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학습, 고려시대, 춘원 이광수, 정산종사]역사의식과 역사교육, 역사의식과 역사학습, 역사의식과 고려시대, 역사의식과 춘원 이광수, 역사의식과 정산종사 분석(역사의식, 역사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학습, 고려시대, 춘원 이광수, 정산종사]역사의식과 역사교육, 역사의식과 역사학습, 역사의식과 고려시대, 역사의식과 춘원 이광수, 역사의식과 정산종사 분석(역사의식, 역사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역사의식과 역사교육

Ⅲ. 역사의식과 역사학습
1. 우리의 사회와 국가 및 세계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더하게 한다
2. 역사 학습은 인간과 인간 행위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 준다
3. 역사 학습은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에 기여한다
4. 비판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포함하는 역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5. 역사 학습의 부차적 결과이나, 역사 학습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한다

Ⅳ. 역사의식과 고려시대

Ⅴ. 역사의식과 춘원 이광수

Ⅵ. 역사의식과 정산종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니라 역사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내용이 담겨야 한다. 그 점에 대해 鼎山은 創建史 머리말에 다음과 같이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역사를 보는 자가 한갓 문자에 의지하여 지명이나 인명이나 경력의 연월일만 잘 보는 것으로 능히 역사의 진면을 다 알지 못한다. 이러한 입장을 근거로 鼎山이 사건사보다 의미사를 중시하는 역사관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의미사는 시대적 배경과 상황성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며 사건의 결과보다는 진행의 과정을 중시하여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결과의 공과를 떠나 진정한 의미의 거울이 되기 때문이다. 鼎山은 이어서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그 때의 대세와 주인공의 심경과 법도 조직과 실행경로를 잘 해득하여야 역사의 진면을 볼 수 있고 내외를 다 비취는 거울이 된다. 그러나 의미사가 자칫 서술하는 당사자의 주관이 임의적으로 개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후세의 연구자들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여지, 즉 사건의 상세한 기술과 時. 空間的 상황을 부연하고 있다. 鼎山은 각 장별로 註를 병기하여 상황 이해의 자료로 삼게 하였으며 필자의 주관을 담은 註도 여러 곳에 보인다. 예를 들면,
①防堰工事에 대하여 외인 등의 嘲笑는 대개 어떠한 관측에서 그와 같이 심하였는가? 이제 당시의 상황을 말하면 첫째는 組合員의 家産 程度가 모다 貧寒하야 單 幾百圓 이상의 資産을 가진 자가 적었으니 만일 工事中 金錢 缺乏이 될 時는 다시 金錢判出할 능력이 없으리라고 본 것, 둘째는 당시 靈光 村落에는 조합이라는 合資機關을 보지 못하였고 더욱이 防堰役事에 대하야는 그 실지적 공사를 처음 보게된 것, 셋째는 대종사께서 3년전 까지 당신의 가정 하나도 다사리지 못하였다는 비평이 여러 사람의 腦髓에 남아 있는 것, 넷째는 無端한 사기로 남의 사업을 보기 싫어하는 것 등 이 몇 가지로 그와 같은 조소가 있었든 것이다
②法認祈禱 후에 법명과 법호를 내린 데 대하여 <附意>하기를 大宗師의 右記 행사는 본회의 기초적 인물을 양성할 때 私를 제거하고 公을 세우는데 그 결심을 기념케하여 주시는 방법으로 생각됩니다(著者의 말)이라고 첨언함.
③大宗師가 봉래산에 행차하신 이면의 이유에 대해 一은 오랫동안 복잡한 정신을 다시 휴양하기 위하심이요, 二는 재래 불법의 교리와 제도를 실지 참고하여 장차 혁신할 본회의 교리와 제도를 초안하려 하심이요, 三은 사방에 있는 인연을 서로 연락하여 장차 會門열 준비를 하기 위하심이요, 四는 분망한 세상에 또한 중인의 지목을 피하기 위하심인 듯하다.
위의 註를 보면 확신에 찬 斷言的 註가 있고 私見임을 분명히 하기 위한 추론적 註로 구분된다. 단언적 註는 필자인 鼎山이 직접 목격하거나 당시의 상황을 체험한 것으로서 사실에 입각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추론적 註는 필자의 임의적인 판단을 명기한 것이다. 그러나 추론적 註의 경우에도 鼎山이 少太山의 수제자로서 누구보다도 少太山의 심경을 잘 아는 인물이기 때문에 거의 실상을 기록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註는 원불교 초기 교단사의 이해에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후래의 역사가들은 달라진 시대 상황을 토대로 응용을 위한 의미의 재해석은 할 수 있으나 少太山의 본의와 정신에 대해서는 크게 의심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배(1988), 역사의식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정(1976), 역사의식의 발달에 대한 조사 연구, 광주교대 논문집
박성수(1977), 역사학개론, 박영사
샤프 저, 금택현 역(1982), 역사와 진실, 청사
이원순(1977), 역사교육론, 한국능력개발사
이원순·이정인(1985), 역사 교육 이론과 실제, 정음사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