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선(禪), 원불교 선(禪) 의미, 원불교 선(禪) 특징, 원불교 선(禪) 형성과정]원불교 선(禪)의 의미, 원불교 선(禪)의 특징, 원불교 선(禪)의 형성과정, 원불교 선(禪)의 방법, 원불교 선(禪)의 공부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불교 선(禪), 원불교 선(禪) 의미, 원불교 선(禪) 특징, 원불교 선(禪) 형성과정]원불교 선(禪)의 의미, 원불교 선(禪)의 특징, 원불교 선(禪)의 형성과정, 원불교 선(禪)의 방법, 원불교 선(禪)의 공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원불교 선(禪)의 의미

Ⅲ. 원불교 선(禪)의 특징

Ⅳ. 원불교 선(禪)의 형성과정
1. 구도전기
2. 구도후기

Ⅴ. 원불교 선(禪)의 방법

Ⅵ. 원불교 선(禪)의 공부
1. 자성(自性)을 떠나지 않는 삼학공부(三學工夫)
2. 삼학(三學)을 병진(並進)하는 공부
1) 상시응용 주의사항
2) 교당내왕시 주의사항
3. 일속에서 수행하는 공부
4. 무시선(無時禪)에 이르는 수행
5. 정시선(靜時禪)의 핵심으로서 좌선법(坐禪法)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 특징이 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일에서 경험을 얻고 일을 충실히 하며 일속에서 공부하는 근원적인 길을 개척하자는 것이 우리의 기본적인 일이요 그 특징이다..
4. 무시선(無時禪)에 이르는 수행
삼학 수행은 결국 무시선 공부로 삼학을 만나게 하는 공부길이다. 이 무시선 공부는 이 무시선에 이르기 전에 좌선공부로써 자성을 찾고 이에 의해 무시선의 공부 길을 개척한다.
좌선공부(坐禪工夫): 수행의 강령은 단적으로 선(禪)의 방법을 통해 연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선은 곧 마음공부를 전통적으로 선(禪)이라고 부른다. 물론 이 선의 의미 속에는 상당한 전통과 사상이 담겨진 것이지만 이 선 공부를 하는 입도(入道)의 문은 크게 열려있다. 남녀노소(男女老少) 누구에게나 행할 수 있는 선이 있는바, 이 선은 곧 좌선(坐禪)공부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좌선의 의지는 몸에 있어 수승화강(水昇火降-물기운은 위로 오르고 불기운은 아래로 내려지게 되는 길 )이 되고, 마음에 있어 식망현진(息妄顯眞-망념이 쉬고 진성이 나타나는 마음)이 되도록 마음을 하단전에 정하야, 안정되고 단정한 심경으로 수식공부(數息工夫)를 하는 것이 곧 좌선하는 기초 요령이다. 특히 아랫배 하단전(下丹田)에 주(住)하는 공부가 중요 한 길이다. 따라서 아랫배 단전에 마음과 기운을 하나로 모아, 숨을 깊이 쉬되, 내쉬는 숨보다 들이쉬는 숨이 다소 길고 강하게 하는 이른바 호단흡장(呼短吸長)하는 심경으로 숨을 오래 오래 쉬어서 잡념이 녹아 없어지고, 생각이 초롱초롱하여져 이른바, 선가(禪家)에서 자주 말하는, 적적 성성(寂寂惺惺)하고 성성 적적(惺惺寂寂)하는 심경에 이르게 하는 공부이다. 이것은 스스로 편안하고도 안정된 마음이 나타나, 마침내 뚜렷이 적적하고, 무엇으로 형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됨이니 이른바 원적무별(圓寂無別)한 경지에 이르는 날까지 오래오래 계속하자는 것이다. 이 원적무별이란, 곧 두렷하고 고요하여 분별성과 주착심이 없는 마음이 계속되어 마침내 물아(物我)의 구분이 없는 날까지 능히 한적한 상태에 이르는 것을 이름한다. 이것이 곧 공부하는 가운데 점진적으로 실천하게 하여 체험되는 깊은 단계에 이르는 것이니, 이것이 곧 우리의 본래 마음의 고향에 찾아 들어가는 성품을 체험(體驗)하는 것이다. 이 공부를 오래오래 계속하면 이 마음이 곧 상상할 수 없는 심락(心樂)을 얻게 되어 마침내 수행의 진경을 얻어가게 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무시선 공부(無時禪工夫): 이상 선(禪)의 참 모습을 찾아 꾸준히 공부하게 되면 시간과 처소에 국한이 없는 상태에 이른다. 이 공부를 단적으로 무시선이라 한다. 무시선은 마음의 본래를 깨달아 마음의 자유를 얻어 천만경계(千萬境界)에도 선의 진경을 떠나지 않게 하는 공부이다. 이것을 어디나 선방(無處禪)임을 발견하여 항상 선을 떠나지 아니한다. 원불교에서는 이 선공부를 간단없는 선, 무시선(無時禪)공부 라고 불러 원불교 독자적인 가풍으로 들어내고 있다. 이 공부가 구경에 들어가면 동정일여(動靜一如)의 무시선에 이른다고 했고, 또한 한 마음 오롯한 선심(一味 禪)에 이른다고 하여 구체적인 방법에 이르기전에 본연심을 계발하는 길을 밝힌다. 따라서 무시선(無時禪)은 자성의 본래를 오득하여 마음의 자유를 얻어 현실의 경계속에 선심(禪心)을 계속 유지해 나가도록 하는 공부를 단적으로 무시선이라고 밝힌 것이다.
무시선(無時禪)은 그동안 좌선으로 원적무별한 진경에 이르게 한 다음, 마음의 분별 주착이 없는 상태로 자성을 깨달아 행하는 선 공부이다. 그러나 사실은 원래 우리의 본연 심에 무엇에 사로잡힘이 없는 상태를 좌선을 통해서 찾아 내여, 그 마음으로, 우리의 근본 마음속에 안정을 이루게 되면 무시선의 기초 공부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성품을 깨닫지 못해서 무시선을 이루지 못한다고 고민할 것은 없다.
무시선은 우리의 본래 성품을 찾아내게 되면 어느 환경을 당하여도 조금도 그 경계에 사로잡힘이 없는 심경이 되어 행주좌와 어묵동정(行住坐臥語動靜)간에 천만경계(千萬境界)를 당하여도 우리의 본래 마음이 변함없이 부동하는 심경으로 일관하게 되는 것을 이름한다. 따라서 무시선 공부를 하는 것은 이 성품을 오득하고, 마음의 자유를 얻는 공부로써 능히 실천해 나가는 공부라고 표현한다. 그러나 이것은 평상인과 멀리하고 산중에 들어가 한 생각 깊이 찾아야 되는 것이 라고 볼 것이 아니라, 한 생각 사로잡힘이 없는 마음으로 작용하게 되면, 온전한 심경으로 그 마음을 갖게 되면 그것이 모두 무시선 공부인 것이다.
5. 정시선(靜時禪)의 핵심으로서 좌선법(坐禪法)
이상 정시선(靜時禪)은 곧 11과목을 원만히 행하는 것으로 이 속에 정신수양을 중심으로 하는 공부에는 염불과 좌선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물론 11과목 외에도 심고와 기도도 이 정시선 공부에 속한다고 보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주로 염불과 좌선을 통해 11과목을 아울러가며 앉아서 행하는 선이 곧 정기적인 선법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 중에서 원불교에서 밝힌 좌선 공부가 가장 핵심이 되는 정시선 공부임에 틀림없다. 이것은 무시선과 같이 분별주착이 없는 각자의 성품을 오득하여 마음의 자유를 얻는 공부가 아니고 먼저 깨달은 사람이나 아니나 남녀노소 선악 귀천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정성만 가지면 좌선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 좌선을 통하여 마음의 진경을 스스로 실천하여, 체험하도록 하는 공부를 소태산 대종사는 정시선으로 인도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근원적으로 누구나 쉽게 행하는 좌선 공부를 능히 정성껏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 좌선하는 사람의 제일차적인 공부인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두(1991) : 원불교 선의 형성과정 고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김영훈(1999) : 원불교 선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혜훈(2010) : 원불교 선으로서의 훈련법 발전방향 모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박재우(1994) : 원불교 선의 특징, 원광대학교
송천은(1991) : 원불교 선의 기초적 입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이창근(1994) : 원불교 선법 연구, 원광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