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놀이(가면극, 탈춤)의 역사, 탈놀이(가면극, 탈춤) 춤사위, 탈놀이(가면극, 탈춤) 공연방식, 탈놀이(가면극, 탈춤)과 탈춤학습(탈놀이학습), 탈놀이(가면극, 탈춤)과 언어매체, 탈놀이(가면극, 탈춤)과 고려시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탈놀이(가면극, 탈춤)의 역사, 탈놀이(가면극, 탈춤) 춤사위, 탈놀이(가면극, 탈춤) 공연방식, 탈놀이(가면극, 탈춤)과 탈춤학습(탈놀이학습), 탈놀이(가면극, 탈춤)과 언어매체, 탈놀이(가면극, 탈춤)과 고려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탈놀이(가면극, 탈춤)의 역사

Ⅲ. 탈놀이(가면극, 탈춤)의 춤사위
1. 수영들놀음의 덧배기춤
1) 어름새(重․平)
2) 배김새(重․動․跳․屈)
3) 풀음새(輕․平․回)
2. 동래들놀음의 덧배기춤
1) 어름새(重․平․跳)
2) 배김새(重․動․跳․屈)
3) 풀음새(輕․平․回)
3. 통영오광대의 덧배기춤
1) 어름새(重․跳․屈)
2) 배김새(輕․跳․屈)
3) 풀음새(重․屈․波)
4. 고성오광대의 덧배기춤
1) 어름새(重․跳․擧)
2) 배김새(重․動․跳․屈)
3) 풀음새(輕․平․回)

Ⅳ. 탈놀이(가면극, 탈춤)의 공연방식
1. 상연시기와 시간
2. 탈판
3. 대사․노래
4. 반주악기

Ⅴ. 탈놀이(가면극, 탈춤)와 탈춤학습(탈놀이학습)

Ⅵ. 탈놀이(가면극, 탈춤)와 언어매체
1. 작명법
1) 수영들놀음
2) 동래들놀음
3) 통영오광대
4) 고성오광대
2. 말하기 방식
1) 말뒤집기
2) 과시와 폭로

Ⅶ. 탈놀이(가면극, 탈춤)와 고려시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섣달 그믐날 궁중과 민간에서 탈을 쓴 사람들이 일정한 도구를 가지고 주문(呪文)을 외치면서 귀신을 쫓는 동작을 하여, 묵은 해의 잡귀를 몰아내던 의식이다. 고려 말에는 점차 나례에서 구역의식(驅疫儀式)보다 잡희부(雜戱部)가 확대되면서 나례가 잡희인 나례희(儺禮戱), 즉 나희(儺戱)로 인식되어 갔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해져서 본말(本末)이 전도된 느낌이 든다. 조선조 문종실록(文宗實錄) 즉위년 6월 10일 조에 의하면 중국의 사신을 영접할 때도 나(儺)를 쓴다고 되어 있다. 이 때의 나(儺)는 구역의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나례에 동반되었던 잡희, 즉 나희를 가리킨다. 중국사신의 영접에도 나례에서 연행하던 잡희인 나희를 그대로 가져와서 공연했기 때문에 나(儺)라고 한 것이다. 중국사신을 영접할 때 연행하던 이러한 연희는 원래 일반적으로 산대희라고 부르던 것이다.
고려 말 이색(李穡 : 1328~1396)의 한시 <구나행>(驅儺行)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반부(1구~14구)는 12지신(支神)과 진자(子)들이 역귀를 쫓는 의식을 묘사하는 내용이고, 후반부(15구~28구)는 구나의식이 끝난 후 놀이꾼들이 각종 잡희를 연행하는 내용이다. 후반부에서는 오방귀무(五方鬼舞)사자무(獅子舞)서역의 호인희(胡人戱)처용무불 토해내기(吐火)줄타기(步索)칼 삼키기(呑刀)인형극백수희(百獸戱) 등의 놀이를 묘사한다.
오방귀(五方鬼) 춤추고 사자(獅子)가 들뛰며
불을 뿜어내기도 하고 칼을 삼키기도 하네.
서쪽 하늘의 정기인 오랑캐가 있는데
검기도 하고 누렇기도 한 얼굴에 눈은 파란 불빛이네.
그 중의 노인이 등은 구부정하면서도 키가 큰데
여러 사람들 모두 남극성(南極星)이 아닐까 놀라고 감탄하네.
강남의 장사꾼은 오랑캐말 씨부렁거리며
나아갔다 물러났다 가볍고 빠르기 바람 속의 반딧불 같네.
신라의 처용은 칠보 장식을 했는데
머리 위의 꽃가지에선 향기로운 이슬 떨어지네.
긴 소매 이리저리 흔들며 태평무를 추는데
불그레히 취한 얼굴은 아직도 다 깨지 않은 듯.
누런 개가 방아 찧고 용은 구슬 다투고
온갖 짐승 더풀더풀 춤추니 요임금 시절 궁정 같네.
인용문은 구역(驅疫)이 끝난 뒤의 내용을 읊은 것이다. 즉 나희(儺戱)이다. 이 가운데 제일 처음 나오는 ‘오방귀무’(五方鬼舞)는 이미 중국의 나례에서도 발견된다.
중국과 한국의 나례에서 모두 오방귀(五方鬼)가 보이는데, 특히 <구나행>에서는 후반부의 첫구절인 15구에 오방귀의 춤이 설정되어 있다. 후반부(15구~28구)는 각종 잡희를 연행하는 내용인데, 그 첫부분에 오방귀무(五方鬼舞)가 있는 것이다. 이 춤은 성현(成俔 : 1439~1504)의 악학궤범(樂學軌範)에 나례에서 연행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는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의 오방처용무(五方處容舞)와 함께, 현존하는 탈놀이의 오방신장무과장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구나행>에서는 오방귀무가 잡희의 첫부분에 설정되어 있으면서, 잡귀를 쫓고 놀이판을 정화하는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런데 이 춤에 나오는 오방귀가 어떤 의상과 탈을 쓰고 나왔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인 서술이 없어 알 수 없으나, 악학궤범에 의하면 나례에서 오방처용이 다섯 방위를 상징하는 청(靑)적(赤)황(黃)백(白)흑색(黑色)의 의상에 처용의 탈을 쓰고 사방의 잡귀를 물리치는 춤을 추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구나행>의 오방귀도 각기 다섯 방위를 상징하는 색의 의상과 탈을 쓰고 나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진주오광대마산오광대가산오광대 등의 탈놀이에 나오는 오방신장무가 탈놀이의 첫과장에 설정되어 있고, 동남중앙서북의 다섯 방위를 맡은 다섯 신장이 각 방위의 색을 나타내는 청적황백흑색의 탈과 의상을 착용하고 나와서 춤을 추면서 사방의 잡귀를 쫓고 놀이판을 정화하는 의식무의 성격을 띠고 있는 점을 주목해 보자. 탈놀이의 오방신장무는 고려 말 나례에서 연행되던 오방귀무(五方鬼舞) 및 조선시대의 나례에서 연행되던 오방처용무와 그 성격기능의상 등에서 매우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그러므로 탈놀이의 오방신장무는 나례의 오방귀무와 오방처용무의 영향 아래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색의 <구나행>에 소개된 나희에 동원되었던 놀이꾼들이 전문적 놀이꾼이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고려시대에 전문적 놀이꾼에 의해 오방귀무처용무사자춤 등 탈을 쓰고 추는 춤이 있었으며, 이 놀이가 이들에 의해 조선시대까지 계속 전승되었던 것이다.
한편 고려사(高麗史) 권 제124 전영보(全英甫)전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탈을 쓰고 놀이하는 사람을 광대(廣大)라고 불렀다고 한다.
충숙왕(忠肅王)이 원나라에 체류할 때에 심왕(瀋王) 고(暠)가 왕위를 빼앗아 보려고 모략하였고 간신들이 이와 결탁하였다. 충숙왕이 박인평(朴仁平)을 보내어 재상들에게 전달하기를 “옛날에 작은 광대가 큰 광대를 따라서 강을 건너가려는데 나룻배가 없었다. 그때 작은 광대가 여러 큰 광대에게 말하기를 ‘나는 키가 작아서 물의 깊이를 알기 어렵다. 그대들은 키가 크니 앞서서 수심을 재어 보라!’고 하니 모두 다 그렇게 하자하고 물에 들어가서 다 빠져 죽고 작은 광대만 남았다. 지금 우리나라에 작은 광대 두 사람이 있는데, 그것은 전영보(全英甫)와 박허중(朴虛中)이다. 나를 위험한 곳에 두고 태연하게 앉아서 구경하고 있으니 이것과 무엇이 다른가.”라고 하였다.
우리나라 말로 탈을 쓰고 놀이하는 자를 광대라 한다.
인용문의 마지막 문장은 탈을 쓰고 놀이하는 사람을 광대라고 불렀다는 편자(編者)의 설명이다. 그러므로 고려시대에 민간에 전문적으로 탈을 쓰고 노는 탈놀이가 있었고, 그 전문적 놀이꾼을 ‘광대’라고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슬기, 탈춤과 노오(能)의 민족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8
박하정, 탈춤에 내재된 유희적 성향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5
박문용, 조선후기 탈춤의 생성 배경과 예능적 특성 연구, 중앙대학교, 2002
박진태, 한국과 티베트의 탈춤의 비교, 우리말글학회, 2004
임재해, 한국 탈춤의 전통과 아름다움 재인식, 비교민속학회, 2008
임재해, 탈춤 기원론의 쟁점과 상고시대 탈춤문화의 뿌리, 한국민속학회, 2009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