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유고슬라비아의 사회주의과정 비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과 유고슬라비아의 사회주의과정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김일성과 티토의 체제 확립 과정 비교
(1) 2차 대전 종전 이전의 활약
(2) 2차 대전 이후 정권 장악기
(3) 정권장악 이후
Ⅲ. 티토의 티토이즘과 김일성의 주체사상
(1) 티토이즘-유고슬라비즘,비동맹주의, 자주관리제도
(2) 주체사상
Ⅳ. 결론
출처

본문내용

키고 1989년 ‘우리식 사회주의’를 표방함으로써 구소련의 해체에 대한 대응을 해나간다.
조선민족제일주의 조선민족제일주의라는 개념은 김정일이 1986년 7월 15일 “자기나라 혁명에 충실하자면 무엇보다도 자기 민족을 사랑하고 귀중히 여길 줄 알아야 합니다. 나는 이런 의미에서 우리민족제일주의를 주장합니다.”라고 말한 것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한다. 김창희. 1998. 북한정치사회의 이해. 法文社. 127쪽
는 사상의 주체를 민족으로 제기하지만 ‘민족주의’라는 말 대신 ‘민족자주의식’이라 지칭하면서 우리민족이 제일이라는 강조를 통해 다른 사회주의권 국가가 불안정한 상황이 오더라도 우리민족은 흔들림이 없이 그들과는 다른 민족으로서 우리민족만의 길을 간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이는 또한 신격화된 주체로서 김일성을 볼 때, 김일성의 지도아래에서만이 우리민족이 제일이 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이후 1990년대 들어가면서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들이 붕괴하자 북한은 위기의식에 빠지게 된다. 이에 북한은 사회주의의 문제점을 최소화 시키고 체제의 정당화를 위해 붕괴된 타 국가와 북한의 차별화를 부각시키는 것이 큰 문제로 다가오게 되고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식 사회주의’라는 논리가 나온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바와 같이 유고와 북한 모두 코민포름 분쟁, 소련의 정세변화 등 강대국에 의해 일어난 역사적 사건으로 체제변화를 겪자 이에 따른 사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티토이즘은 티토의 사망 후 거의 존재가 사라지는 현상을 보인다. 1980년 5월 티토 사망 후 불거진 코소보 내 알바니아인들의 폭동은 유고슬라비즘이 추구했던 이념과 일맥상통하는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이는 생전 티토의 정권 장악에서 보여준 그의 카리스마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북한의 김일성 역시 그에 대한 두려움이 기반 된 주체사상이 국민을 압도할 수 있었기에 가능했던 사상임을 알 수 있다.
즉, 두 사상 모두 체계화 과정이 국내외 변화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인물의 카리스마가 뒷받침된 사상으로 강압적인 국가운영을 했다는 공통점을 보이나, 티토는 사후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였고 김일성은 사상적 영향력이 아들 김정일로 이어지면서 지금도 유지되고 있다는 차이점을 보임을 알 수 있다.
Ⅳ. 결론
2차 대전 이후 많은 국가들이 생존을 위한 체제변화를 겪을 때, 정치문화적 측면에서 북한과 유고는 여러 유사점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유사점을 살펴보면 그 속에 숨겨진 민족들 간의 이질성을 발견할 수 있다. 소련을 등에 업은 채 등장한 김일성과 파르티잔 조직의 일원으로 직접적인 공산당 활동에 가담한 티토 모두 초기 국가 건설에 스탈린의 사회주의 체제가 기반이 되었으나, 북한은 남한과의 대화단절을 야기했고 유고는 티토사후 코소보 분쟁을 비롯한 민족 분쟁을 낳았다.
실제 유고는 1948년 스탈린과의 주도권 싸움에서 비롯한 코민포름 축출로 국가 정책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고, 북한은 1950년 한국전쟁으로 수많은 민족손실과 해외의 지탄을 받으며 정치적으로 고립되는 현상을 겪게 되었다. 이는 스탈린이 사망하자 그들의 국제적 위치에도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 예상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은 김일성과 티토가 그들만의 사회주의 노선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고 자주적인 민족 정책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유고는 코민포름 축출 이후 정치외교군사적으로 국제적인 고립을 겪게 되면서 분열된 민족을 통합하기 위한 정책으로 유고슬라비즘, 외교적 대안으로는 비동맹주의 그리고 경제정책으로 자주관리 제도를 만들어 유고식 사회주의체제를 마련하였다. 북한은 스탈린 사망 후 정세 변화를 우려하여 소련파를 숙청하면서 그의 무자비한 행동에 두려움을 느끼는 북한민의 심리를 이용하여 무조건적인 복종을 이끌어내기 위해 자기신격화를 통한 주체사상이라는 김일성만의 사상체계를 이룩한다. 이러한 티토와 김일성의 사상은 각기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사회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 곧 그들의 사상에 따라 두 인물의 사회주의화 과정에도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고 이는 경제사회적인 면에서 그들 국가의 특색을 권위주의, 전체주의로 보이게끔 만들기도 하였다.
공산당 활동을 통해 축적된 그들의 사상적 특징을 이용한 사회주의화 과정은 모두 당시 상황에 맞도록 조금씩 그 이론을 변형시켰고, 이렇게 변형된 이론은 이들 현 국가의 정책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통해 역사적인 상황과 지도자의 사상은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곧 국가의 모습을 그리는데 일조함은 북한과 유고의 사회주의화 과정을 비교하는데 있어 그 의미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김남식. 북한의 사회체제와 이데올로기의 변천. 북한연구소. 1977
김영수. 북한의 주체사상. 서울: 서울프레스. 1994
김창희. 북한정치사회의 이해. 法文社. 1998
김철민. 한국전쟁과 동유럽. 아카넷. 2008
―--―. 코민포름 분쟁(1948)에 대한 유고슬라비아의 시각과 대응전략. 슬라브연구. 제 8권 제1호. 2002
―--―. 티토의 민족정책: 유고슬라비즘(Yugoslavism: Jugoslavizam)의 적용과 실패. 동유럽연구. 제6권. 1997
―--―. 티토의 외교정책, 비동맹주의(Non-alignment) 수립배경에 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997
―--―. 티토[Tito]하의 유고슬라비아에 관한 연구[1]: 코민포름 분쟁[1948]의 배경의 그 영향. 동유럽연구. 제9권. 2000
권혁재, 김철민. 유고슬라비아 역사. 한국외국어대학교. -
도흥렬. 김일성 정권. 남북문제연구소. 1993
서대숙.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 . 청계연구소. 1989
통일연구원. 북한의 맑스-레닌주의와 주체사상 비교연구: 체제형성에 미친 영향과 개혁·개방의 논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2
한국자유총연맹. 북한 주체사상의 본질과 실제.. 한국자유총연맹. 1989
호르바트 브란코. 강신준 역. 자주관리제도. 풀잎. 1984
Jasper Ridley. 유경찬 역. 티토-위대한 지도자의 초상. 을유문화사. 2003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3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