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근대사, 일본근대사와 에도막부, 메이지유신, 청일전쟁 및 러일전쟁, 태평양전쟁]일본근대사와 에도막부, 일본근대사와 메이지유신, 일본근대사와 청일전쟁 및 러일전쟁, 일본근대사와 태평양전쟁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근대사, 일본근대사와 에도막부, 메이지유신, 청일전쟁 및 러일전쟁, 태평양전쟁]일본근대사와 에도막부, 일본근대사와 메이지유신, 일본근대사와 청일전쟁 및 러일전쟁, 일본근대사와 태평양전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일본근대사와 에도막부

Ⅲ. 일본근대사와 메이지유신
1. 구로후네(黑船)의 출현
2. 도쿠가와 막부의 멸망
3.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1) 폐번치현(廢藩置縣)
2) 사민평등(四民平等)
3) 징병령(徵兵令)
4) 지조개정(地租改正)
4. 문화 수용 - 이와쿠라(岩倉) 사절단의 파견
5. 산업화와 자본주의, 그리고 보수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1) 1860~1885
2) 1885~
6. 군부의 관료지배
7. 일본의 식민지 정책 추진과 서구 열강과의 갈등

Ⅳ. 일본근대사와 청일전쟁 및 러일전쟁
1. 청ㆍ일 전쟁
2. 러ㆍ일 전쟁

Ⅴ. 일본근대사와 태평양전쟁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국과의 전쟁이 시작된다. 이듬해인 1942년 4월까지 루손(Luzon),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그리고 버마가 점령된다.
1942년 6월달의 미드웨이 해전으로 태평양 전쟁의 전세는 뒤바뀌게 된다. 1944년 6월까지 미국의 사이판과 마닐라 점령으로 미국군은 일본 본토 공격을 할 수 있었고, 그 사이 버마에서는 영국군이 일본군을 중국 광둥 지방까지 격퇴시킨다.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탄 투하. 3일 뒤에 나가사끼에 다시 원자탄이 투하됨.
1945년 8월 8일 소련은 대일 선전포고를 한다.
1945년 8월 14일 히로히토 천황은 종전 조서를 낭독하고 무조건 항복을 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일본의 태평양 전쟁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사실 위에 나열한 것은 전황의 계속적인 사실 뿐이며 여기서 무엇을 발견하기란 어렵다. 그 당시 일본의 사회적 배경을 살피면서 무사도 문화의 군국주의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자.
천황의 지위가 현대처럼 커진 것은 불과 몇 십 년 안 되는 일이다. 여기서 주목할 수 있는 것은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정권을 장악한 군부는 국민들에게 \'천황의 은혜\' 운운 해가면서 일본의 젊은이들을 군대로 끌어냈고, 심지어 식민지에까지 그런 군국주의 교육을 시켰던 것이다. 그 당시 일본의 지식인들도 천황의 신격화에 동조를 했다니 이는 아무리 군부의 탄압이 심했다 해도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막부시대는 물론이거니와, 메이지 이후에도 별로 권위가 없었던 천황을, 군부가 신(神)적 위치에까지 끌어올려서 군국주의로 나아갔던 까닭은 도대체 무엇일까? 본 조는 여기에 의문점을 가지지 않을 수가 없었다.
우리는 이것을 앞에서도 말한 무사도 문화의 최대 특징인 의리와 체면에서 볼 수 있다.
일본의 근현대사를 살펴보면 일본은 서양과 많은 갈등이 있었다. 애초 일본은 굴욕적인 불평등 조약으로 근대화를 이룩한 것이다. 그 후 일본은 팽창화 해가는 과정에서 서양과의 갈등은 심화되었다. 일본은 영국과 미국으로 인해 점령한 랴오뚱 반도를 다시 러시아에게 할양한 굴욕을 겪었으며, 1차 세계 대전 때에는 전승국임에도 불구하고 전쟁에 대한 이익을 얻지 못한 경험도 갖고 있다. 무엇보다도 서양의 문물이 메이지 초기에 막부를 무너뜨리고 일본 전통 문화를 거의 없애다시피 했었던 사실은 일본 문화의 자존심에 대한 엄청난 도전이었음이 틀림없다.
뒤집어 말하면 일본은 서양에게서 받은 \'오명\'을 씻어야 하며, 이는 일본 국민 전체가 해야하는 국가적,\'총체적\'인 의무인 것이었다. 서양에게서 받은 \'오명\'을 씻는 행위는 곧 일본 전체를 지배하는 지배자의 체면을 세워주는 것이며, 지배자에 대한 의리를 갚는 것이다. 이 지배자는 곧 그 당시 헌법으로 정해져 있던 천황인 것이다. 군부는 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것을 국민들에게 대대적으로 교육시킬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본 조는 일본 군부 자신들조차도 이러한 생각에 \'세뇌\'를 당해서 스스로 믿을 수밖에 없었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놀라운 것은 패전후 이러한 일본인들의 생각은 거의 사라진 것처럼 보이다가 최근 90년대 들어서 보이는 듯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동진, 일본근대사, 한길사, 1985
김태준, 영일동맹 결성과 러일전쟁의 외교사적 분석, 국방대학교, 2010
김재윤, 에도막부(江戶幕府) 말기의 일불(日佛)관계, 한일군사문화학회, 2011
서정택, 메이지 유신(명치유신)의 성공원인과 의의, 고려대학교, 2001
장은상, 태평양 전쟁의 원인 :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에 입각하여, 국방대학교, 2007
Mori Mayuko, 조선에서 바라본 청일전쟁 개전 과정과 종속문제,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2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