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의 영향, 과학기술의 낙관론과 비관론,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의 현황,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의 연구관리제도,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와 테크노경영대학원, 국제화사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기술의 영향, 과학기술의 낙관론과 비관론,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의 현황,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의 연구관리제도,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와 테크노경영대학원, 국제화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과학기술의 영향
1.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2. 사고방식에 미치는 영향
3. 윤리적인 문제에 미치는 영향
4. 과학 기술이 창출한 가치 갈등 문제

Ⅲ. 과학기술의 낙관론과 비관론

Ⅳ. 과학기술과 경제

Ⅴ.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의 현황

Ⅵ.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의 연구관리제도
1. 개요
2. 세부제도
1) 연구책임자의 자율권 강화
2) 연구비 관리의 중앙화
3) 연구비 집행의 분권화
4) 전산운영체제 완비
3. 연구비 관리체계의 개선

Ⅶ.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와 테크노경영대학원
1. 학문적 수월성을 지향하는 학석박사과정(BS/ME/Ph.D.)
2. 실용적 경영교육을 강조하는 특수전공(MBA program)
3. 특수전공 석사과정(MBA Track)의 전공분야
1) 기술경영전공(Technology Management: Techno-MBA)
2) 경영정보전공(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MIS - MBA)
3) 정보통신경영/정책전공(Telecommunication Management and Policy: Telecom-MBA)
4) 금융공학전공(Financial Engineering: FE-MBA)
5) 환경경영 및 정책 전공(Green Management and Policy : Green-MBA)
4. 비학위과정
1) 최고정보경영자과정(AIM)
2) 정보통신복합과정(ITSP)
3) 최고벤처경영자과정(AVM)
5. 연구센터(Research Centers)

Ⅷ.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와 국제화사업
1. 기본목표
2. 추진방향
3. 국제 교류체제 구축을 위한 최근 3년간 본 사업팀 참여교수의 활동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년 15명, 장기초빙 년 5명
(본 사업팀은 단기초빙 3명, 장기초빙 1명으로 추진 예정임.)
국제학술회의, 공동 Workshop/Seminar 개최 및 참가 :
전공분야별로 개최 연례화 및 적극 참가 권장
학생교환사업 강화 :
. 상대국 역사, 교육제도, 생활 문화에 대한 상호이해 증진
. 선진교육제도와 교육경험의 습득 및 최근 학문 추세와 연구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해 줌으로써 국제적 식견과 안목과 실력을 갖춘 인재로 양성
. 외국교환학생을 통한 KAIST 대외 이미지 제고
. 상호 대학간의 협력 및 이해 증진
(단위 : 명)
년 도
유치
파견
\'07
-
4
\'08
15
7
\'09
9
27
\'10
18
64
\'11
12
68
\'12
1
55

50
220
학생교환사업 실적
외국인학생 유치 확대 :
- 목적
. 캠퍼스 국제화에 기여
. 국내 외 학생간의 교류 및 이해 증진
.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 및 생활을 간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향후 외국인 졸업생의 활동을 통한 KAIST의 국제적 위상 제고
외국어 교육 강화 :
- 석 박사과정의 영어강의 과목을 확대하고 세미나를 주기적으로 영어로 진행
- 외국인학생의 폭 넓은 수용을 위한 영어강의교과목 확대
(총 개설교과목의 30% 목표)
국제공동연구사업 강화 :
- 선진과학기술의 기반과 연구기술을 이용하면서 상호보완적 기술 개발과 연구능력제고
- 첨단과학기술개발 및 선진기술습득에 필요한 국제공동연구사업을 제도적재정적으로 적극 지원 : 국제공동연구기금 마련 등
- 정부에서 지원하는 Brain Pool제, 외국전문가 초청 사업 등을 적극 활용하여 국제공동연구 수행
3. 국제 교류체제 구축을 위한 최근 3년간 본 사업팀 참여교수의 활동
학술교류
Post Doc
교류
해외교수
단기초빙
영어강의
개설 현황
내용
① 미국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와 기술협력 각서 교환
(1996.6)
② 제 3회 한-일 공동세미나 개최(KAIST-일본동경공업대학)
(1998.7)
③ Core University Program
-원자로 재료의 방사선 조사 영향 연구에 관한 공동세미나 개최,
일본 Tohoku University, Kyoto University등 12명 KAIST초청 강연
(1999.1)
④ Physor 2002 : ANS(American Nuclear Societ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New Frontiers of Nuclear
Technology 유치
졸업생의 외국 Post Doc. 연수: 1
외국인의 Post Doc. 초청: 1
4명(1998 - 현재)
1999년부터 단계별로 확충, 전 강의의 10%를 영어로 강의할 계획
Ⅸ. 결론
과학과 기술은 상호작용을 통해서 신기술을 창출한다. 신기술 가운데서 특별히 깊게 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신기술이 첨단기술이라 하겠다. 과학 중에서도 물리학을 바탕으로 하는 첨단기술이 본 개발연구의 대상이 되겠는데, 생물학을 기반으로 하는 genomics, 화학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plastic 등 과학을 바탕으로 하는 첨단기술은 여러 분야에 있다. 깊은 물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첨단 기술 역시 여러 가지가 있어서 본 연구에서 대표적인 그들 기술을 살펴보고,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이들 기술은 모두 물리학의 이론과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한 예로써 plasma nuclear fusion을 들어보면, plasma instability 이론이나 실험으로 소형 Tokomak에서는 다 해결되었으나 대형 Tokomak에서는 다시 문제가 제기되어서 국제 plasma 핵융합 원자로(International thermonuclear engineering reactor, ITER) 사업은 전면적인 재검토 내지 폐기하는 처지에 이르게 되었다. 일본만이 유독 이 사업을 소형으로 수정해서 계속 추진할 것을 주장하고 있는 형편이다. Plasma instability 이론은 매우 심오하고 실험장치도 거대한 경우가 많다. Plasma nuclear fusion 즉 magnetic confinement nuclear fusion(자기구속 핵융합)과 나란히 신기술로 등장하고 있는 핵융합기술이 또 하나 있으며, 흔히 laser fusion으로 부르고 있으며, inertial confinement fusion(ICF)(관성구속 핵융합)라 부르기도 한다. 이 신기술 역시 아직 미숙한 단계에 있는데, 소위 ignition(점화)문제와 ignition frequency가 그 중심에 있다. Ignition frequency는 10Hz이상이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이 조건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레이저 펄스는 짧은 시간 폭을 지니고 있는데, 이 시간대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서, 이 반응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핵물질을 연소시켜나가야 하는데 이 점화 연소과정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고 많은 과학자 기술자들의 연구가 집중되어있다. 20세기에 인간이 이룩한 첨단기술 중의 하나가 되는 광통신은 soliton 통신으로 더 높은 첨단기술로 발전하겠는데 여기에는 광섬유의 손상(損傷)문제가 따라온다. Soliton 통신은 비선형광학 효과를 이용하고 있으며 여기에 비교적 센 레이저 광파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서 새로운 광파이버 연구가 물리학자, 재료과학자들 사이에서 추진되고 있다. 이들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첨단기술로서 지극히 중요시되는 곳에 해결해야할 중요한 문제들이 개재하고 있으며 다 물리학자들의 활발한 연구를 기대하고 있다.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근현대와 과학기술과 삶의 변화, 두산동아, 2005
- 박준우, 과학기술 발전의 발자취, 자유아카데미, 2009
- 이장재, 현병환 외 1명, 과학기술정책론, 경문사, 2011
- 최경희, 과학기술로 세상 바로 읽기, 북스힐, 2011
- 홍성욱,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 기술, 문학과지성사, 1999
- 홍병선, 최현철, 과학기술과 철학의 만남, 연경문화사, 2011

추천자료

  • 가격7,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