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험(금융리스크) 시장리스크, 국가리스크, 신용리스크, 금리리스크, 금융위험(금융리스크) 외환결제리스크, 운영리스크, 금융위험과 도산리스크, 편중리스크, 시스템리스크, 환경리스크, 전자금융리스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금융위험(금융리스크) 시장리스크, 국가리스크, 신용리스크, 금리리스크, 금융위험(금융리스크) 외환결제리스크, 운영리스크, 금융위험과 도산리스크, 편중리스크, 시스템리스크, 환경리스크, 전자금융리스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시장리스크
1. 이자율리스크(interest risk)
1) 이자율변경리스크(repricing risk)
2) 수익률곡선리스크(yield-curve risk)
3) 베이시스리스크(basis risk)
4) 옵션리스크(option risk)
2. 환리스크(foreign exchange risk)
3. 주식리스크(equity risk)
4. 상품리스크(commodity risk)

Ⅱ.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국가리스크
1. 국제적인 영업을 하는 금융기관은 국가리스크에 노출됨
2. 국가리스크는 금융기관의 국제영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외국 거래상대방에 대한 모든 익스포져(부외거래를 포함하여 공공․민간부문 거래상대방)의 리스크를 평가할 때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
3. 국가리스크는 비거주자 거래상대방에 대한 익스포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4. 국가리스크가 신용거래(credit transaction)에만 한정되지는 않음

Ⅲ.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신용리스크

Ⅳ.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금리리스크
1. 금리변경리스크(repricing risk)
2. 수익률곡선리스크(yield curve risk)
3. 베이시스리스크(basis risk)
4. 옵션리스크(optionality risk)

Ⅴ.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외환결제리스크

Ⅵ.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운영리스크

Ⅶ.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도산리스크

Ⅷ.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편중리스크
1. 편중 리스크란 포트폴리오내 일군의 자산이 공통적인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결과 발생하는 리스크를 의미
2. 편중리스크의 계량화를 위해서는 먼저 체계적 요인과 개별적 요인의 개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음
3. 포트폴리오의 규모가 커질수록, 체계적 요인은 포트폴리오의 예상치 못한 손실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별적 요인은 자산간에 서로 상쇄되어 영향력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음

Ⅸ.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시스템리스크

Ⅹ.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환경리스크
1. 환경을 리스크로 고려하는 입장
2. 환경을 혁신의 요소로 고려하는 입장
3. 변화하는 규제환경에 대응해야하기 때문

Ⅺ.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전자금융리스크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태로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에도 이미 법원이 대출기업의 오염에 대해 금융기관이 일부 책임을 지도록 하는 판결을 내린 바 있어, 이러한 법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금융기관이 환경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신바젤협약(New Basel Capital Accord, 2001)에서도 운영위험에 환경위험과 같은 비재무적 영향들을 고려하도록 하고, 환경사고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자본손실을 충당하기 위한 비용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공개평가하도록 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에서도 환경리스크평가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Friends Ivory & Sime(2002)의 설문조사 결과 유럽의 선진은행들은 환경리스크를 고려하는 이유를 “채무불이행 가능성의 최소화”, “평판위험 제거”, “담보가치 유지”, “차별화/가치창출”, “제도적 환경에 대한 대응” 순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국내 금융기관들도 신용평가나 여신관리, 투자평가 등의 과정에서 환경문제를 고려하고 있다. 다만 환경이슈와 같은 비재무적인 측면들이 글로벌에서 고려되고 있는 수준으로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향후 금융시장 개방과 아시아 금융시장 허브를 지향하고 있는 국내 금융산업으로는 반드시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분야이다.
.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전자금융리스크
― 기술혁신의 지속, 기존 은행과 신규진입자간의 경쟁에 의해 소위 전자금융으로 통칭되는 전자적 채널(distribution channel)을 통해 개인(retail)과 기업(wholesale) 고객에게 전달되는 금융상품과 서비스의 범위가 확대되어 옴
ㅇ 전자금융의 급속한 발전은 이점과 함께 리스크도 수반함
― 바젤은행감독위원회는 은행이 전자금융서비스의 기본적 특성과 대응과제에 비추어 이와 관련된 리스크를 제대로 인식대처관리할 것을 기대함
ㅇ 전자금융의 기본적 특성에는
기술 및 고객서비스의 혁신과 관련하여 일찍이 경험해 보지 못한 변화의 속도,
개방형 네트워크의 遍在性과 글로벌화,
전자금융시스템과 기존 컴퓨터시스템의 통합, 그리고 필요한 정보기술을 제공하는 제3자에 대한 은행의 의존성 증가 등이 포함됨
ㅇ 바젤위원회는 이러한 특성에 의해 본질적으로 새로운 리스크가 발생하지는 않으나 은행업무에 수반되는 전통적 리스크의 일부가 확대변화되고, 은행업무의 종합적인 리스크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함
특히 문제가 되는 리스크는 전략리스크(strategic risk), 운영리스크(operational risk), 법률 및 평판리스크(legal and reputational risk)임
― 바젤위원회는 이러한 결론을 근거로 기존의 리스크관리 준칙을 전자금융업무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그 준칙이 전자금융업무의 특성에 맞게 재조정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ㅇ 은행의 이사회 및 고위경영진은 현행 또는 도입추진중인 전자금융업무를 대상으로 기존의 리스크관리 정책과 절차를 재검토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수정해야 함
ㅇ 또한 새로운 전자금융시스템과 기존의 컴퓨터시스템을 통합하는 경우에는 전체 은행업무를 대상으로 하는 종합적인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접근해야 함
― 바젤위원회는 전자금융업무에 수반되는 리스크에의 대응을 촉진하기 위해 은행이 리스크 감시에 관한 기존의 정책과 절차를 확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전자금융 리스크관리 준칙(Risk Management Principles for Electronic Banking)」을 정하였음
ㅇ 동 리스크관리 준칙은 절대적인 요건도 아니고 모범관행(best practice)을 제시하는 것도 아님
기술 및 고객서비스 혁신과 관련된 변화속도가 빨라 이에 관한 규제내용도 급속하게 진부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자금융분야의 리스크관리 요건을 자세하게 규정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음
이에 따라 전자금융업무의 안전성과 건전성을 촉진하기 위해 금융감독상의 기대와 지침을 「리스크관리 준칙」으로 제시하는 한편, 이 분야의 변화속도 등을 고려하여 실제로 적용함에 있어서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함
ㅇ 은행별로 리스크 프로파일이 다르기 때문에 전자금융업무의 규모, 리스크의 중대성, 그리고 리스크관리 의지와 능력에 맞는 리스크 감축기법이 필요함
즉, 전자금융 리스크관리에 있어서는 “획일적(one size fits all)” 방법론은 필요하지도 않고 적절하지도 않음
― 또한 동 리스크관리 준칙은 전자금융과 관련하여 특정한 기술적 해결방안이나 표준을 상정하고 있지 있음
ㅇ 기술진보에 따른 기술적 해결방안은 은행이나 표준화기구 등이 검토해야 할 사안임
ㅇ 다만, 보고서 부록에 리스크관리 준칙에 대한 보충자료로서 전자금융 분야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스크감축 기법 몇 가지를 포함하고 있음
― 따라서 이 보고서에 서술된 리스크관리 준칙과 건전관행(sound practice)을 활용함에 있어 각국 금융감독당국은 필요한 경우 고유의 규제와 개별은행의 리스크 프로파일에 맞추어 수정적용할 것을 전제로 함
ㅇ 동 준칙중 일부는 이미 바젤위원회나 각국 감독당국의 지침으로 제시된 것도 있음
ㅇ 그러나 아웃소싱 관계의 관리, 보안통제, 법률리스크 및 평판리스크 관리 등의 문제에 관해서는 인터넷을 통한 전달채널의 특성과 영향을 감안하여 지금보다 더 상세한 준칙을 정할 필요가 있음
― 「리스크관리 준칙」은 크게 3개의 범주(‘이사회와 경영진에 의한 감시’, ‘보안통제’, ‘법률리스크 및 평판리스크 관리’)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범주에 포함된 사항이 중복되는 경우도 있음
참고문헌
경희대학교 국제법무대학원(2010), 시장리스크 기준 자기자본보유제도, 경희대학교
김정렬 외 1명(2004), 금리리스크 관리와 평가에 대한 논의, 예금보험공사
이승환(2010), 주가와 재무구조 정보를 이용한 기업부문 신용리스크 측정, 한국증권학회
조세연(2009), 운영리스크 시나리오 생성 및 평가시 주관성 완화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홍화욱 외 3명(2010), 건설산업 관점의 국가리스크 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토목학회
한국은행(2000), 외환결제리스크의 현황과 감축전략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