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협력, 국제협력, 동아시아, 러시아, 북한, 도급관계]]기술협력과 국제협력, 기술협력과 동아시아, 기술협력과 러시아, 기술협력과 북한, 기술협력과 도급관계, 기술협력과 제약산업, 기술협력과 재일동포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술협력, 국제협력, 동아시아, 러시아, 북한, 도급관계]]기술협력과 국제협력, 기술협력과 동아시아, 기술협력과 러시아, 기술협력과 북한, 기술협력과 도급관계, 기술협력과 제약산업, 기술협력과 재일동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기술협력과 국제협력
1. 시기별 특징
2. 정부간 협정체결 현황
3. 주요 국별 협력의 특징

Ⅲ. 기술협력과 동아시아
1. 한ㆍ일 협력
2. 한ㆍ중 협력
3. 대만 신죽과학원구(Shinchu Science Park)에 대한 벤치마킹

Ⅳ. 기술협력과 러시아
1. 한국의 과학기술처
2. 주러 한국과학관(주러 대사관)
3. 정책관리연구소
4. 모스크바 사무소
5. 한․러 공동연구개발센터
6. 한국 정부출연연구소 및 대학, 기업부설연구소
7. 러시아 과학기술부
8. 주한 러시아 과학관
9. 러시아 연구소

Ⅴ. 기술협력과 북한

Ⅵ. 기술협력과 도급관계

Ⅶ. 기술협력과 제약산업
1. 제약산업에서의 기술 협력 추이
1) 기술의 도입추이
2) 기술 수출
2. 제약산업에서의 전략적 제휴 추이
3. 제약 산업에서의 M&A 경향

Ⅷ. 기술협력과 재일동포
1. 조총련
1) 연혁
2) 강령(95. 9. 개정)
2. 재일동포 교육
1) 연혁
2) 교과과정
3) 조선대학교
4) 문제점
3. 조총련 산하 재일본조선인과학기술협회(과협)
1) 연혁
2) 규약 중 대북한 과학기술협력 부분
3) 청년인력 양성 강화, 연구기관에서의 연구경험 강조, 상공인 진출 장려
4. 국제고려학회
5. 북송, 북한방문단
1) 약 150명의 과학자, 기술자들이 북으로 이주
2) 전문가집단을 형성해 북으로 이주
3) 애국공장 설립과 과학기술 지원
4) 북한방문단
6. 북한 내 협력센터 설립
7.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1) 주요 대상 및 특성
2) C1(탄소하나) 연구
3) 식물성장촉진제 연구
4) 초전도, 재료 연구
5) 농업, 생물
6) 에너지
7) 정보
8) 섬유, 화공, 고분자
9) 기계, 금속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 사립 219개)
2) 교과과정
- 5차에 걸친 교과과정 개편 : 57, 68, 77, 83, 93년도(5차)
- 5차 개편의 주요 내용 : 동포들의 실정에 맞는 민족교육
* 국어교육과 민족적 정서를 키우는 예술과목 강화에 의한 민족성 육성
* 일본학교와 같은 수준의 일본어교육
* 영어교육을 회화 중심으로 개편
* 자연과학, 컴퓨터교육 강화
3) 조선대학교
1956. 4개교 : 교직원 10여명, 학생 60여명의 2년제 대학
1957. 4.북한의 지원금
1959.4년제로 개편 : 2개 학부(문과, 이과), 신 학사로 이전
1965.1교원들에게 공화국 교수 학직 수여
1967. 4공학부(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신설
1968. 4.17.인가 획득
1990. 4.제3연구동(이공학부 전용) 준공, 자연과학연구소 신설
* 4년제 7학부, 2년제 1학부, 2년제 연구원, 연구소 4개
* 교직원 260여명, 학생 1,500여명
* 졸업생 약 1만여 명(이 중 이공학부 약 20%)
4) 문제점
- 일본학교교육법에서 조선학교는 각종학교로 취급
- 교육보조금은 일본 사립학교의 20% 수준
- 조선학교 졸업생들의 국립대학 수험자격 불인정
- 이공계 취약, 학생 감소, 일본학교 취학률 상승
- 한덕수의장의 사망과 세대교체
- 민단과의 관계
3. 조총련 산하 재일본조선인과학기술협회(과협)
1) 연혁
- 1985. 7. 14 결성
* 공화국박사, 교수, 부교수 학위, 학직 소유자와 일본대학학위취득자 98명을 포함해 750여 명의 과학자, 기술자, 생산업자로 구성
* 98년 현재 공화국 원사 1명, 박사 33명, 일본대학 박사 130여명
2) 규약 중 대북한 과학기술협력 부분
- 재일조선과학자, 기술자속에서 과학연구사업과 기술개발 사업을 활발히 벌이여 과학기술성과로 조국의 융성번영과 과학기술발전에 기여한다.
- 재일조선과학자, 기술기능자, 생산기업가들을 요해 장악하여 조국과 민족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애국적 과학기술역량으로 묶어세운다.
- 회원들 속에서 공화국 학위학직 및 기타 자격, 명예칭호 수여와 관련하여 후보자를 추천한다.
- 조국의 과학자, 기술자들과의 연대를 강화하며 과학기술자료 수집사업을 적극 벌린다.
3) 청년인력 양성 강화, 연구기관에서의 연구경험 강조, 상공인 진출 장려
- 전자, 기계, 재료, 생물 등에 집중
- 조선대학교 졸업 후 일본 내 우수 대학원 진학자에 대한 장학금 지원
- 동포상공인들의 정보산업분야 진출 장려
4. 국제고려학회
○ 연혁 및 특성
- 일본 주도로 창립(본부 : 오사카경제법과대학)
- 남북한, 중국, 미국 동포들과의 장기간의 교류 경험 축적
- 인문사회 위주, 과학기술분야 취약
- 회원 1,200 - 1,300명
* 일본 300 중국(연변대학) 3-400, 미국 300, 한국(고려대학) 100
* 북한은 한동안 적극 참여하다가 최근 불참(한국 편향의 영향)
5. 북송, 북한방문단
1) 약 150명의 과학자, 기술자들이 북으로 이주
- 박사 학위자 11명(이학 5명, 공학 5명, 농학 1명) 포함
廉成根, 朴昌基, 愼鏞吉, 崔達英, 池東鉉, 金相玉, 崔錫權, 康永豪, 崔英哲, 夫豊作, 丁炳雲
- 현재 50 여명 생존, 활동
2) 전문가집단을 형성해 북으로 이주
- 1965 필름집단
- 1966 내화물집단
- 1967 경질합금집단
- 1971 가금집단
3) 애국공장 설립과 과학기술 지원
67개소 200억 엔
4) 북한방문단
- 재일동포조국방문단 : 2001.2.11 제 377차 대표단 방북
- 과학기술자대표단, 청년대표단, 여성대표단, 조선대학교대표단 등 다양한 구성의 비공식 대표단이 활발하게 방북
- 공동연구자들의 경우 매년 2회, 1회 1주일 정도의 방북 활동
6. 북한 내 협력센터 설립
○ 오사카 지부 : O&P Training Center(평양)
- OIC와 PIC의 공동 설립
- 일본 회원들의 북한 방문
- 북한 과학기술자들의 일본 초청, 공동연구
- 인력 훈련을 위한 건물 신축 중(현 70여 명의 수용능력 확대)
7.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1) 주요 대상 및 특성
-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평성이과대학, 과학원산하 연구소
- 연구집단 형성을 통한 공동연구에 치중
- 농업, 원료, 에너지, IT, 자동화 등 주체과학과 첨단기술에 치중
- 1980년 이후 가속화, 90년대 초부터 둔화
2) C1(탄소하나) 연구
- 석탄가스(CO + H2)와 메탄올로부터 에틸렌, 프로필렌 합성
- 메탄올로부터 초산, 초산비닐 합성, 촉매(니켈/활성탄)개발
- 제올라이트 촉매 개발
* 벤졸과 에틸알콜로부터 스티렌 원료인 에틸벤졸 합성, 파이로트 공장 건설
3) 식물성장촉진제 연구
벼, 옥수수, 채소 증산, 냉해에 효과가 있는 성장조절제
4) 초전도, 재료 연구
- 초전도연구학회 결성
- 초전도세라믹스, 고분자재료, 실리카 건축재료, 압전소자
5) 농업, 생물
수경재배, 새우양식기술, 수정란 이식기술, 생물비료, 농약
6) 에너지
- 중소규모 수력발전소 건설, 풍력발전, 에너지 절감 기술
7) 정보
컴퓨터 및 자동제어, 컴퓨터 성능개선, 한글워드프로세서
8) 섬유, 화공, 고분자
- 비날론 염색기술, 견직기술, PVC, 접착제, 감광성수지, 의약품
* 혈압강하제, 항균제, 간염예방치료약, 기능성 색소
9) 기계, 금속
- 주물생산 현대화, NC 공작기계, 로봇 설계, 소형엔진 제조
- 제철공장의 탈황, 희토류금속의 정련
참고문헌
김석관(2006), 제약산업의 혁신체제 개선을 위한 산학연 협력 강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현철 외 3명(2005), 21세기 러시아의 우주발사체 관련 해외 기술 협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래인력연구센터 외 1명(1999), 21세기 동아시아 협력 : 그 필요성과 미래예측, 넥서스
박세인(2011),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 한국기술혁신학회
변종수(1994), 해외동포의 남북한 경제협력 중개현황과 발전전망, 해외교포문제연구소
이춘근 외 1명(2009),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가격7,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