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범위, 구조,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무역자유화, 현황,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모성보호조약, 경제협력,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기업간 전자상거래(B2B)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범위, 구조,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무역자유화, 현황,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모성보호조약, 경제협력,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기업간 전자상거래(B2B)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범위
1. 환태평양, 태평양 분지
2. 구미태평양과 아시아 태평양
3. 일본의 부상과 지역모순의 표출

Ⅲ.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구조

Ⅳ.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무역자유화

Ⅴ.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현황

Ⅵ.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모성보호조약
1. 일본
2. 홍콩
3. 한국
4. 호주
5. 뉴질랜드
6. 인도
7. 필리핀
8. 싱가폴
9. 태국

Ⅶ.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경제협력
1. 대러시아 투자
2. 자유무역지대
3. 문화교류와 민간차원의 노력

Ⅷ.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기업간 전자상거래(B2B)
1. 추진 배경
2. 추진 경과
1) 한국이 제시한 기본 모델에 대한 논의 및 확정
2) pilot project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3. 사업의 기대효과
1) Seller 측면
2) Buyer 측면
3) Marketplace 측면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경보존, 첨단기술 이전 등에 공헌할 수 있는 「APEC 대학」의 설립이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다.
Ⅷ.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지역)의 기업간 전자상거래(B2B)
1. 추진 배경
o 향후 전자상거래 시장은 거대 B2B시장 공동구축, M2M 시장형성으로 나갈 전망이며 업종별 B2B 연계뿐만 아니라 횡적인 전자상거래 시장연계가 이루어질 전망
- 그러나 현재 MP 연계는 대기업중심의 Vertical Market구축이 중심이며 MP마다 상이한 전자상거래 솔루션 채택, 지원 인프라의 부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차이 등으로 MP간 상호 운영성 확보가 어려움
- 인프라의 지원을 받으며 다양한 솔루션간 인터넷을 통해 상호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는(문서 및 거래정보의 교환) MP간 수평적 연계 모델 개발 필요
o 국제 MP 연계 프레임웍을 도출하고 이를 국가간 시범사업화하여, 국제B2B에서 발생하는 법제도적 문제점과 정부간 협력해결 과제를 제시함
- 시범사업화를 통한 전자상거래관련 기술개발과 국가간 협력과세 제시를 통한 아시아지역 전자상거래 논의 주도
2. 추진 경과
<2001. 9 : 제24차 APEC-TEL, 제4차 Global W/G(제주도)>
1) 한국이 제시한 기본 모델에 대한 논의 및 확정
- Global W/G 및 BFSG 회의에 보고서 제출 및 발표
- 싱가폴, 호주, 일본 정부의 지지발언 및 참여의사 표명
2) pilot project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 실현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각국의 참여의사가 있을 경우 구체적 실현 과정에 대한 논의 유도
※ 싱가폴(SESAMi), 대만(Com2B), 호주(Optus) 참여 결정
※ 일본은 구체적 결정사항은 없으나 민간 사업자 중심으로 참여 유도 계획
3. 사업의 기대효과
1) Seller 측면
- One-Stop 전자 카타로그 Publishing 시스템 지원
- 국제간 B2B 거래 진입장벽을 완화하는 기반 시스템을 구축
※ 국제간 B2B의 필수 요소인 신용을 확보하기 어렵지만 마켓간 상호 연계 및 이를 활용한 상호인증을 통해 어느 정도 극복 가능
- Buyer로부터의 대금 결제의 보증을 필요로 함.
2) Buyer 측면
- 연계 국가 상품 카타로그를 비교 분석하는 서비스 지원
- Seller를 신용정도 보장을 지원
- 안전한 배송 및 하자 없는 상품의 배송을 보증
- 반품, 환불 등에 대한 보장
- 양질의 상품 정보를 자국어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3) Marketplace 측면
- 상품정보 및 Seller, Buyer 정보를 확보
- 관세, 수출입 통제 등에 대한 정보 서비스 제공
- 국제간 안정된 기반 결제 시스템 및 배송 시스템을 활용
- 국제거래 진입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마케팅 비용을 최소화
Ⅸ. 결론
동아시아지역에서 패권-탈패권의 긴장은 시민사회 차원의 동아시아 평화연대를 요구한다. 국가주도의 패권경쟁과 탈패권전략은 협력보다는 긴장을, 군축보다는 군비경쟁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동아시아 지역국가들 사이의 독자적인 협력체제를 견제하고 21세기 전반기 동안 패권적 지위를 강화하려는 미국의 전략은 한편으로는 MD계획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미·일, 미·한 군사동맹의 심화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단일패권질서의 유지·강화는 지역의 안정성을 표면적으로는 높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약화시킨다. 북·미 갈등은 동아시아에서 미국중심적 세계질서의 유지·강화가 안고 있는 근본적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군사적 긴장의 예이다. 또한 일본의 군사강국화는 미국의 동아시아에 대한 군사적 지배력 강화라는 전략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동아시아 평화연대는 이러한 경향성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 현 단계 동아시아 평화연대는 북·미 갈등의 해결과 군비경쟁의 종식을 일차적 목표로 해야 한다. 북·미 갈등과 군비경쟁이 일차적으로 국가안보논리에 기초해 있다는 점에서, 평화연대의 출발은 시민사회에서 시작될 수밖에 없다.
평화연대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시민사회가 현 단계에서 쉽게 평화연대를 구축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갖기는 어렵다. 무엇보다도 아직 각 국가들에서 평화연대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아니 평화 자체에 대한 관심이 충분히 고조되어 있지 못하다. 더욱이 동아시아 각 국의 사회·경제적 조건과 역사적 유산은 ‘동아시아인의 연대’라는 개념 자체를 생각하기 힘들게 한다. 한·중·일 삼국의 경제력 격차, 정치체제의 불일치, 시민사회 성숙도의 차이 등에 덧붙여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에 이르는 비극의 동아시아 역사가 존재한다. 역사에 대한 이해, 현재에 대한 평가, 미래에 대한 전망 모두에서 동아시아 시민사회는 연대를 위한 공감대를 충분히 형성하고 있지 않다. 동아시아 평화연대는 아직 동아시아 각 국의 시민사회에서 시대적 화두로 대두되지 못하였다.
동아시아 시민사회가 갖고 있는 평화연대에 대한 소극적인 조건, 또는 제약요인은 역설적으로 평화연대를 위한 시민·사회운동의 관심을 촉구한다. 패권-탈패권의 긴장이 유지되는 속에서 시민사회 차원의 평화연대가 형성되기 어렵다면, 동아시아 21세기는 19세기 말부터 계속된 분열과 전쟁의 역사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제약요인은 평화연대를 위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 것인가를 가르쳐준다. 동아시아 평화연대는 차이와 역사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바로 이 점에서 동아시아 평화연대는 국가보다는 시민사회가, 정체성의 강제나 과거사에 대한 부담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또는 이것들을 뛰어넘으려고 하는 시민사회가 주도해 나가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20세기에 두 차례의 전쟁을 겪었던 유럽의 통합 경험은 동아시아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참고문헌
◈ 공보처(1995), 아태지역의 공동번영을 위하여
◈ 김중호(1992), 아태지역통합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 마사모리 외 1명(2001), 세계화와 아태지역의 안전보장, 극동문제연구소
◈ 변진석(1996), 아태지역협력과 한국안보,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박진석(2009), 아태지역 국가들의 경제통합과 경기순환, 한국산업경제학회
◈ 박지영(1992), 아태지역에서의 경제 문화협력,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