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 내면적 의미, 성격,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 중요성, 기능,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과 우투리전설의 관계, 홍길동전 관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 내면적 의미, 성격,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 중요성, 기능,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과 우투리전설의 관계, 홍길동전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의 내면적 의미

Ⅲ.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의 성격

Ⅳ.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의 중요성

Ⅴ.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의 기능

Ⅵ.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의 개괄
1. 전승자의 태도
2. 시간과 장소
3. 증거물
4. 인물

Ⅶ.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의 기본형 변이

Ⅷ.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과 우투리전설의 관계

Ⅸ.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과 홍길동전의 관계
1. 탄생 배경과 과정
2. 홍길동과 아기장수들의 비범성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날개는 현실적인 공간을 초월하게 해줄 수 있는 신비한 힘으로 상징된다. 이러한 점에서 아기장수가 날개를 가진다는 것은 현실적 질곡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민중의 꿈이 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늘 또한 비록 퇴화된 흔적이기는 하지만 용을 상징하는 신화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렇다면 아기장수의 날개와 비늘은 홍판서의 태몽과 같은 의미와 기능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홍길동은 몰래 무예를 연마하면서 비범성을 드러내지 않는다. 홍길동이 무예를 연마하면서 탄식하는 것은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는 신분적인 한계를 자각했기 때문이다. 홍길동은 호부호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능력을 발휘해 볼 수 없는 신분적인 한계와 현실적인 모순에 대하여 불만을 갖는다. 그러나 홍길동의 이러한 불만은 부친에 의해 제지되면서 서자로 살아갈 것을 강요받는다. 홍길동이 자신의 현실에 대하여 불만을 갖는 것은 신분적인 한계에서 비롯되는 자학적인 의미와 함께 홍길동의 비범성을 강조하는 의미도 지닌다.
홍길동과는 달리 아기장수의 비범성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아기장수는 누워 있던 자리를 바꾸거나 파리를 잡고, 또한 날아서 심부름을 갔다 오는 등의 행위로 비범성이 드러난다. 그렇다고 아기장수가 자신의 비범성을 의도적으로 드러낸 것은 아니다. 갓 태어난 아기장수가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자 누워 있던 자리를 스스로 옮기고, 달라붙는 파리를 잡기 위해 공중을 날아다닌 것이었다. 여기에는 갓난아이를 홀로 두고 들에 나가야 하는 민중의 애한이 표출되어 있다. 아기장수는 자신을 스스로 돌보기 위해 비범성을 발휘했다가 이로 인해 살해의 위기를 맞게 된다.
아기장수가 세 살이 되도록 말을 하지 않고 바보처럼 행세하는 이야기가 있다. 아기장수는 어머니가 官長으로부터 무시당하는 것을 참지 못하고 말을 했다가 비범성이 탄로나 죽음을 당한다. 지리산 산신이 장차 왕으로 세울 우투리를 산중 과부에게 보내 키우게 한 것은 아기장수의 존재와 비범성이 탄로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었다. 우투리 이야기의 이러한 변이는 아기장수가 죽을 수밖에 없었던 설화적인 경험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아기장수가 의도적으로 자신의 비범성을 드러내지 않았다는 것은 홍길동의 경우와 같다. 홍길동은 비범성을 감추기 위해 밤에만 몰래 무예를 연마하다가 홍판서에게 들켜 질책당한다. 이는 신랑이 밤마다 밖으로 나가 느티나무 넘는 연습을 하다가 뒤를 밟은 신부에게 들키는 이야기와도 같다. 홍길동이 살해당할 위험 때문에 비범성을 감추었다는 구체적인 언급은 없으나, 자신의 신분적인 한계를 자각했던 것으로 보아 의도적으로 감춘 것으로 볼 수 있다.
홍길동의 비범성은 초란에 의해 모반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보다 구체화 된다. 초란은 홍길동 때문에 홍판서의 총애를 빼앗기자 홍길동을 죽이기 위해 모반의 가능성을 부여한다. 이로 인하여 홍길동은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가족과 국가의 적대자로 제거대상이 된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홍길동이 지닌 모반의 가능성에 대한 홍판서의 반응이다. 홍판서가 관상녀의 말을 부정하지 않고 함구령을 내린 것은 모반의 가능성에 동감했기 때문이다.
Ⅹ. 결론
아기장수이야기는 ‘비범한 아이가 태어났으나 부모나 친지, 이웃들의 살해나 실수로 인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는 이야기’이다. 이 작품은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든지 쉽게 접할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전승되어 온 이야기로 그 전승의 연원이 깊고 넓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게다가 아기장수이야기 작품의 대부분은 구조적인 유사성은 물론이고 세부 표현까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아기장수이야기는 날개 달린 아기장수가 부모나 가족에 의해 살해당하는 이야기 유형과 비범한 아이가 곡물 등을 가지고 땅 속으로 들어갔다가 관군 등에 의해 살해당하는 이야기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체 300여 편의 작품 가운데 260여 편에 해당하는 첫 번째 유형의 이야기에서 강한 구조적 유사성이 드러난다. 특히 이 유형의 작품 가운데 세부적인 표현까지도 일치하는 각 편의 수가 전체 작품 수의 20%에 해당한다. 광범위한 전승과 오랜 전승 역사, 그리고 바로 이러한 전승의 지속적 지향이 아기장수이야기의 강한 전승력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의 이야기가 강한 지속적 지향을 드러내며 오랜 기간 전승되어 왔다는 사실은 이야기의 의미가 그만큼 전승 집단의 삶과 의식에 유효한 것이었음을 의미한다. 이야기의 주제가 시간의 흐름에 상관없이 인간의 삶에 깊숙이 관계하는 인간 존재의 보편성이나 전승 집단이 공유하고 있는 본질적인 삶의 조건에 관한 문제를 환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전승의 지속적 지향을 통해 드러나는 작품의 주제는, 인간 존재의 본질적 조건으로 인해 형성되는 보편적인 의식을 드러내기도 하고 오랜 세월 동안 형성되어온 전승 집단 고유의 집단적인 사고 체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더구나 아기장수이야기는 어린 아이를, 때로는 태어난 지 채 삼일도 지나지 않은 상태의 어린 아기를 부모, 혹은 가족과 같은 근친자가 살해하는 이야기이다. 근친 살해, 어린 아이에 대한 폭력은 가장 근원적인 인간관계를 해치고 전통적인 농경 사회의 근본 조건인 공동체의 존립 자체를 위태롭게 할 만큼 위협적인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전승자들이 이러한 폭력에 대한 윤리적인 가치 판단을 유보하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것은 아기장수이야기의 주제가 단순히 윤리적인 가치를 유포하고 설득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인간 의식의 심층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제기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참고문헌
- 권도경(2008), 호남지역 \'아기장수 전설\'의 유형적 특징과 지역적 특수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 김규진(2005), 아기장수 우투리의 지도 방안 연구, 부경대학교
- 김환희(2001), 설화와 전래동화의 장르적 경계선 : 아기장수 이야기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 노지숙(2005), 학습자 중심 설화 교육 연구 : <아기 장수 우투리> 설화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 이해님(2005), 아기장수 설화 교육 연구, 한양대학교
- 한순미(2009), 처용과 아기장수의 문학적 변용에 담긴 비극성, 한국언어문학회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