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구조][제조업][제조기업][기업]제조업(제조기업)의 자본구조, 제조업(제조기업)의 생산구조, 제조업(제조기업)의 소유구조, 제조업(제조기업)의 고용구조, 제조업(제조기업)의 체화지식흐름구조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조업 구조][제조업][제조기업][기업]제조업(제조기업)의 자본구조, 제조업(제조기업)의 생산구조, 제조업(제조기업)의 소유구조, 제조업(제조기업)의 고용구조, 제조업(제조기업)의 체화지식흐름구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조업(제조기업)의 자본구조
1. Kester의 연구
2. Tittman 과 Wessels 의 연구
3. Barton 과 Gordon 의 연구
4. Baskin의 연구

Ⅱ. 제조업(제조기업)의 생산구조
1. 제조업 요소 투입 구조 분석
2. 기업 특성별 경영 구조 분석

Ⅲ. 제조업(제조기업)의 소유구조
1. 소유구조 현황
2. 회귀분석결과

Ⅳ. 제조업(제조기업)의 고용구조
1. 제조업 고용구조 변화의 국제비교
2. 기업규모별 제조업 고용구조변화의 특징

Ⅴ. 제조업(제조기업)의 체화지식흐름구조
1. 분석자료
2. 절대량 기준 지식흐름구조 변화의 특성
1) 네트워크의 체계적 연계성
2) 절대량 기준 지식흐름구조의 특성
3. 상대량 기준 지식흐름구조 변화의 특성
1) 네트워크의 체계적 연계성
2) 상대량기준 지식흐름구조의 특성
4. 체화기술지식의 흐름에 따른 산업유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 제품의 개발이나, 공정혁신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지식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넷째, 각 네트워크의 위계 정도(특정산업을 중심으로 얼마나 집중화 되었는가를 판단)를 파악하기 위한 중심화 지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흡수 측면에서 각 네트워크의 중심화 지수는 완만히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 산업(식음료, 섬유 등)과 자동차산업의 전체 네트워크에서 상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방출 측면에서는 지수값이 흡수측면에 비해 작은데 이는 소수 산업에 의해 그 중심적인 역할이 점유된 것이 아니라 여러 산업에 의해 점유된 경우이며 또한 80년대 후반 이후 지수값의 급격한 상승을 보이고 있는데 여러 중요 산업 중에서 몇 개의 중심산업들(염료도료, 산전, 유리 산업, 공작기계, 정밀기계)의 연계수가 급증한데 기인한다. 특히 이들 산업은 소재부문, 전기부문, 정밀부문으로 많은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기술지식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을 종합하여 전체적인 특성을 요약하면, 한국 제조업의 산업간 체화기술지식의 흐름구조는 우선 지식의 방출과 흡수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방출부문은 중요 중심산업이 다수인 다중심적 구조(multi-central outflow structure)로, 흡수부문은 전통적 산업(식음료, 섬유산업)의 지속적인 지식의 흡수와 성장산업(자동차, 가전, 반도체 등)의 다양한 산업으로부터의 흡수라는 二重構造(dualistic inflow structure)로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3. 상대량 기준 지식흐름구조 변화의 특성
1) 네트워크의 체계적 연계성
특정산업에서 여러 산업으로의 체화기술지식의 흐름량의 비율을 가지고, 전체 네트워크의 변화를 고찰한다. 이러한 분석은 제조업의 산업간 관계를 相對的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즉, 횡단면적 측면에서 그 구조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상대적 흐름량을 기준으로 한 연도별 네트워크의 밀도는 크게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또한 기준값 별로 밀도나 표준편차가 크게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는 기존의 공급자-사용자 관계를 유지,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절대량 기준의 분석과 비교하면, 기존의 산업간 관계를 기본적으로 유지하면서, 특정산업들의 지식방출이나 흡수가 보다 강화되는 형태로 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상대량기준 지식흐름구조의 특성
체화기술지식의 상대적 흐름량(기준값:0.3)을 기준으로 각 연도별 네트워크는 우선 지식의 방출측면에서 네트워크의 구조를 살펴보면 절대량 기준의 구조와 유사하나(지식 방출산업이 매우 다양하게 분포), 상대량 기준의 경우가 방출산업의 수(부문 중심성 지수가 1이상인 산업)가 더 많으며 그 크기에 있어서는 매우 비슷한 값을 갖는다. 이는 네트워크 구조의 위계적 정도가 매우 낮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방출부문의 구조는 周邊的 구조(peripheral structure)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흡수측면은 절대량 기준의 네트워크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띠고 있는데, 특히 전통산업인 식음료(1), 섬유(2) 산업의 그 위계적 정도가 절대량 기준의 경우보다 컸으며, 또한 가전(28), 자동차(32), 철강(18) 등이 중심된 흡수산업으로 부상되고 있다. 따라서 절대량 기준의 분석처럼 흡수부문은 전통산업 부문과 성장산업 부문으로 兩分되는 二重構造(dual structure)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식을 중개하는 매개변수 측면을 살펴보면, 철강(18), 조립금속(20), 가전(28), 자동차(32) 등이 중요 매개 산업이며, 절대량 기준과는 다르게 식음료(1), 섬유(2) 산업 등도 중요한 매개산업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대량 기준의 네트워크 구조변화의 특성은 절대량 기준과 매우 유사하며, 단지 지식의 방출측면에서 몇 개 산업의 중심화 구조가 아닌 주변적 구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4. 체화기술지식의 흐름에 따른 산업유형
기술지식의 흐름이라는 관점에서 각 산업은 필연적으로 다른 산업과의 관계를 갖게 된다. 즉, 각 산업의 지식의 창출과 방출 혹은 흡수가 산업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결국 산업들을 지식의 공급자, 사용자 또는 매개자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분 중심성 지수 및 전체 중심성 지수를 근거로 하여 지식의 방출부문과 흡수부문으로 유형화하였는데 지식의 방출 측면과 흡수 측면에서 두 부문의 차이가 有意하였다. 특수산업용기계산업, 공작기계산업, 사무서비스기계(컴퓨터산업 포함)산업, 기타 전기기기산업은 지식의 방출량과 흡수량이 상당하여 중복하여 분류하였다. 또한, 매개 중심성 지수를 근거로 하여 기술지식의 매개 산업부문을 추출하였다. 지식방출부문은 자체 지식의 창출과 여타 산업으로의 지식흐름량이 지식흡수부문보다 상당히 많았으며, 지식흡수부문은 자체의 지식의 창출보다는 지식방출부문으로부터의 지식유입량이 상당히 컸다. 지식매개부문은 여타 산업으로부터의 지식을 유입하고 이를 다른 산업으로 방출하는 지식흐름의 중개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지식흐름에 따른 산업의 분류는 각 부문별로 다른 정책수단을 적용하여 전체 제조업에서의 기술지식의 원활한 확산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개별산업의 기술진보 또는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산업유형별 연구개발 형태, 연구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분석 등의 향후 연구에 지식흐름에 따른 산업 유형화가 새로운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 김필헌, 제조업 소기업 편중 현상 평가와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2009
◎ 동향분석실,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 산업연구원, 2009
◎ 동향분석실, 2007년 한국 제조업의 업종별 기술수준 및 개발 동향, 산업연구원, 2007
◎ 배규식, 이상민 외 3명, 중소제조업의 고용관계, 한국노동연구원, 2006
◎ 성윤모, 한국의 제조업은 미래가 두렵다, 마이넌, 2003
◎ 에몬 핑글턴 저, 김학동 역, 제조업은 영원한가, 지식여행, 2000

추천자료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