회공헌 녹자」가 「17 ECO 마이너스」로 파악되어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주된 플러스 요인을 리사이클 관계에서, 마이너스의 요인을 캠페인 종료와 계속중인 캠페인 경비의 삭감에서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양 「녹자」 합계가 5 ECO로 수익이 증가했다 는 분석결과도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환경부하삭감 녹자」와 「사회공헌 녹자」의 성질이 다름에도 단순히 이들 요소를 합계해서 수익의 증가로 판단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환경부하삭감 녹자」의 경우, 매우 복잡한 계산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과연 같은 ECO로 표현해도 되는지는 의문으로 남는다. ECO로 정리하고자 한 노력은 평가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물질 등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서로 다른 성질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환경보전효과 대비형은, 기존의 환경정보에서 한발 진전된 정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환경경제효과 대비형에 비해 환경정보 속의 보다 포괄적인 물량정보의 감각이 강하며, 현재 스위스나 독일에서 이용되고 있는 에코 밸런스의 일종으로 취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Ⅷ. 결론
산업정책이란 경제발전이나 경제근대화의 촉진, 산업구조의 고도화, 국제경쟁력의 강화, 기술개발의 촉진, 고용의 확보, 지역경제의 균형적 발전 등 경제사회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부가 개개의 산업이나 기업의 활동에 간섭하고 생산물이나 생산요소 시장에 개입하는 정책을 말한다. 즉 산업간의 자원배분에 개입하는 정책의 총칭이라고 할 수 있다(岩波 經濟學辭典, 1992). 일본에서 산업정책이라는 말이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70년을 전후한 시기이며, 이전에는 산업합리화, 기업합리화 또는 산업구조론, 산업구조의 고도화, 신산업체제론, 산업재편성 등의 용어로서 산업정책의 제문제가 논의되었다(小宮외, 1984, p.2).
산업정책을 소재로 정부기업관계를 논할 경우, 본래 시장경제체제 하에서는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은 기대되지 않는다. 그러나 앞서 3장에서 논했듯이 전시기 일본에서는 산업활동을 유도조정규제하는 산업정책이나 산업 전체를 포괄적으로 뒷받침하는 재정금융정책, 경제계획 등 산업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간접적 관여가 폭넓게 이루어진바 있다.
산업에 정부가 관여하는 경우 정책개입의 이론적 근거로서는 시장경쟁에 의한 자원배분의 효율화, 시장의 실패의 보정, 유치산업의 보호, 비교우위의 실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국민의 이익에 부합되는 논리적 정합성을 갖는 정책선택이 이루진다는 보장은 할 수 없다. 또한 만일 선택된 정책이 국민적 이익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연 유효한 정책수단이 존재하는가는 확실치 않으며, 정책수단이 유효한가에 대해서도 판단이 용이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어디까지가 산업이나 기업자체가 낸 성과이며, 정책적 개입규제가 가져온 성과는 얼마만큼인가는 대단히 판단하기 어렵다. 더욱이 행정지도와 같이 일본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정책수단은 투명성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정책의 효과판단을 위한 기준이나 개개의 정책효과를 측정하기는 극히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정책효과의 측정에 앞서 일본에서 산업정책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성립하는지를 다음과 같이 세단계로 나누어 이해해 볼 수 있다(岡崎奧野, 1993, pp.11-2). 첫째, 기술이나 수요의 장래예측을 통한 발전산업의 發見이다. 예측을 위해서는 정부 심의회나 사적 연구회 혹은 사적인 정보교환네트워크 등 정보수집교환을 위한 다양한 제도가 활용된다. 예를 들어 심의회나 업계단체는 산업기업에 관한 정보를 집중시켜, 정부와 시장 사이에서 필요한 정보를 매개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즉 자금을 배분하거나 투자를 해야 할 산업 혹은 기업을 선별(screening)하는 기능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로 발전산업이나 성장업종을 육성하고 원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된다. 許認可 등의 통제적 수단, 補助金稅制上의 優待措置低利融資 등의 금전적 수단, 審議會를 통한 情報交換 및 업계단체를 통한 정보제공이나 업계내의 이해조정, 장기계획을 통한 産業間産業內調整 등의 유도적 수단은 그러한 수단의 예이다. 셋째로 유도적 수단을 통하여 자금이나 자재 등의 산업간 배분에 관한 조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조정에 필요한 할당이나 기업의 선택제휴 등은 통제적금전적 수단을 배경으로 한 재량적 행정지도에 의해 확보된다.
참고문헌
김재환(2010), 일본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전략과 한국기업의 대응방안, 용인대학교
박은지(2001), 일본기업의 환경회계정보 공시동향, 대한회계학회
안춘식(1999), 일본기업의 직능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한일경상학회
오학수(2009), 일본 기업의 임금전략과 임금제도 동향과 실제, 경총플라자
이원우(1996), 일본기업의 노사관계 특질과 형성배경, 숭실대학교 경영경제전략연구소
이지평(1998), 일본기업의 기술혁신 전략과 시사점, LG경제연구원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0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