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가정의식예절, 읍의 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이웃예절, 호칭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국가예절, 행동예절, 구용(九容)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가정의식예절, 읍의 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이웃예절, 호칭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국가예절, 행동예절, 구용(九容)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가정의식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1. 통과의례
2. 출생의례
3. 성년례(成年禮)
4. 혼인례(婚姻禮)
5. 상장례(喪葬禮)
6. 제례(祭禮)
7. 수연례(壽筵禮)

Ⅱ. 읍의 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1. 읍과 의
2. 읍의 기본 동작
3. 읍의 종류
1) 상읍
2) 중읍
3) 하읍

Ⅲ. 이웃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1. 이웃과 사이좋게
2. 이웃간의 방문 예절
3. 아파트에서 생활할 때의 예절

Ⅳ. 호칭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1. 부모에 대한 호칭
2. 시부모와 며느리 사이의 호칭
3. 처부모와 사위 사이의 호칭
4. 부부 사이의 호칭
5. 형제에 대한 호칭(배우자 포함)
6. 남편의 동기와 배우자 사이의 호칭
7. 숙질 사이의 호칭
8. 사돈 사이의 호칭

Ⅴ. 국가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1. 국기에 대한 예절
2. 애국가에 대한 예절
3. 국가 원수에 대한 예절

Ⅵ. 행동예절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1. 서 있을 때의 예절
2. 앉아 있을 때의 예절
3. 걸을 때의 예절
4. 계단을 오르내릴 때
5. 출입할 때의 예절
6. 물건을 다룰 때의 예절
7. 대화할 때의 예절

Ⅶ. 구용(九容)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1. 두용직(頭容直)
2. 목용단(目容端)
3. 구용지(口容止)
4. 성용정(聲容靜)
5. 기용숙(氣容肅)
6. 색용장(色容莊)
7. 수용공(手容恭)
8. 족용중(足容重)
9. 입용덕(立容德)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리 위에 얹으며, 등은 뒤에 깊이 기대지 말고 곧게 세워 앉는다.
3. 걸을 때의 예절
1) 바닥과 발바닥이 평행이 되게 걸어 발바닥이 앞뒤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2) 발끝을 벌리지 말고 일직선의 양옆에 놓이도록 곧게 걷는다.
3) 옷자락이 펄럭이지 않게 잘 여미며 걷는다.
4) 뛰거나 허둥대지 말고 조용히, 물이 흐르듯이 걷는다. 너무 느리게 걸어 주위 사람들의 보행에 방해를 주어서는 안 된다.
5) 실내에서 걸을 때에는 보폭을 실외에서보다 좁게 한다.
6) 가능한 한 발자국 소리가 요란하게 나지 않도록 걷는다.
7) 여자가 한복을 입었을 때에는 발끝으로 치마 자락을 사뿐히 차듯이 밀며 걷는다.
8)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는 옷자락을 들고 잘 여며서 밟히지 않도록 한다.
9) 남녀가 함께 계단을 오를 때에는 남자가 먼저 오른다.
10) 남의 앞을 가로 지날 때에는 반드시 ‘실례합니다.’, ‘죄송합니다.’라고 양해를 구한 뒤, 남의 몸에 부딪치거나 옷이 스치지 않게 주의하면서 민첩하게 걷는다. 또한 상대에게 정면으로 뒷모습을 보이지 않게 한다.
4. 계단을 오르내릴 때
1) 계단을 오르내릴 때는 꼿꼿한 자세로 오르내린다.
2) 상체를 앞이나 뒤로 굽히지 않는다.
3) 계단을 오를 때에는 남성이 먼저 오르고, 내려갈 때는 여성이 먼저 내려간다.
4) 여성이 계단을 오를 때에는 치마가 들리지 않도록 조심한다.
5) 계단을 오르내릴 때 밑에 있는 사람이 위에 있는 사람을 올려다보는 것은 실례가 된다.
5. 출입할 때의 예절
1) 출입할 때는 노크를 하거나 인기척을 내어 안에 있는 사람이 알도록 한다.
2) 문을 열고 닫을 때에는 두 손으로 한다.
3) 안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에는 문턱(문지방)을 밟지 않는다.
4) 방안의 사람에게 될 수 있는 대로 뒷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5) 문은 가능한 한 소리가 나지 않게 여닫으며, 걷는 발소리도 나지 않게 한다.
6) 문을 필요 이상으로 넓게 열지 말고, 문을 열어 놓은 채 다른 일을 하지 않는다.
7) 문을 열 때에는 열리는 쪽을 막지 않는 위치, 즉 돌쩌귀가 있는 쪽에서 연다.
8) 여닫이문을 밀어서 열 때에는 문 가까이에서 열고, 잡아당겨서 열 때에는 한 발자국쯤 떨어져서 연다.
9) 미닫이문을 여닫을 때에는 두 손으로 잡아당겨 열고 닫는다.
6. 물건을 다룰 때의 예절
1) 물건은 소리 나지 않고 상하지 않게 조심스레 다룬다.
2) 물건의 아래와 위, 속과 겉이 바뀌지 않게 다룬다.
3) 물건은 두 손으로 다루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물건을 바닥에 놓을 때에나 바닥에서 들 때에는 앉아서 놓거나 든다.
5) 칼이나 송곳 등 위험한 물건을 남에게 줄 때에는 상대편이 손잡이를 잡기 편하도록 집어준다. 신문이나 책 등을 건네 줄 때에는 상대편에서 바르게 보이도록 한다.
6) 앉은 사람에게는 앉아서 주고, 선 사람에게는 서서 준다.
7) 앉아서 주는 물건은 앉아서 받고, 서서 주는 물건은 서서 받는다.
8) 남에게서 물건을 받을 때에는 두 손으로 공손히 받아서 조심스레 놓아둔다.
9) 대접할 음식을 담은 그릇은 음식이나 그릇의 안 쪽에 손이 닿지 않게 하며, 상이나 쟁반으로 받친다.
10) 바늘이나 핀 같이 작은 물건은 큰 종이나 천에 찔러서 보관하며, 작거나 흐트러지기 쉬운 물건은 그릇에 담아서 보관한다.
7. 대화할 때의 예절
1) 대화 장소의 환경과 성격, 수준 등을 참작해 화제를 고른다.
2) 사투리보다는 표준말을, 외래어나 전문 용어보다는 쉬운 우리말을, 거친 말보다는 고운 말을 쓴다.
3) 감정을 편안하게 하고, 표정을 온화하게 해서 말한다.
4) 너무 작거나 크게 말하지 말고, 조용하면서도 알아듣기 좋게 말한다.
5) 발음을 정확하게 하고 속도를 조절해서 상대편이 이해하기 좋게 말하며, 상대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나를 살피면서 말한다.
6) 상대가 질문하면 자상하게 설명하고, 의견을 말하면 성의 있게 듣는다.
7) 다른 사람이 이야기 하는 도중에 말을 막거나 끼어들지 않고, 의문이 있으면 말이 끝난 뒤에 묻는다.
8) 화제가 이어지도록 간결하게 요점을 말해 중언부언하지 않는다.
9) 평소의 대화는 자기주장을 지나치게 고집해서 분위기가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10) 말은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라 표정, 눈빛, 몸으로도 듣는다는 자세를 갖고 상대가 알아차리도록 은근하면서도 확실한 반응을 보인다.
11) 대화 중에 자리를 뜰 때에는 양해를 구하고,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12) 대화를 마치고 난 뒤에는 상대에게 감사를 표한다.
Ⅶ. 구용(九容)과 올바른 몸가짐(바른 몸가짐)
1. 두용직(頭容直)
머리를 곧고 바르게 가져 의젓한 자세를 가진다. 머리가 흔들리면 자세가 흐트러진다.
2. 목용단(目容端)
눈을 단정하고 곱게 떠서 지긋이 정면을 보아야 한다. 치뜨거나 곁눈질을 하지 않는다.
3. 구용지(口容止)
입은 조용히 다물어야 한다. 입을 헤 벌리거나 껌을 씹거나 하면 교양 있는 모습이 아니다.
4. 성용정(聲容靜)
말소리는 항상 나직하고 조용해서 시끄럽거나 수선스럽게 하지 않는다.
5. 기용숙(氣容肅)
호흡을 조용히 하고 안색을 평온히 해서 기상을 엄숙히 한다.
6. 색용장(色容莊)
얼굴은 항상 명랑하고 씩씩하고 생기 있게 한다. 씩씩한 안색은 사람을 즐겁게 한다.
7. 수용공(手容恭)
손은 필요없이 놀리지 않으며 일이 없을 때는 두 손을 모아 공손하게 공수한다.
8. 족용중(足容重)
발을 옮겨 걸을 때는 무겁게 한다. 그러나 어른 앞을 지날 때나 어른의 명을 따를 때는 민첩하게 한다.
9. 입용덕(立容德)
서 있는 모습은 그윽하고 덕성이 있어야 한다. 기대거나 비뚤어진 자세는 덕이 없어 보인다.
참고문헌
박상천(2004), 한국어 호칭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심광한(1982), 국기·국가·국가원수에 대한 예절지도, 교육과학기술부
윤영기(2002), 조선시대 문집을 통해 본 일상의례의 절, 한국예절학회
윤영섭(1999), 바른예절 바른생활교육, 경기도교육청
장명근(1985), 가정의례, 법제처
하명희(2010), 예절 인지와 실천 및 학교 예절교육 요구도 분석, 성균관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