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헌 윤봉길의사][매헌 윤봉길의사 약력][매헌 윤봉길의사 거사][매헌 윤봉길의사 기념활동]매헌 윤봉길의사의 약력, 매헌 윤봉길의사의 거사, 매헌 윤봉길의사의 기념활동, 매헌 윤봉길의사의 한인애국단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헌 윤봉길의사][매헌 윤봉길의사 약력][매헌 윤봉길의사 거사][매헌 윤봉길의사 기념활동]매헌 윤봉길의사의 약력, 매헌 윤봉길의사의 거사, 매헌 윤봉길의사의 기념활동, 매헌 윤봉길의사의 한인애국단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매헌 윤봉길의사의 약력

Ⅲ. 매헌 윤봉길의사의 거사

Ⅳ. 매헌 윤봉길의사의 기념활동
1. 광현당
2. 저한당
3. 부흥원

Ⅴ. 매헌 윤봉길의사의 한인애국단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特務隊’로서 조직하기로 결정하여, 그 조직과 활동과 책임을 白凡이 맡도록 임시정부가 全權을 백범에게 委任하여 1931년 11월에 조직된 임시정부의特務隊임을 명백하게 알 수 있다.
그러면 ‘韓人愛國團’이라는 명칭을 가진 임시정부의 이때 ‘特務隊’는 어떠한 성격을 가진 것이었을까? 그것은 ‘獨立軍의 特攻隊’와 같은 성격의 것이었다고 필자는 해석한다.
이점과 관련해서는 1932년 윤봉길 의거가 대성과를 낸 후, 이에 경탄한 蔣介石의 도움으로 中國軍官學校 洛陽分校 안에 韓人班을 특설하여 약 100명의 한국인 청년들에게 장교훈련을 시켰다가 일 년 후 일제 측의 강력한 항의로 그들 중 약 80명을 중국이름으로 변성명시켜 南京의 中央軍官學校에 입학시킨 일이 있는데, 백범은 이때 이 사관생도들을 묶어 ‘韓國特務隊獨立軍’을 조직하였다. 이것은 임시정부 特務隊로서의 ‘韓人愛國團’의 후신의 성격을 가진 것이었는데, 그 명칭이 ‘韓國特務隊獨立軍’으로서 ‘獨立軍’의 용어가 이때에는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윤봉길 의거 때, 윤봉길은 조국의 청년들에게 남긴 遺囑詩에서 “피 끓는 청년제군들아 준비하세 / 군복입고 총 메고 칼 들며 / 군악 나팔에 맞추어 행진하세”라고 기록하였다. 윤봉길도 獨立軍 抗日武裝戰爭에의 참가를 호소하면서 虹口公園 의거에 나선 것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韓人愛國團의 활동을 당시 ‘抗日武裝戰爭의 범주’에 넣어 의식했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韓人愛國團’을 지칭하는 ‘特務隊’가 바로 ‘獨立軍의 特務隊’와 같은 성격의 것이었다고 볼 수 있는 근거의 일부를 보강해 주는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백범이 창설한 韓人愛國團은 극비의 결사였기 때문에 그 정확한 인원과 단원 이름을 알 수 없다. 일제 정보기관은 한인애국단의 인원을 약 80명으로 추정했으며, 그 핵심단원으로 10여 명을 든 바 있다. 이를 중심으로 한인애국단원의 명단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단장 : 金九
단원 : 安恭根, 金東宇, 金海山, 嚴恒燮, 金弘一(王雄), 安敬根, 孫昌道,
金毅漢, 白九波, 金鉉九, 孫斗煥, 周葉, 楊東浩, 李德柱, 兪鎭植,
李奉昌, 尹奉吉, 柳相根, 崔興植, 李秀峰, 李盛元, 李盛發, 王鐘浩,
李國革, 盧泰榮, 金兢鎬, 金澈
그러나 백범이 그 단원을 발표한 일이 없고, 가명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큰 운동을 일으켜 드러난 경우 이외에는 정확한 단원 구성을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백범 김구는 ‘한인애국단’의 특공작전의 제1호로서, 단원 李奉昌을 일본의 수도 東京에 파견하여 日王에게 폭탄을 던졌으나 폭탄의 성능이 좋지 못하여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한국인 독립운동가가 일본의 수도 東京에 들어가서 일왕을 겨냥한 특공작전을 감행한 사실에 전 세계는 큰 충격을 받았다.
백범은 일제가 128 ‘上海事變’을 일으키어 상해를 점령하자 ‘한인애국단’의 다음 특공작전으로 尹奉吉의 상해 홍구공원 의거를 계획 추진한 것이었다.
Ⅵ. 결론
조선인 단체의 결성 움직임은 유학생의 집결지인 토오쿄오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조선유학생학우회’와는 별도로 1920년에 조직된 ‘조선고학생동우회(이하 동우회)’는 선구적인 단체였다. 물론 이전 시기에도 유학생단체나 친목회, 향우회 등의 성격을 갖는 단체는 있었으나 계층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단체의 성격을 분명히 드러내어 조선인을 결속하고자 한 단체는 ‘동우회’로부터 시작된다. ‘조선유학생학우회’가 이념이나 지향성에 상관없이 모든 유학생이 가입한데 비해 ‘동우회’는 신사조를 받아들인 유학생이 주체가 된 학생과 노동자를 위한 단체였다. 1910년대 말부터 유학생 가운데 고학생의 수가 늘어나면서 경제적인 면에서 노동자와 유학생의 구분은 의미가 없게 되었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재일조선인이 노동자와 학생으로 대별된 상태에서 노동자와 학생의 조직적인 결합은 큰 의미를 갖는다. ‘동우회’는 1920년 결성 당시에는 노동자와 학생의 상호부조, 직업소개, 단결과 자각을 위한 고취 등을 사업목적으로 내걸어 단순한 친목단체 이상의 성격을 나타내지 못했다. 그러나 1922년 2월 4일에 동우회원 12명의 연서로 조선일보에 ‘전국 노동자 제군에 격함’을 발표함으로써 결성 초기에 갖고 있었던 상호부조적인 성격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 선언에서 ‘동우회는 고학생 및 노동자의 구제기관임을 버리고 계급투쟁의 직접적 행동기관임을 선언’함으로써 비로소 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에 근거하여 노동운동을 전개할 것임을 명시하였다.
1921년 11월에는 ‘흑도회’가 결성되었다. ‘흑도회’는 ‘동우회’ 회원이기도 한 박열, 정태성, 백무, 김약수 등이 대삼영, 계리언 등의 무정부주의사상에 공명하여 조직한 단체이다. ‘흑도회’는 1922년 11월에 내부의 사상분화로 인해 무정부주의 단체인 ‘흑우회’와 사상단체인 ‘북성회’로 나뉘어졌다. ‘흑우회’는 기관지를 통해 민족적 무정부주의를 선전하고, 비밀결사인 ‘불령사’를 조직해 테러라는 방법에 의해 조선독립을 달성하고자 했다. ‘북성회’도 또한 민족의 독립과 공산주의적 사상을 보급하기 위해 기관지 척후대를 발간하고, 식민지 조선 각지에 순회 강연단을 파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 단체는 자신들이 견지하는 사상을 보급하는데 주력하는데 급급하여 재일조선인의 민족운동을 주도할 정도의 역량을 갖추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구체적인 민족운동의 움직임은 2.8독립운동 외에는 전무한 상태였다. 그러나 초보적인 단계이기는 하였지만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을 계층을 초월해서 결속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는 사실은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토양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형목(2011) - 윤봉길의 현실인식과 농촌계몽운동,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박희태 외 3명(2011) - 윤봉길 의사의 기백과 충혼 되새기는 계기 되길, 대한민국국회
박희태(2011) - 윤봉길 의사 \'불멸의 혼\' 기리자, 대한민국국회
정경환(2008) - 제1장 윤봉길의 정치사상, 한국민족사상학회
정래혁(1976) - 윤봉길의사와 애국적 희생정신, 국방부
황묘희(2008) - 제5장 윤봉길의 상해의거와 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민족사상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