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특징, 역사,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구성, 교육적 효과,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지도, 연,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와 연싸움, 방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특징, 역사,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구성, 교육적 효과,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지도, 연,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와 연싸움, 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특징

Ⅲ.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역사

Ⅳ.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구성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교육적 효과

Ⅵ.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지도
1. 지도 단계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2. 자료 및 유의점
3. 지도효과

Ⅶ.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와 연

Ⅷ.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와 연싸움

Ⅸ.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방법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유의점
1) 꼭지연
2) 반달연
3) 치마연
4) 동이연
5) 초연
6) 박이연
7) 발연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싸움 구경꾼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고 한다. 보름날이 지나면 다시는 연을 날리지 않았으며, 이후로 연을 날리면, \'고리백정\'이라 하여 욕을 하였다고 한다.
우리 나라의 연은 대부분이 직사각형 모양의 \'방패연\'과 마름모꼴의 \'가오리연\'으로 나뉜다. 만드는 방법은 대를 가늘게 쪼개 뼈대를 만들고, 종이를 모양새에 맞게 오린 다음 그곳에 대를 교차하여 붙인다. 그 위에 자신이 원하는 무늬를 그리거나 색칠하여 연을 꾸미고, 귀퉁이와 가운데 댓가지에 줄을 달아 가운데에서 균형을 맞추어 매듭을 짓는다.
Ⅷ.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와 연싸움
종이에 댓가지를 가로세로 또는 모로 엇맞추어 붙이고 실로 벌이줄을 매어 공중에 날리는 아이들의 장난감. 지연(紙鳶) 또는 풍연(風鳶)이라고도 한다. 신라 선덕여왕 말년에 김유신이 밤에 풍연에 불을 달아 하늘로 올려 민심을 수습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그 후 고려의 명장 최영(崔瑩)이 제주도를 정벌할 때, 연을 이용하여 적성(敵城)을 함락시켰다는 전설이 있다.
연을 만드는 재료는 대[竹]와 종이로, 대는 통상 고황죽(枯黃竹)백간죽(白簡竹)을 사용하며 종이는 백지창호지 등을 사용한다. 연줄은 상백사(常白絲:한국산 명주실)당백사(唐白絲:중국산 명주실)떡줄(무명실) 등을 사용한다. 요즈음은 질긴 화학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연줄은 부레뜸이나 풀뜸을 하는데, 이것은 부레 또는 풀을 끓인 물에 사기가루나 유리가루를 타서 실에 올리는 것으로 가미라고 하며 또 가미 먹인다고 한다. 얼레는 지방에 따라 자새 또는 감개라고도 한다. 연날리기는 지금도 행하여지는 민속놀이로, 오락성과 민속신앙적인 양면성을 지닌다.
먼저 민속신앙적인 놀이로는 액막이 연날리기 를 들 수 있는데, 옛날부터 정월 대보름날이면 연에 厄자 또는 送厄이라 써서 높이 날려 보냄으로써 액을 쫓아보낸다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 다음 오락적인 것으로는 연싸움이 있는데, 두 사람 이상이 연을 높이 띄우고 서로 연줄을 걸어 풀었다감았다 하면서 상대편의 연줄을 끊어 연을 날려보내는 놀이로, 지금도 매년 열리는 연날리기대회에서는 연싸움이 벌어진다.
Ⅸ.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방법
1. 방법 및 활동 내용
연날리기는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날에 걸쳐 연을 띄워 보내는 놀이로서 厄鳶을 띄운다 하여 연 위에다 送厄, 送厄迎福 등의 글자를 써서 높이 날리고 실을 끊어 날려 보낸다.
연날리기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많이 하였으며 서로의 연줄을 닿게 하여 남의 연줄을 끊는 연싸움도 즐겼다. 따라서 연싸움을 즐기는 사람은 연줄에 돌가루, 구리가루, 사기가루 등을 발라 다른 사람의 연줄을 잘 끊도록 하는데 이것을 갬치 먹인다고 한다.
2. 유의점
연(鳶)을 지연(紙鳶), 풍쟁(風爭), 풍연(風鳶)이라고도 하는데 크게 7가지로 나눈다.
1) 꼭지연
연의 이마 가운데에 원형의 색종이를 붙인 것으로 색종이의 색깔에 따라 먹꼭지, 청꼭지, 홍꼭지, 금꼭지, 쪽꼭지 등으로 나눈다.
2) 반달연
연의 이마에 반달형의 색종이를 붙인 것으로 먹반달, 청반달, 홍반달, 임반달, 쪽반달 등으로 나눈다.
3) 치마연
상반부는 희고 하반부는 색깔이 다른 것으로 그 하반부의 색깔에 따라 먹치마, 청치마, 홍치마, 황치마, 보라치마, 2동치마, 3동치마, 4동치마 등으로 나눈다.
4) 동이연
연의 머리나 허리를 동인 것으로 그 동이는 색깔에 따라 먹머리동이, 청머리동이, 홍머리동이, 보라머리동이, 반머리동이, 실머리동이, 눈깔허리동이, 허리동이, 눈깔머리동이, 등으로 나눈다.
5) 초연
연의 꼭지 이외의 전체 부분을 한 색깔로 칠한 것으로 그 색깔에 따라 먹초, 청초, 홍초, 황초, 보라초 등으로 나눈다.
6) 박이연
연의 전체나 부분에 돈점(錢點)이나 눈깔, 긴코 같은 모양을 박은 것으로 그 모양에 따라 돈점박이, 긴코박이, 귀먹어리 장군, 눈깔 귀머리장군, 코박이 등으로 나눈다.
7) 발연
면의 맨 아래나 좌우 가장자리에 발(足)같은 것을 붙인 것으로 발의 모양에 따라 4족발, 국수발, 지네발 등으로 나눈다.
참고문헌
심우성 - 연날리기, 세대사, 1974
이종묵 - 문화 : 정월 대보름 연날리기, 남명학회, 2012
이상호 - 전래놀이 101가지, 사계절, 2011
황정숙 - 한국과 일본의 설날 유아 전통놀이 비교, 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 - 우리의 놀이문화 원형을 찾아서67 - 연날리기, 아툰즈, 2007
한승희 외 1명 - 민속놀이교실활동,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94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