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동남아시아 공업화]공업 발달, 공업 입지, 공업과 동남아시아 공업화, 공업과 중화학공업, 공업과 계면활성제공업, 공업과 경남지역 가내공업, 공업과 북한공업, 공업과 공업계고등학교, 공업과 공학기초능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업][동남아시아 공업화]공업 발달, 공업 입지, 공업과 동남아시아 공업화, 공업과 중화학공업, 공업과 계면활성제공업, 공업과 경남지역 가내공업, 공업과 북한공업, 공업과 공업계고등학교, 공업과 공학기초능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공업의 발달
1. 재래 수공업
2. 일제 시대
1) 일제 초기(1910년 - 1929년)
2) 일제 말기(1930년 - 해방 전)
3) 1960년 이전
4) 1960년대
5) 1970년대
6) 1980년대
3. 공업의 특색
1) 원료의 높은 해외 의존도
2) 풍부하고 우수한 노동력
3) 공업 구조의 이중성
4) 부족한 자본과 기술

Ⅲ. 공업의 입지

Ⅳ. 공업과 동남아시아 공업화

Ⅴ. 공업과 중화학공업

Ⅵ. 공업과 계면활성제공업

Ⅶ. 공업과 경남지역 가내공업

Ⅷ. 공업과 북한공업

Ⅸ. 공업과 공업계고등학교

Ⅹ. 공업과 공학기초능력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집에 성실하게 임한 결과 취업과 연계된 현장실습을 하는데 슬기롭게 대처할 수 가 있다.
현장실습취업률이 과년도에 비하여 상승률을 나타냈으며, 취업 내용 면에 있어서도 중소기업체보다는 대기업체에 취업하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공채에 응시하려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다.
Ⅹ. 공업과 공학기초능력
Houston(1990 : 791)은 실과교사 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폭넓은 기초능력, 전문적 교수능력(professional competency), 기술 및 기능 능력(occupational skill)들 간 좀 더 균형 잡힌 접근을 위해서는 그 내용이 학문적으로 엄격히 정선되어야 한다면서, 특히 최근 들어 학문적 기초능력의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고 하였다(Houston, 1990 : 791).
Nancy와 Tim(1996 : 16-20)은 21세기를 대비하여 실과교사들은 교수방법 및 심리적 적 능력 이외에 산업 사회에 대한 지식과 폭넓은 교양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여기서 산업 사회에 대한 지식이란 사회학, 산업경제학, 가족 관계, 직업과 지역사회와의 관계, 상품 가치 있는 공통적 기능, 직장에 취업하는 절차와 방법, 직업윤리, 생애 및 직업발달 이론, 고객과의 관계, 노동 및 조직 관계, 지도력, 경영 훈련, 특정한 산업 혹은 직업군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 성향, 과정, 기술 등을 포함하는 전공 분야의 능력, 산학협동 교육의 이념, 실험ㆍ실습 중심의 활동, 모의 실험, 장인정신, 기업가 정신, 현장 지도 등을 포함하는 산업계에 대한 준비 과정에 대한 지식을 총칭한다.
폭넓은 교양은 수학 및 통계학, 사회 및 행동과학, 인류학, 언어학, 예체능, 자연과학, 기술, 외국어, 건강, 문화 등에 관한 균형 있는 지식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직업기술 교육의 철학과 이념, 정치학, 재정학, 법학, 문화적 환경, 조직적 현상, 다양한 제도와 교육과정 요구에 대한 지식 등도 실과교사의 직무 수행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공업교사가 폭넓은 교양을 갖추어야 하는 당위성은 첫째로 보통 교육과 직업 교육을 내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이고 둘째로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계속적으로 습득하는데 필수적이라는 데 있다.
이런 다양한 교양적 능력군에서 공업교사에게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은 科學 및 數學能力을 포함하는 공학기초 능력 이라 할 수 있다(UNESCO, 1973 : 85 ; Simandjuntak, 1984 : 11-12 ; Nancy와 Tim,1996 : 16-20).
공학기초 능력의 중요성은 신기술의 생성과 소멸 주기가 가속적으로 단축되고 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원리적 기초 개념에 충실해야 된다는 점에서 그 정당성을 찾을 수 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기능인력에게 요구하는 중요한 조건중의 하나가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력인데, 그 적응력의 근본은 공학기초 능력인 과학 및 수학능력과 기술, 그리고 공학 지식이 바탕이 된 폭넓은 이해력이다(류길하·신광호, 1994: 42-43). 이는 기능을 공학 지식과 연결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자세와 기능의 技術 해석 능력과도 무관치 않다. 다시 말해서, 미래 기능인상이 단능공 또는 다기능 작업자의 수준을 초월하여 학문적 소양과 기술 지식이 있는 다능공으로 집약된다고 볼 때 기능 행동을 기술 지식과 연결시켜 이해함으로써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계속적인 新技術의 생성으로 학교에서 배운 전문 지식과 기술은 현장에서 그 효용성과 생명력이 떨어지기 마련이므로, 학교교육에서는 전이가치있고, 원리중심적인 기초능력 교육으로 돌아가자는 입장이다.
최근 공장자동화는 기능공의 질 높은 자질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바로 전공분야에서의 관련기능보다는 관련분야의 원리를 이해하는 기초지식의 획득이 더욱 요긴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최근에 전자기술과 여타 첨단기술들간 광범위한 융합화와 기술의 복합화가 두드러짐에 따라, 공학기술자가 제품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전공분야의 지식과 기능은 물론 인접 분야와 기초적인 情報 交換을 해야 한다. 기술적인 의미에서 한 전공 분야의 지식 및 기술 이외에 이웃하는 분야의 기술을 동시에 요구하는 범학문적(interdisciplinary) 경향의 이면에도 수학 및 과학적인 기초 능력의 중요성이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주영덕, 1994: 13-14).
원래 기초능력이란 정의는 여러 측면에서 접근되고 있는데, Shirley (1983)는 현대사회에서 배우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모든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말하기, 듣기, 문제해결 및 기계 조작 등의 기초 능력들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O\' Neil(1976)는 기초능력과 유사한 용어인 職業 生存 能力을 “주어진 직업에서 근로자가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가장 적합한 기초지식, 특성,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원상봉(1990)은 기초능력의 정의를 “職業世界에서 배우고,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능력의 총체”라고 보았다.
Shumit와 Hunter(1981)는 직무수행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기초능력의 요소를 언어, 수리, 연역적 및 귀납적 사고능력, 공간 지각능력, 기계조작 능력 등으로 보았으며, 원상봉(1990 : 67)은 독해 능력, 작문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과학 능력, 수학 및 컴퓨터 활용능력 등으로 세분하였다.
참고문헌
◈ 강기주 외 15인, 공고현황조사 진단자료, 대한공업교육학회 연구보고, 1994
◈ 교육부, 공업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1997-15호, 1997
◈ 박영구, 1980년 중화학공업 조정에 대한 경제사적 평가, 외대논총 제14집, 부산외국어대학교, 1996
◈ 심재용, 공업화의 심화와 확산 : 제2차 공업혁명과 후발공업화,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 2010
◈ 안종철, 북한 공업경제의 특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동북아학회, 1997
◈ 장지용, 1930년대 조선의 가내공업, 부산대학교 경제학 박사학위 논문, 1999
◈ 정경문화, 특집토론, 중화학공업과 정책과제, 1981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