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개념, 특성,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필요성, 범위,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기능,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역할,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영향요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개념, 특성,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필요성, 범위,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기능,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역할,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영향요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개념

Ⅲ.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특성

Ⅳ.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필요성

Ⅴ.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범위

Ⅵ.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기능

Ⅶ.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역할

Ⅷ.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영향요인
1. 정치적 환경
2. 정부의 태도
3. 시민단체의 내부역량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NGO 없는 문제해결은 사실상 어렵다는 중요한 결론을 얻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UN을 설립할 당시 UN헌장은 \'정부간 협정으로 설립된 것이 아닌 국제단체\'라고 정의되는 NGO의 존재와 기능을 인정하고 UN헌장 제71조를 통해 ECOSOC로 하여금 특별협정의 체결을 통해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춘 NGO에게 협의적 지위를 부여하는 권한을 주었다.
총회의 주요 위원회들과 산하 위원회들에 NGO들이 비공식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많은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NGO들은 총회의 특별회의들에서도 활발히 참여해 왔다. 예컨대 지구촌 환경을 다루는 19차 특별회의인 \'아젠다 21\' 회의에는 1천여 NGO들이 참여하기도 했고, 20차 특별회의인 마약남용과 밀거래 회의에는 ECOSOC 혹은 DPI와 공식 관계를 갖고 있지 않은 NGO들이지만 UN의 국제마약통제 프로그램과 관련되거나 그 프로그램에 참여단체 목록에 포함된 NGO들은 모두가 공식적으로 회의에 참여해서 조언하는 특별한 권한을 갖기도 했다.
이 조직의 목적은 구체적으로 이들의 협의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 최대한의 기회와 적절한 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협의과정에 있어서 토론장을 제공하며 공동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일에 대한 견해를 교환하는 것이다.
NGO와의 관계를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UN의 정책결정에 NGO의 투입을 고려한 것이라기보다는 NGO의 정보전파 기능을 이용한다는 측면이 크게 고려된 것이다. 1946년 UN에 DPI가 신설되었을 때, UN의 총체적인 정보활동의 일환으로서 UN이 NGO와 함께 그리고 NGO를 통해 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있었다. 그 결과 UN총회의 결의안 13(I)s는 DPI로 하여금 UN에 관한 정보를 전파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든 종류의 조직, 구체적으로 개개 국가의 정보센터, 교육기관, 정부기구 및 NGO들을 지원하고 격려할 것을 지시했다. 1968년 ECOSOC는 결의안 1297을 통해 DPI에게 NGO와 공식적인 관계를 맺을 것을 요청했다. 현재 1,500개가 넘는 NGO가 DPI와 공식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데, DPI와 관계를 맺기 위한 조건으로서 NGO는 UN 헌장의 이념을 같이 하고, 비영리적으로 운영되며, UN의 이슈에 관심이 있을 것, 그리고 대규모 혹은 전문화된 대중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해야 하고, UN활동에 관한 효율적인 정보전파를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할 관심과 수단을 겸비해야 한다.
NGO들은 UN-NGLS(Non-Government Liaison Service)를 통해서도 UN과 연계되어있다. NGLS는 뉴욕과 제네바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UN의 중개기관으로서 개발문제 및 이와 관련되어 UN 내에서 검토되고 협상의 대상이 되고 있는 문제들에 관해 UN체제의 기구들과 NGO 사이에 상호이해와 대화, 그리고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1975년 설립된 기관이다.
무역과 개발에서의 국제적인 협력이 세계 경제성장과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에 핵심이라는 확신에서 UN 총회가 창설한 조직으로, 거의 모든 UN 회원국들(188개국)이 가맹되어 있다. NGO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공식적인 내용은 주로 UNCTAD 이사회가 결정하고 있다. 이사회의 활동 전반에 걸쳐 특정한 기능을 하는 NGO들이 \'일반적 지위\'를 부여받은 NGO들이며, UNCTAD의 특별한 영역에서 특별한 자문을 주는 역할을 하는 NGO들이 \'특별한 지위\'를 가진 NGO들이다. 일반 지위 NGO 95개, 특별지위 NGO 82개가 있다. 또한 특정 국가의 NGO들은 해당국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로스터\' 자격을 부여받는다. 이 같은 NGO들의 협의자격은 이사회가 결정한다.
1965년에 설립된 조직이지만 NGO와의 소규모, 임시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와서 가능했다. 특히 1986년에 운영위원회가 NGO들과의 접촉 필요성을 강조한 결의를 하기도 했지만, UNDP는 NGO들과의 관계를 공식적인 규정 등으로 정해두고 있지는 않다. 필요에 따라 수시로 특수 영역별로 NGO들과 협의를 약정하는 형식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972년 스톡홀름의 \'인간환경\' 글로벌 회담이 개최된 결과로써 창설된 조직으로 그 후 \'환경 적으로 건전한 개발\'에 주력해 오다 1992년 리우 \'환경과 개발\' 회담(UNCED)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하였다. UNEP와 파트너가 되는 NGO들은 주로 환경 NGO들이지만, 비환경 NGO들과 지역 사회 단체들도 있다. 환경 NGO들은 UNEP의 운영위원회에 참석해서 의견을 개진하며 일부 NGO들은 UNEP와 조사업무를 공조해서 결과를 공동 출간한다.
1945년 UNESCO가 창설되던 당시의 헌장에 NGO와의 관계가 공식적으로 명시되어 오다가 1960년 UNESCO 총회에서 일련의 규정들이 채택됨으로써 공식적인 제도화가 일찍이 완결되었다. 이어서 1995년에는 새로운 규정들이 새로 채택되어 과거 규정들에서 관료적 요소를 제거하고 현장 중심으로 지역사회단체들과의 직접적인 관계 개선에 주력해 왔다.
UNHCR은 난민캠프 등의 현장 중심으로 NGO들과 직접적인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약 500여 개에 달하는 NGO들이 이 같은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2억 7,200만 달러에 이르는 931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131개국의 443개 NGO들이 참여했었다. 특히 500여 NGO들이 참여해서 UNHCR과의 \'행동 파트너십\'을 구축해서 기본적인 파트너십 관계의 개념, 필요성에 합의했고, 난민프로그램의 기획과 집행 등의 가이드라인 등에 합의하였다.
참고문헌
금창호, 권오철, 지방의회와 시민단체간 발전적 관계정립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6
김준기, 한국 시민단체의 내부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김태룡 외 1명, 시민단체에 대한 행정학자의 참여 평가, 한국행정학회, 2007
데니스 디건 저, 최윤희 역, 시민단체 다루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임재형, 한국의 공공분쟁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개입이 분쟁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2007
최낙관, 시민단체의 정치참여와 개혁, 자유기업원, 2004
  • 가격6,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8.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4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