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시민단체]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의미, 성격,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등장, 자주성,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정체성, 정통성,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공익성, 이종성(異種性)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GO][시민단체]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의미, 성격,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등장, 자주성,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정체성, 정통성,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공익성, 이종성(異種性)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의미

Ⅲ.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성격
1. NGO는 지속성이 있는 조직이다
2. 민간(private)이 설립하고 운영하는 조직을 칭한다
3. 편익의 비배분성(non-profit-distributing)을 지적할 수 있다
4. NGO는 자치(self-governing) 조직이다

Ⅳ.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등장

Ⅴ.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자주성

Ⅵ.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정체성

Ⅶ.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정통성

Ⅷ.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공익성

Ⅸ.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이종성(異種性)

Ⅹ.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현대복지사회에서 시민은 해방의 정치뿐만 아니라 자아실현의 정치를 지향한다. 제3
세계에 대한 빈곤전쟁자연재해에 대하여 원조하고 환경과 생태계를 파괴하는 국가이기 주의나 다국적 기업의 견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조기원,2001) 그러나 국가가 이러한 역할을 모두 수행하거나 시민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이념적으로나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시민사회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Ⅸ.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의 이종성(異種性)
NGO 운동에도 늘 논란이 따른다. 평가가 극과 극을 달린다. 일각에서는 NGO가 세계의 양심이며(Willetts, 1996a), 민주주의와 정의의 원천이어서(Tuijl, 1999), 주권국가와 대등한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다고(Matthews, 1997) 찬양한다. 비판도 만만찮다. 우파는 NGO가 국가주권에 도전하며 대의 민주주의를 약화시키고 사익을 추구하면서 책무성도 없는 집단이라고 비난한다(Carothers, 1999-2000; The Economist, 1999; 2000). 좌파는 NGO가 무늬만 진보이며 실제로는 진정한 사회정치 변혁을 가로막고(Petras, 1999), 민주주의를 민영화하는 철부지 집단(Rieff, 1999)이라고 맹공한다. 국내의 한 NGO 관계자는 이 같은 딜레마를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진보좌파에서는 ‘자본가의 앞잡이 노릇’이라고 비난을 퍼붓고 재벌들과 우파에서는 ‘빨갱이가 하는 짓’이라고 매도한다”(장하성, 2000). 또한 NGO 활동의 장점이 공공성, 자발성, 다원성, 연대성에 있다고 보는 반면(박상필, 1999b), 그것이 간헐적, 단편적, 대표성 결여, 소규모, 선택적 참여 등 내재적 한계를 지닌다고 지적되기도 한다(아미타이 에치오니, 1985).
NGO들의 이종성(異種性)은 널리 알려져 있다. 수많은 학자들이 NGO 세계의 분류와 명명법을 고안하느라 골몰한 것을 보면(Vakil, 1997) 생물계의 분류에 일생을 바친 18세기 스웨덴의 학자 칼 폰 린네를 떠올리게 된다. 인간의 상상력이 허용하는 모든 종류의 결사체가 NGO 세계를 꽃피우고 있다. 유엔과 협의지위를 가진 기성 NGO 중에는 국제양봉연맹(IFBA)으로부터 국제주부교류협회(Housewives in Dialogue), 사회주의 인터내셔널(SI)이 있는가 하면, 시애틀 사건에 참여한 신세대 NGO에는 아나키스트로부터 노동단체에 이어 전미스낵제과협회(Snack Food Association)까지 망라되어 있다. 말 그대로 “모든 길은 NGO로 통한다!”(Farrington et al., 1993).
Ⅹ. 결론 및 제언
NGO의 시대, 그것은 한 국가내에서만의 현상이 아니라 세계사회의 새로운 기류이기도 하다. 21세기 사회는 기존의 국가와 시장 및 시민단체를 포함하는 시민사회가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해야한다는 주장(송희준, 1999)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시민사회는 국가와 시민사회를 대체하지는 못하나 자율성을 토대로 국가와 협력적이고 보완적인 관계가 바람직하다는 측면에서도 정부의 신뢰성 제고에 시민단체로서 NGO의 역할이 중요하다.
세계 NGO들은 상호 연대하여 서로의 어려움을 함께 풀어가는 노력을 벌이는 추세이다. 대규모 학살이 일어난 코소보와 동티모르의 문제를 위해 세계 시민들이 협력하고 있다. 또 국경을 넘어 확산되는 환경파괴를 막자고 세계 NGO들이 연대하고,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기도 한다. 이처럼 NGO는 전 세계적으로 곳곳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유럽에서 나타난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시민참여의 확대(안문석, 2001:280)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Putnam(1995: 65-78)은 지역에 기반을 둔 시민단체인 NGO를 ‘사회자본(Social Capital)’ 이라고 정의하고, 시민의 유대와 사회적 신뢰를 강화하여 보다 많은 시민의 정치참여를 유도한다면 결과적으로 민주주의와 국가의 기능을 공고히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세계 대공황 당시 독일 국민은 전문가 및 문화단체를 구성해 시민사회의 꽃을 피웠으나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구현하는데 실패하였다. 그것은 정부가 시민단체의 분출욕구에 대응하지 못하자 시민단체는 정부의 무능을 비판하며 기성정치권에 등을 돌린 대신 일시적인 인기에 편승한 민족주의적ㆍ민중주의적 세력에 영합해 결국 나치정권의 출현을 초래시켰다(Sheri Berman, 1997: 401-429). 이것은 시민단체의 활동이 정부와 국회 등 국가기관에 대한 대항적 패권(hegemony)으로 작용할 경우 위험성을 경고하는 시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시민단체의 긍정적ㆍ부정적 역량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시민들은 복잡하고 광범위한 행정기능을 제대로 파악하거나 모니터하기 곤란하여 정부가 공익을 위해 행동할 것을 일방적으로 신뢰해야할 입장이라는 것이다(박천오, 1999: 4). 중상위층 관료들에 대한 시민의 신뢰 또한 신탁적인 성격을 띠는 것은 이들이 시민들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드물 뿐만 아니라 선거 등을 통한 시민의 통제에서도 벗어나 있기 때문(배병용ㆍ이시원, 1988: 400; 박천오, 1999: 3)에 정부에 대한 시민의 불신은 증대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대상이 NGO이다.
NGO들은 일반 시민들보다는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경향이 많고, 보다 많은 정보를 수집ㆍ분석할 능력이 있으므로 정부의 잘못된 관행이나 업무수행을 통제함으로써 정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NGO의 투명한 역할 수행을 강조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박원순, NGO, 시민의 힘이 세상을 바꾼다, 예담 1999
박상필, NGO와 현대사회 - 비영리?비정부?시민사회?자원조직의 구조와 동학?, 아르케, 2001
박선경, NGO성과에 관한 전문가들의 인식조사, 한양대학교, 2005
서유경,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 한국 NGO의 정치적 역할 재규정, 대한정치학회, 2009
주성수, 남정일, 한국NGO리포트 2001, 한양대 출판부, 2001.
조효제, NGO의 시대: 지구 시민사회를 향하여, 창작과 비평사, 2000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