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접근, 문화 문헌정보학적 접근, 문화 탈근대적 접근, 문화 비판적 접근, 문화 경제적 접근, 문헌정보학, 탈근대]문화의 문헌정보학적 접근, 문화의 탈근대적 접근, 문화의 비판적 접근, 문화의 경제적 접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 접근, 문화 문헌정보학적 접근, 문화 탈근대적 접근, 문화 비판적 접근, 문화 경제적 접근, 문헌정보학, 탈근대]문화의 문헌정보학적 접근, 문화의 탈근대적 접근, 문화의 비판적 접근, 문화의 경제적 접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화의 문헌정보학적 접근
1. 우리의 문화 의식
2. 도서관 문화의 발전
3. 도서관 문화론의 교육 내용

Ⅱ. 문화의 탈근대적 접근

Ⅲ. 문화의 비판적 접근

Ⅳ. 문화의 경제적 접근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단하듯이 대중문화는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의 단순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후기구조주의가 즐기는 쾌락은 복잡한 카오스 이론적인 쾌락이다. 그래서 데리다가 주장하는 Deconstructive Game이 나온다. Deconstructive를 하려면 머리가 좋아야 하고 굉장히 어렵고 복잡하다.
Ⅳ. 문화의 경제적 접근
우리나라의 문화산업은 이번연도가 가장 큰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통계청 고시 제2000-1호(2000. 1. 7)에 의하여 2000년 3월 1일부터 적용 시행되는 한국표준산업분류(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KSIC)를 요약하여 보면, 가장 큰 특징은 문화산업이 오락업과 함께 처음 대분류(section)산업으로 등장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KSIC에서 대분류는 종전에는 A에서 Q까지 17개이었으나 제8차 개정에 의하여 A에서 T까지 20개로 증가하였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현대 경제사회의 복잡 다양한 산업제품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UN이 작성하여 각국에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국제표준산업분류(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ISIC) 체계를 따른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대부분의 국가는 ISIC에 의하여 자국의 실정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산업을 분류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이러한 분류체계를 최초로 도입한 것은 1963년(비제조업은 1964년)이다.
KSIC의 분류구조는 대분류(영문 알파벳 대문자사용/section), 중분류(2자리 숫자사용/division), 소분류(3자리 숫자사용/group), 세 분류(4자리 숫자사용/class), 세세분류(5자리 숫자사용/sub-class) 등 5단계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KSIC에서 Q라고 하면 대분류로서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서비스업을 뜻하고 중분류 2개를 비롯하여 소세세세분류의 하위구조를 가지고 있다. KSIC 체계에 따라 대분류 Q를 세 분류까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문화산업은 인간의 정서적 만족을 창조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는 데 소분류 883과 889를 제외하고 모두 경제학적인 의미에서 문화산업으로 분류된다.
한국경제에서 문화산업은 그동안 산업적 위상이 미약하여 중분류 산업으로 분류되어 왔었다. 그러나 기하여 KSIC상의 대분류 Q로 진출하게 되었는데 이는 한국 문화산업의 위상이 크게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또한 한국표준직업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KSCO)에서도 그 위상이 대단히 높아졌음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체계적인 직업분류를 작성한 것은 1960년이 처음이지만 국제노동기구(ILO)가 1958년에 제정, 각국에서 사용토록 권고된 국제표준직업분류(ISCO-58)를 근거로 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가 제정된 것은 1963년이다. 이후 4차의 개정이 있었고 최근에 다시 제5차 개정작업을 추진하여 왔었다. 그 결과가 통계청 고시 제2000-2호(2000. 1. 7)이며 2000년 3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KSCO 대분류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다만 군인의 경우에는 대분류 A이다. 중분류부터 세세분류까지는 2자리부터 5자리까지의 숫자를 사용한다. 종전에는 문화산업 관련 종사자들을 2 전문가 24 기타 전문가 245 작가와 창작 및 공연예술가, 그리고 3 기술공 및 준전문가 34 기타 준전문가 347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 등으로 분류하였다.
문화 및 예술관련 직업은 제5차 개정 KSCO에서 그 위상이 한 단계 높아지게 되었다. 즉 대분류 1 전문가의 중분류 18은 문화, 예술 및 방송관련 전문가로 대분류 2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중분류 28은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로 편성됨으로써 5차 개정 이전의 소분류가 KSCO 개정을 통하여 중분류 직업으로 위치 상승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위계(hierarchy)의 변화는 인간 내면의 정서와 가치를 중시하는 이른바 ‘보이지 않는 산업’(invisible industry)으로서 경제적 가치가 크다는 점에 기인한다. 여기서 ‘보이지 않는’이란 의미는 문화산업의 활동 과정에서 아황산가스(SO2), 질소산화물(NOX), 분진(粉塵) 등 인체에 위해한 공해원(pollutants)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무형자본의 축적(accu- mulation of intangible capital)이 문화산업 생산성의 기반이라는 점을 말한다.
문화산업의 위상은 한국적 경제현실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문화산업은 공해(pollution)를 유발하는 이른바 ‘굴뚝 산업’(brick and mortar industry)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세계화 시대에서는 문화산업의 국제적 파급효과가 가장 크다는 점, 그리고 문화산업은 통상마찰을 일으킬 여지가 별로 없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문화산업은 또한 외부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오늘날과 같이 황폐화된 국민정서를 아름답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외부경제(external economy)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재능이 탁월하고 지능이 우수하며 근면성실한 인적 자원(human resource)이 풍부하므로 이를 체계적으로 활용하면 부가가치(value added)가 큰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무한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요약하면 문화산업의 위상은 갈수록 지수적으로 상승하리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용성(2000), 문화에 대한 문헌정보학적 접근, 국회도서관
○ 김우필(2011), 문화산업과 저널리즘의 탈근대적 대중미학의 발견, 인문콘텐츠학회
○ 김서중(1991), 문화의 경제적 속성에 대한 일고, 광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신승환(2003), 문화철학의 근대적 기원과 탈근대적 현상, 한국하이데거학회
○ 송연화(2010), 문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남대학교
○ 여국현(2004), 비판적 문화연구(Cultural Studies)의 역사적 고찰과 전망, 중앙대학교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