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층, 한반도지층, 리졸리스, 제4기층서, 단구, 선사시대 유적지층]지층과 한반도지층, 지층과 리졸리스, 지층과 제4기층서, 지층과 단구, 지층과 선사시대 유적지층, 지층과 자연제방, 배후습지, 지층과 의성분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층, 한반도지층, 리졸리스, 제4기층서, 단구, 선사시대 유적지층]지층과 한반도지층, 지층과 리졸리스, 지층과 제4기층서, 지층과 단구, 지층과 선사시대 유적지층, 지층과 자연제방, 배후습지, 지층과 의성분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지층과 한반도지층

Ⅱ. 지층과 리졸리스
1. 리졸리스는 어떤 성분으로 구성 되어 있는가
1) 주원소 분석
2) X선 회절분석
3) SEM분석
2. 리졸리스의 모양은 왜 말뚝모양인가
3. 리졸리스의 산출상과 특징
4. 그 당시의 퇴적환경은 어떠했는가
1) 리졸리스의 퇴적환경
2) 우이드 및 펠로이드의 특성 환경
3) 선정지역의 산출화석 및 퇴적구조

Ⅲ. 지층과 제4기층서
1. 제4기의 구분
2. 한반도의 제4기 층서

Ⅳ. 지층과 단구
1. 건천(선상지)
2. 경주(선상지)
3. 추령(하안단구)
4. 전촌리(해안단구)
5. 대왕암(시스택)
6. 읍천리(파식대, 해안단구)
7. 해안지형
8. 산하리(해안단구)
9. 작천천(포트홀)
10. 천전리(암각화)
11. 대곡리(구하도, 암각화, 활주·공격사면)
12. 원반송리(하안단구)
13. 입암리(하안단구)
14. 언양 여중·상고(부속단층)
15. 가천리(선상지)

Ⅴ. 지층과 선사시대 유적지층
1. 유물출토지역의 지층분류
1) 동굴 유적
2) 단구퇴적
3) 사면붕적층
4) 충적층과 문화유적
5) 신석기 이후 유적지층
2. 유적지층의 과학분석
1) 토양쐐기 구조
2) 적색토양
3) 토양분석연구
3. 유물의 과학분석
1) 토기의 분석
2) 흑요석분석
4. 토론 요약

Ⅵ. 지층과 자연제방 및 배후습지
1. 작천천(판상절리)
2. 밀양(얼음골)
3. 사자평(고위평탄면)
4. 낙동강(자연제방)
5. 창녕(배후습지)

Ⅶ. 지층과 의성분지
1. 낙동층
2. 하산동층
3. 진주층
4. 일직층
5. 후평동층
6. 점곡층
7. 사곡층
8. 춘산층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 500마리의 고니가 날아드는 철새의 낙원이었으나, 1970년대 주변 습지의 개간으로 그 수가 크게 줄어들어 철새 도래지로서의 명맥이 끊어지는 듯 보였다. 그러다 최근 인근 주남 저수지와 을숙도의 서식환경이 나빠지면서 또 다시 새로운 철새 도래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곳 역시 공장 폐수나 오염된 농업 용수의 유입으로 크게 훼손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1993년 6월 이 지역 일대를 자연 생태계 보호 감시구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Ⅶ. 지층과 의성분지
연구지역은 경상계 의성퇴적분지에 위치한다. 의성분지는 경상계 본 분지와는 팔공산 구조선(line)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으며 층서도 본 분지의 것과 상부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의성분지의 지층은 하부로부터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일직층, 후평동층, 점곡층, 사곡층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번의 연구지역은 공룡발자국이 다수 발견된 사곡층에 속한다.
1. 낙동층
본 층은 왜관도폭(Tateiwa, 1929)에서 설정되었는데 층의 상한은 최초의 자색층 바로 아래층이다. 층의 두께는 진주에서 550m, 합천에서 740m로 추정되며, 주로 역암, 사암, 미사암, 셰일 및 탄질셰일로 구성되며 하부는 역암과 사암으로 구성되어 신동층군의 기저역암을 이룬다.
2. 하산동층
본 층은 왜관도폭(Tateiwa, 1929)에서 처음으로 명명되었는데 층의 하한은 최초의 자색층이고 상한은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자색층준이다. 층의 두께는 진주에서 1100m, 합천에서 640m, 북안에서 900m, 의성 남쪽 안계에서 1900m로 추정되며, 사암 셰일, 자색셰일 또는 미사암, 역질사암 및 역암으로 구성된다. 자색셰일 함유가 특징이며 본 층 속에는 평균 두께 1.5m의 자색층이 약 20매 협재한다. 셰일과 자색셰일 속에는 직경 수 cm 내지 15cm의 석회질 단괴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호성 및 하성퇴적물의 특징이 리드미컬하게 반복되는데, 이 지역도 연회색, 황적색, 녹회색, 녹색, 진회색, 자색, 홍자색 등의 암상들이 반복된다. 퇴적구조는 하도구조(河道構造)와 사층리가 많고 연흔, 건열, 빗방울자국(rain fall impression)도 관찰된다. 이러한 구조들은 주로 하성-호성환경을 지시한다. 역의 성분은 낙동층과 다름없고 사암과 역질암 속에 흑색 점판암 입자들이 들어 있는 점도 낙동층과 같다.
3. 진주층
본 층은 대구도폭((Tateiwa, 1929)에서 명명되었는데 층의 하한은 하산동층의 최상부 자색층 직하이고 상한은 일직층의 최초 자색층의 직하이다. 층의 두께는 진주에서 1200m, 합천에서 100m, 의성에서 600m로 추정되고 있다. 주로 회색사암, 암회색셰일 및 역암으로 구성되며 비자색층이 특징이나 이러한 특징은 평안면과 신평면의 면계를 이루는 산지의 연봉 이남에서만 인정되는 것으로 그 이북 지역, 즉 신평면과 풍천면 일대에서 빈번히 자색층을 협재하고 있어 비자색층의 특징을 찾아보기 어렵다.
4. 일직층
본 층은 의성도폭(김봉균외, 1977)에서 명명되었는데 층의 하한은 최초의 자색층이고 상한은 구미동역암(층원)이다. 하한은 의성도폭 남부에서는 분명하나 북부에서는 진주층 속에서도 자색층이 빈번히 협재되므로 이들 사이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사실이 언급되었다. 층의 두께는 500m 이하이다. 자색실트스톤 및 이암의 협재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구성 암석은 역암, 역질사암, 알코스사암, 셰일 및 이회암 순이며, 역의 크기는 대체로 2-3cm 정도로 성분은 규암 및 화강암질암이 대부분이고 이편암이 가끔 섞여 있다.
5. 후평동층
본 층은 의성도폭(장기홍, 1975)에서 명명되었는데 층의 하한은 구미동층원(장기홍, 1975) 최초의 자색층 직하이다. 층의 두께는 500m 내외이다.
6. 점곡층
본 층은 왜관도폭(장기홍, 1975)에서 명명되었는데 층의 하한은 구계동 층원의 최상부 자색층이 끝나고 흑색셰일과 이암이 시작되는 층준이다. 본 층의 상한은 사곡층으로 점이되는데 암회색 셰일과 siltstone에서 자색이암 우세대로 변하는 것이 두 층의 다른 점이다. 층의 두께는 점곡에서 900m, 의성에서 700m. 탑리에서 260m로 추정되고 있다. 장기홍(1975)은 일직층 후평동층과 점곡층을 합한 것과 500-600m 두께의 칠곡층에 대비시켰다. 특히 의성-천지지역에 표식적으로 발달하며 두께 약 950m의 암회색 또는 녹회색 사암과 셰일의 호층이다. 본 층에는 녹회색 응회암이 협재되며 두께 수 m의 역암렌즈가 끼어 있다.
7. 사곡층
본 층은 왜관도폭(장기홍, 1975)에서 명명되었는데 층의 하한은 점곡층의 응회암이 끝나고 자색이암과 siltstone이 협재되기 시작하는 층준이다. 상한은 춘산층의 최하부에 해당하는 구산동 응회암의 직하이다. 층의 두께는 군위, 구산동에서 2,000m, 탑리에서 250m이며, 자색층이 우세한 셰일과 사암의 호층이다. 사곡 부근에서 두께는 약 2,000m이며 점곡층과 사곡층이 가장 두꺼운 점곡-사곡 일대가 의성지괴의 융기 중심지이다
8. 춘산층
본 층은 왜관도폭(장기홍, 1975)에서 명명되었으며 하한은 구산동 응회암을 하한으로 하는 점에서 신령도폭(원종관외 1980)이 반야월층에 대비된다. 구산응회암을 기조로 하며 신양동층 아래 놓이는 두께 약 700m의 사암과 shale의 호층이다. 암색은 자색, 녹회색 및 회색이다. 본층 분포지 일부에 기사동역암층이 분포하는데 이들은 본 층 중하부에 놓이므로 본 층 상부는 기사동층에 대비된다.
참고문헌
김한샘 외 3명(2011), 통계적 지반 공간 정보 기법을 이용한 지층구조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백인성 외 1명(1993), 경상누층군에서 확인된 엽리상 캘크리트, 캘크리트 피조이드와 우이드 및 리졸리스, 대한지질학회
이동영(1995), 선사유적지층의 형성시기와 고환경해석을 위한 지질연구, 한국상고사학회
이동영(1996), 한반도 문화유적 지층의 지질학적 특징,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장진호 외 1명(1996),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제4기 층서와 해수면 변화, 한국해양학회
정승은(2010), 지층의 중첩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 가격9,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07.20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4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